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낱개
갈래
가락
겹
뉴스
"
가닥
"(으)로 총 359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자 가위로 바이러스 찾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28
논문에서 “크리스퍼-카스12a가 바이러스가 복제할 때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단일
가닥
의 DNA를 빠르게 인지할 수 있다”며 “바이러스를 포함한 분자 진단 분야에 이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 ...
배터리 필요 없는 초박형 피부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4.05
무선 통신 기술을 활용해 기존 피부 센서보다 작고 얇다. 이 센서는 두께가 머리카락 5
가닥
을 합친 500㎛(마이크로미터)도 안 돼 피부에 붙이고 있어도 이물감이 없다. 따라서 피부에 강하게 접착할 수 있어 생체 정보를 더욱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안테나 ... ...
손바닥 만한 기계로 게놈 해독하는 나노포어 기술, 한 번에 더 긴
가닥
읽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2.09
국립인간게놈연구소 연구원은 “전기 신호를 더 정교하게 읽어내 10만 쌍 단위의 염기
가닥
을 읽을 수도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 기술로 수십만 쌍 단위의 해독이 가능하며 연구팀은 한 번에 최대 88만 쌍을 읽어 내는 데도 성공했다고 밝혔다. 나노포어 기술은 초소형 유전체 해독 기기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극저온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RNA 중합 효소의 모습
동아사이언스
l
2018.01.21
있도록 형태를 변형했다. 이번 표지는 이 과정의 한 순간을 표현했다. 녹색과 옥색 두
가닥
으로 표현된 것은 DNA다. 전사가 필요한 위치에 TFIIIB 인자(붉은색)가 먼저 붙고 그 뒤를 RNA 복제효소 Ⅲ(파란색)이 붙어 필요한 RNA를 전사하는 모습이다. 한편 이들이 연구에 이용한 극저온전자현미경은 201 ... ...
전기장으로 움직이는 DNA 나노 로봇팔
동아사이언스
l
2018.01.21
크기의 로봇팔인 셈이다. 플레이트에 로봇팔의 끝 부분과 도킹할 수 있는 짧은 DNA
가닥
을 배치하면 로봇팔을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컴퓨터에 원하는 동작을 입력하면 로봇팔은 천 분의 1초 내에 작동한다. 과학자들은 이런 DNA 로봇팔을 하나 또는 여러 개 이어 붙이면 나노물질을 ... ...
지구 생명체 기원의 ‘미싱링크’ 찾았다
과학동아
l
2017.12.18
발견됐다. 초기 생명체가 형성되는 데에는 유전 정보를 저장하는 짧은 뉴클레오타이드
가닥
, 세포의 주요 기능을 하는 짧은 아미노산 사슬(펩타이드), 세포벽 구조를 형성하는 지질 등 3가지 성분이 필수다. 과학자들은 ‘인산화’라고 불리는 화학 반응을 통해 세 성분이 결합해 생명체가 탄생했을 ... ...
'DNA를 털실 삼아' 스웨터 뜨듯 만든 DNA 나노 평면 구조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18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NA 오리가미로 만든 하트 모양의 구조. 한
가닥
으로 만든 게 특징이다. - DongranHan, et al./Science 제공 연구팀은 비슷한 방식으로 RNA를 이용한 구조물을 만드는 데에도 성공했다. 또 미생물을 이용해 대량생산하는 방법도 개발해, 미래에 생체 안에서 움직이는 ... ...
DNA 나노 구조물로 그린 모나리자 미소
동아사이언스
l
2017.12.10
한편 하버드대 시스템생물학과 펜잉 박사팀도 같은 날 벽돌 모양으로 쪼갠 DNA
가닥
을 쌓는 방식으로 3차원의 DNA 나노구조물을 만드는 데 성공해 그 연구 결과를 네이처에 실었다. 연구팀은 약 32개의 핵산 단위로 자른 DNA 조간 1만 개로 곰인형 모양의 구조물을 쌓았다. 펜잉 박사는 “벽돌쌓기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기다리다 지친 과학자, 반합성(semi-synthetic) 생명체 만들다!
2017.12.06
걸 보여주기 위해 복잡한 대장균 게놈(460만 염기쌍) 대신 플라스미드(plasmid)라는 원형 DNA
가닥
에 비정규 염기쌍(X:Y로 표시)을 하나 집어넣었다. 즉 플라스미드의 DNA 염기쌍 2686개 가운데 하나가 X:Y인 것. 이 플라스미드를 대장균 안에 집어넣은 뒤 배양을 했다. 플라스미드는 대장균 안에서 게놈과는 ... ...
[과학&기술의 최전선] 게놈해독 기술 3세대로 진화… 시장 선점위해 ‘합종연횡’
동아사이언스
l
2017.11.24
있는 단백질을 이용해 DNA를 읽어 들이는 획기적인 기술이었다. 이 구멍에 DNA 이중나선
가닥
을 풀어 넣으면 구멍을 통과하며 미약한 전기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전기 신호는 염기의 종류에 따라 조금씩 다른데, 이를 구분해 염기를 알아낸다. 이 기술은 역시 3세대 해독 기술로, ‘게놈 해독계의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