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낱개
갈래
가락
겹
뉴스
"
가닥
"(으)로 총 359건 검색되었습니다.
日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 11월 이후 결정
동아사이언스
l
2020.10.24
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출 방침으로
가닥
을 잡고 결정을 서두르면서 한국과 중국 등 이웃 나라의 반발이 커졌다. 이날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는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출 계획에 강한 유감을 표명하는 결의안을 ... ...
노벨상 영예 '유전자가위' 유전질환 치료 '더 가까이'
동아사이언스
l
2020.10.23
연구팀이 활용한 염기 교정 유전자가위 기술은 ‘베이스 교정’으로 불린다. DNA 이중
가닥
을 절단해 교정하지 않고 단일 염기를 잘라내 교정하는 기술로 유전자가위 분야 세계적 석학인 데이비드 리우 브로드연구소 교수가 개발해 지난해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논문의 제1저자인 ... ...
日 원자력규제위원장 "오염수는 해양 방류가 유일한 처분법" 재차 강조
동아사이언스
l
2020.10.22
입장은 ‘아직 정해진 것이 없다’는 것이지만 일본 내 원자력규제기관이 해양 방류로
가닥
을 잡은 만큼 이를 따를 가능성이 크다. 후쿠시마 원전을 운영하는 도쿄전력은 하루에 방사능 오염수가 170t(톤)씩 증가하고 있으며, 9월에 총 123만t이 쌓여 이 속도로는 2022년 여름이면 오염수 저장 탱크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바이러스의 창 막는 박테리아의 방패
2020.10.13
크리스퍼-카스9(Cas9‧왼쪽)은 이중
가닥
DNA를 절단하는 반면, 크리스퍼-카스13(Cas13)은 단일
가닥
RNA를 절단하는 등 종류에 따라 교정하고자 하는 표적이 다르다. 물론 세포 생물들이 바이러스의 침투에 속수무책으로 당하고 있는 건 아니다. 사람만 봐도 선천면역계와 적응면역계라는 복잡한 ... ...
[프리미엄 리포트] 네
가닥
으로 꼬였다! DNA 사중나선
2020.10.09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과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DNA의 구조를 한 번쯤은 본 적이 있을 것이다. 두
가닥
의 사슬이 쌍으로 구성돼 꼬여있는 일명 ‘이중나선’ 구조다. ... 대한 연구를 20여 년간 수행하고 있다. kyeongkyu@skku.edu ※관련기사 과학동아 10월호, 네
가닥
으로 꼬였다! DNA ... ...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잊혀진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8
크리스퍼-카스9(Cas9‧왼쪽)은 이중
가닥
DNA를 절단하는 반면, 크리스퍼-카스13(Cas13)은 단일
가닥
RNA를 절단하는 등 종류에 따라 교정하고자 하는 표적이 다르다. 크리스퍼라는 염기서열을 처음 발견한 학자도 있다. 크리스퍼는 원래 대장균의 게놈에 존재하던 특이한 상보적 염기서열이었다. 예를 들어 ... ...
노벨화학상 받은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역할을 해 일단 DNA에서 바꾸고 싶은 표적 DNA를 인식하면 캐스9과 복합체를 이뤄 DNA 이중
가닥
을 모두 자른다. 그런 다음 절단 부위에 원하는 DNA 시퀀서를 추가하면 유전자 교정이 완료된다. 크리스퍼-캐스9의 가장 큰 장점은 DNA에서 원하는 부위를 정확하게 잘라내는 능력이다. 다만 DNA 시퀀스를 ... ...
이산화탄소를 산업용 일산화탄소로...저렴한 고효율 주석 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9.20
생산 효율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A는 개발한 촉매의 모습이고 B는 촉매
가닥
을 확대하 모습이다. 가운데가 뚫려 있는 구조라 반응물인 이산화탄소가 원활히 통과 할 수 있다. C는 머리카락 같이 보이는 탄소나노튜브에 주석 나노입자(흰색)가 흡착된 모습이다. UNIST 제공 연구팀은 탄소 ... ...
감염성 병원균 눈으로 보고 진단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6
연구팀은 또 커피링 현상에 ‘회전 환 증폭’ 기반의 등온 증폭기술을 융합했다. 긴 단일
가닥
의 표적 DNA 물질이 직경 0.1~10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미터) 크기로 응축될 수 있도록 효과를 극대화한 기술이다. 10의 마이너스 21승을 뜻하는 ‘젭토’ 수준의 몰 농도 이하 범위에서도 병원균 표적 물질을 ... ...
전공의 복귀 일주일…대형병원 "수술·진료 회복세"
연합뉴스
l
2020.09.16
병원에 복귀한 지 일주일째에 접어들면서 의료 현장이 서서히 정상화의
가닥
을 잡아가고 있다. 16일 의료계에 따르면 서울 시내 주요 대학병원의 수술·입원 일정은 집단휴진 사태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고 있다. 삼성서울병원 관계자는 "전공의들이 지난주 화요일(8일)에 복귀 선언을 했으나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