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낱개
갈래
가락
겹
뉴스
"
가닥
"(으)로 총 353건 검색되었습니다.
암세포만 골라 염색하고 치료하는 내시경 치료용 신물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3.03
복강경의 진단 정확도를 높이고 치료 효과를 높일 방법을 찾았다. 압타머는 단일
가닥
DNA 구조의 물질로, 암세포에 많이 나타나는 ‘뉴클레올린’이라는 단백질에 잘 달라붙는다. 광응답제는 특정 파장의 빛을 받으면 활성산소를 발생시켜 암 세포를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두 물질을 붙인 뒤 인체 ... ...
난치성 질환 원인 점 돌연변이, ‘나노 눈사람’으로 빠르게 진단
동아사이언스
l
2019.02.26
이후 이 나노입자 표면에 원하는 점 돌연변이를 읽을 수 있도록 탐지용 단일
가닥
DNA 조각을 붙인다. 이렇게 만든 금 나노 바이오센서를 뮤트S 단백질과 함께 환자의 세포가 있는 시료에 넣으면, 탐지용 DNA 조각과 같은 환자의 DNA가 붙게 된다. 하지만 점 돌연변이가 있는 경우 결합이 잘 되지 않는 ... ...
페로브스카이트 나노선 차세대 전자소자 활용 가능성 첫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19.02.21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태양전지 소재로 주목받는 페로브스카이트 분자 한
가닥
으로 만든 나노선을 이용해 절전형 소자를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 페로브스카이트가 태양전지와 발광다이오드(LED)에 이어 전기를 적게 쓰고 이진법을 극복한 다진법(多進法)이 가능한 차세대 전자 소자 ... ...
[Science토크]무한경쟁 우주발사체 시장…한국형발사체 설 곳은
동아사이언스
l
2019.02.03
먼저라는 주장이 맞섰던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독자 엔진 기술을 확보하는 쪽으로
가닥
이 잡혔지만 한국형발사체는 본발사 이후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고민을 지금부터라도 해야 한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지난해 11월 75톤 엔진 비행 테스트 성공 당시 집중 조명됐던 ‘우주강국’의 ... ...
日 연구팀, 머리카락으로 스트레스 측정 새기술 개발
2019.01.29
NHK 캡처 일상생활에서 누적된 만성적인 스트레스가 어느 정도인지를 머리카락 불과 몇
가닥
으로 측정하는 새로운 기술이 일본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 스트레스 정도를 생리학적으로 검사하는 방법으로는 타액 검사법과 머리카락 검사법이 알려져 있으나, 타액 검사법은 측정 직전에 받은 ... ...
세포 내로 단백질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생체분자 나노구조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1.17
않다. 먼저 금 나노입자 표면에 DNA를 부착한다. 그런 다음 아연 집게를 이용해 각 DNA
가닥
에 암 세포를 목표 생체분자와 항암 단백질을 결합시키면 제작이 완료된다. 김학성 교수는 “생체 적합한 소재인 DNA와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세포 내로 단백질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새로운 나노 ... ...
출연연 용역직 전환 위한 공동출자회사, 출범까지 여전히 '가시밭길'
동아사이언스
l
2019.01.15
개선을 보장한다는 게 골자다. 공동출자회사명은 ‘과학기술종합서비스(가칭)’로
가닥
이 잡혔다. 자본금은 약 4억원으로 21개 출연연이 나눠서 출자하기로 했다. 대표는 공채를 통해 전문경영인으로 뽑고 이사 6인과 감사 1인, 운영인원 25명 수준을 유지한다. 공동출자회사에 참여하는 기관의 ... ...
성가신 모기 ‘산아제한’으로 퇴치
동아사이언스
l
2019.01.11
억제하는 기술도 확보했다. 먼저 DNA와 비슷한 유전물질이지만 이중나선이 아니라 한
가닥
으로만 구성된 리보핵산(RNA)가운데 길이가 짧은 조각을 모았다. 짧은 RNA 조각은 DNA로부터 단백질을 만드는 과정을 억제하는 조절 기능을 갖는다. 연구팀은 이 RNA 조각을 암컷 모기에게 주입해 알을 ... ...
'DNA 종이접기'로 누구나 쉽게 나노구조체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9
2
가닥
의 DNA로 한 변을 만든 뒤 이를 이용해 2차원 형태의 구조물을 제작한 데 이어 6
가닥
의 DNA로 한 변을 만드는 데도 성공했다. 한 변에서 접혀나갈 수 있는 DNA의 수가 많아지며 입체적인 형태 구성도 가능해진 것이다. 연구팀은 극저온 전자현미경을 통해 실제 합성된 구조물들이 견고한 3차원 ... ...
[국가우주위]① 국가는 수요발굴·창업 지원, 기업은 연구개발...우주개발 민간化 '속도'
동아사이언스
l
2019.01.09
실질적인 우주부품 및 기술, 서비스 개발은 민간에게 맡기는 쪽으로
가닥
이 잡혔다. 먼저 우주개발 사업의 추진 방식을 개편해 국가는 우주개발 수요를 관리하고 기업의 시장 진출을 돕도록 역할을 분담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2019년부터 우주활용 컨설팅을 통해 공공 위성활용 수요를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