d라이브러리
"집합"(으)로 총 860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새로운 문제의 등장! 타르스키 문제수학동아 l2022년 04호
- 직사각형들로 덮은 뒤 ‘르베그 외측도’와 ‘르베그 내측도’의 값이 같으면 그 값이 집합의 넓이가 되지요. 두 값이 다르면 러츠코비치의 해법에 등장하는 조각처럼 넓이를 측정할 수 없어요 ... ...
- [발칙한 역설] 제4장. 러셀의 일격수학동아 l2022년 04호
- 논리주의 프로그램에 적대감을 가졌던 프랑스 수학자 앙리 푸앵카레는 쾌재를 불렀지만, 집합론이 수학의 기반을 마련해줄 것이라 믿은 다비트 힐베르트, 주세페 페아노 등의 수학자들은 심각한 고민에 빠졌죠. 그중에서도 가장 큰 충격을 받은 사람은 단연 프레게입니다. 러셀의 편지를 받고 ... ...
- [기획] 2500년 만에 태양을 되돌린 수학자수학동아 l2022년 04호
- 차원’을 가지는 조각들로 타르스키 문제를 해결했어요. 민코프스키 차원은 조각(집합)의 경계가 얼마나 복잡한지 그 정보를 나타내는 거예요. 다시 말해 충분히 단순한 경계를 가진 조각으로도 타르스키 문제를 풀 수 있음을 보인 거예요. 오재성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 연구원은 “타르스키 ... ...
- [2022 필즈상 예측] 함수의 뿌리를 탐구한 알렉산드르 로구노프 교수, 베일에 싸인 미분기하학 고수 쑨쏭 교수수학동아 l2022년 04호
- 모른다는 것이었지요. 그런데 로구노프 교수가 3차원뿐만 아니라 모든 차원에서 마디 집합 면적의 하한을 구하는 방법을 알아냈어요. 그의 연구는 함수 연구의 지평을 넓힐 것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해석학의 근원적인 내용이라 기하학, 정수론 등 여러 분야에서 이를 기반으로 연구할 수 ... ...
- [ICM 초청 강연자를 만나다➋] “재미있는 수학자로 기억되고 싶어요”수학동아 l2022년 03호
- 연산을 하듯 유한 개의 수로만 이뤄진 수의 체계(유한체)도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때 해집합에 나타나는 패턴을 ‘랭글랜즈 프로그램’을 통해 다각도로 이해합니다. 이를 위한 대표적인 과제로 기하학적 대상인 ‘시무라 다양체’와 산술적 함수인 ‘보형 형식’ 사이의 관계를 밝히는 작업이 ... ...
- [이달의 식물사연] 열대의 숲속을 밝히는 횃불생강과학동아 l2022년 03호
- 띄게 화려한 빛깔과 모습으로 원뿔 모양을 이루고 있는 부분은 수십 개의 꽃이 뭉쳐진 집합체다. 이를 감싸고 있는 것들은 꽃잎이 아니라 잎이 변형된 포엽이다. 이런 포엽은 꽃의 색을 좌우하는데 붉은색, 분홍색, 주황색, 또는 흰색을 띤다. 포엽이 화려한 이유는 새들을 유혹하기 위해서다. 특히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2년 03호
- 대한민국 최고 수학자들과 미국 미시간대학교 수학과 박사과정생이 매달 1일 폴리매스 홈페이지 [폴리매스]-[대한수학회]와 [슬기로운 수학생활]에 문제를 출제합니다. 폴리매스 문제를 풀 아이디어나 풀이를 댓글로 남겨 보세요.여러 회원이 함께 고민해 풀다 보면 해결하지 못할 문제는 없을 거예 ... ...
-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 3장. 수학 밑바닥 이야기수학동아 l2022년 03호
- 편지를 다 읽자 바닥에 주저앉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편지에서 러셀은 프레게의 집합에 큰 모순이 있다는 사실을 지적했거든요. 당황한 프레게는 서둘러 모순을 고치고자 다양한 방법을 찾아봤지만, 결국 모순을 고치지 못하고 자연수 이론의 증명을 포기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절망한 그는 ...
- [특집] 찝찝한 계산을 말끔하게! 증명 검증한 SW 린!수학동아 l2022년 02호
- ‘해석학’에서 기존에 사용하던 ‘위상 공간’ 대신 새롭게 정의한 ‘콘덴스드 집합’을 사용해 다시 쓰는 거야. 이렇게 하면 정수론 연구에 유용한 도구들이 생기게 되고, 해석학과 해석기하학마저도 대수학으로 편입시킬 수 있는 혁신적 도전이지. 여기서 대수학은 수학 구조를 연구하는 분야야 ... ...
- [특집] 수학 하는 AI, 너 정체가 뭐니?수학동아 l2022년 02호
- 구하는 새로운 방법을 찾아냈어. 카즈단-루스티그 다항식은 대칭군에 있는 두 집합의 변환 과정을 설명한 다항식을 말해. n차 대칭군은 n개의 숫자를 배열하는 방법의 모임이라고 생각해 줘. 예를 들어 원소가 3개인 3차 대칭군에는 (012)와 (210)이 있어. 대칭군의 변환 과정은 점과 선으로 이뤄진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