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252건 검색되었습니다.
엄마 뱃속서 치료…'근육 위축' 태아 첫 치료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5.02.21
연구팀은 태아를 대상으로 치료를 진행하기로 결심했다. 연구팀은 스위스 생명
공학
회사 로슈의 척수성 근위축증 치료제인 ‘리스디플람’을 이번 연구에 사용했다. 리스디플람은 SMN 단백질이 생성되도록 돕는 경구용 약물이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A의 사례에 한해 태아일 때 리스디플람을 ... ...
“과학논문 많이 철회한 상위 10개 기관 중 7개가 중국 기관"
동아사이언스
l
2025.02.21
철회한 기관 1위에 올랐다. 중국 창저우 중앙병원, 중국 허난대 화이허병원, 인도 KPR
공학
및 기술 연구소, 중국 웨이펑 인민병원이 뒤를 이었다. 철회 논문이 가장 많은 상위 5개 기관 중 4개 기관이 중국 기관이었다. 상위 10개 기관으로 보면 7개가 중국 기관이다. 인도·에티오피아·파키스탄 ... ...
사용할수록 뼈처럼 강해지는 신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5.02.21
선박, 자동차 구조물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AIST는 강성훈 신소재
공학
과 교수 연구팀이 미국 존스홉킨스대, 조지아 공대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뼈가 운동을 하면 더 강해지는 것과 같이 반복적으로 사용할수록 더욱 강해지는 신소재를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 ...
韓 과학자 독창성, 2차원 반도체 소재 장벽 돌파
동아사이언스
l
2025.02.21
2차원 반도체 소재 합성의 큰 장벽을 돌파하는 데 성공했다. 이관형 서울대 재료
공학
부 교수팀은 2차원 반도체 박막의 새로운 합성법인 '하이포택시(Hypotaxy)'를 최초로 제안하고 지금까지 도달하지 못했던 가장 큰 2차원 반도체 단결정 웨이퍼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연구 결과는 19일(현지 시간) ... ...
2023년
공학
분야 외국인 박사 7년만에 두배…30%는 중국 출신
동아사이언스
l
2025.02.20
정보 제공 사이트를 운영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으로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국내
공학
분야 외국인 박사 졸업자 현황을 분석한 내용이 담긴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이슈페이퍼 표지. KISTEP ... ...
[과기원NOW] DGIST, 신경 손상 걱정 없는 '스마트 밀착 전극'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2.20
MIT) 박사후연구원. DGIST 제공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김소희 로봇및기계전자
공학
과 교수 연구팀이 신경을 손상하지 않고 안전하게 감쌀 수 있는 전극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팀은 기존 커프 전극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전극이 스스로 구부러져 신경을 감쌀 수 있는 '소프트 구동 ... ...
생명연 "원숭이 전국 곳곳 옮겨다니지 않아…항원검사 도입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5.02.20
학명 Macaca fascicularis).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한국생명
공학
연구원(생명연)이 운영 중인 영장류자원지원센터가 연구 목적으로 들여온 원숭이 일부에서 치사율이 높은 바이러스 항체 양성 판정이 나왔지만 별다른 신고 없이 전국 각지로 이동시켰다는 언론 보도 및 감사결과에 대해 생명연이 "모든 ... ...
온도·압력 정밀 감지하는 로봇·전자피부용 센서
동아사이언스
l
2025.02.20
데 성공했다. 포스텍은 정성준 신소재
공학
과·IT융합
공학
과 교수와 조영민 IT융합
공학
과 연구원팀이 고현협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압력과 온도를 동시에 정밀하게 감지하는 3차원 반도체 소자 기반 센서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17일(현지시간) ... ...
[과기원NOW] 포스텍 "'머리카락 굵기 10만분의 1‘ 수준 나노입자 합성법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2.19
국제학술지 'ACS 나노'에 최근 게재됐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정의헌 의생명
공학
과 교수 연구팀이 신경병성 각막통증(NCP)의 병태생리를 보다 정확하게 반영하는 새로운 동물 모델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연구팀은 장섬모체 신경을 부분적으로 손상시킨 새로운 동물 모델(PN)을 개발해 말초 ... ...
최대 성능 11배 향상된 PIM 반도체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9
될 수 있다”고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대회 ‘2025 미국전기전자
공학
회(IEEE) 고성능 컴퓨터 아키텍처 국제 심포지엄’에서 3월 발표될 예정이다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