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낱개
갈래
가락
겹
뉴스
"
가닥
"(으)로 총 359건 검색되었습니다.
[IBS 코로나19 리포트] 'K진단'과 과학자들의 연대
2020.06.24
40번 가량 반복된다. 유전물질의 양은 각 과정을 반복할 때마다 2배씩 증가한다. 이중나선
가닥
사이에는 형광물질을 삽입하는데, 증폭된 유전자의 형광 값은 바이러스 유전자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가 된다. 진단용 프로토콜 전 세계 공유…생물학 실험실 활용 가능성 국내 코로나19 ... ...
[IBS 코로나19 리포트] IBS가 밝혀낸 코로나19 유전자 지도의 의미
2020.04.30
반대쪽을 음성
가닥
(negative-sense RNA)이라 부른다. 음성
가닥
RNA는 다시 주물이 되어 양성
가닥
을 대량 생산하는데 사용된다. 이 과정을 거치면 단 한 개의 gRNA가 세포에 들어가도 수만 개의 자손 gRNA가 만들어진다. 따라서 RNA중합효소를 억제한다면 바이러스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현재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코로나바이러스, 결국은 면역이다 (하)
2020.04.17
TLR3, TLR7, RIG-I/MDA-5)가 인식한다. 동시에 바이러스가 증식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이중
가닥
RNA(dsRNA)를 탐지해 새로운 단백질이 합성되지 못하도록 막는 수용체(PKR)도 활동한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경우 세균 내독소인 지질다당질(LPS)을 인지하는 것으로 알려진 수용체(TLR4)도 관여한다고 밝혀졌다 ... ...
"코로나19 치료제 일부 동물실험 면제…기존 자료 인정"
연합뉴스
l
2020.04.14
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를 개발할 때 신약개발 시 거치는 일부 동물실험을 면제하기로
가닥
을 잡았다. 가능하다면 기존 실험결과로 대체해 임상시험에 조기 진입할 수 있도록 돕겠다는 전략이다. 14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시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천산갑 코로나바이러스는 어떻게 인간에게 옮겨왔나
2020.04.03
채취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인위적 바이러스 조작설은 잘못된 사실 코로나바이러스는 외
가닥
양성-극성(positive-sense single-stranded) RNA바이러스다. 유전자 길이는 26~32kb(kilobase)로 RNA바이러스 중 가장 크다. 전자현미경으로 코로나바이러스를 관찰하면 가장자리 표면이 왕관이나 태양의 코로나를 ... ...
[IBS 코로나19 리포트]바이러스로 코로나바이러스를 잡는다
2020.03.23
연구진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해 사람에게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수백 개의 단일
가닥
RNA(ssRNA) 바이러스 중 크리스퍼-카스13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바이러스를 탐색했다. 그 결과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IAV), 림프구성 맥락수막염바이러스(LCMV), 수포성 구내염바이러스(VSV) 등 3개의 바이러스에 ... ...
[인류와 질병]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이름의 기원
2020.03.07
(SARS-CoV-2)종이다. 볼티모어 분류법에 따르면 IV군 겹
가닥
RNA바이러스다. SARS-CoV-2의 정체가 불분명할 때는 2019-nCoV라고 불렀고,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혹은 우한 폐렴 등의 용어가 쓰였다. 이제는 WHO가 SARS-CoV-2를 정식 명칭으로 정했다. 이 바이러스에 의해 일어나는 질병을 코비드19(COVID-19)라고 ... ...
[프리미엄리포트]고작 감기인줄 알았던 바이러스의 진짜 정체
과학동아
l
2020.02.28
kb는 1000베이스페어) 크기의 양성
가닥
RNA를 유전체로 가지고 있다. 양성
가닥
은 세포질 내에서 직접 단백질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RNA를 말한다. 바이러스는 스스로 생존할 수 없는 만큼 숙주세포가 필요하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숙주동물(박쥐, 인간 등 포유류가 대부분이다)의 기관지 세포를 ... ...
아슬아슬 나무의 생명력
팝뉴스
l
2020.02.13
흙이 쓸려 내려가 뿌리가 거의 다 드러났다. 하지만 나무는 살아 있다. 땅에 박힌 뿌리 몇
가닥
에 의존하면서 생명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촬영 장소 등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사진은 묘한 감동을 준다는 평가다. 어떤 환경에서도 굳건해져야 한다는 교훈을 얻었다고 말하는 네티즌도 있다. ... ...
세포 유전자 마음대로 조작 '프라임 에디팅' 올해 주목할 바이오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0.02.12
클 것으로 예측됐다. 이 기술은 DNA 이중나선 두
가닥
을 잘라내는 기존 방식과 달리 한
가닥
만 잘라내는 방식으로 편집 정확도를 높였다. 데이비드 리우 미국 하버드대 화학생물학과 교수팀이 개발해 지난해 10월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기존 유전자 편집 기술보다 효율을 높였을 뿐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