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259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소형위성으로 세계 최고 해상도 이미지 촬영한 대만
동아사이언스
l
2025.02.10
6U 위성이 촬영한 이미지의 해상도는 통상 4~5m 수준이다. 오현웅 한국항공대 항공우주
공학
과 교수는 "위성마다 운용되는 궤도가 달라 해상도를 직접적으로 비교하기는 어렵다"면서도 "최고 수준으로 꼽히는 플래랩의 초소형 지구관측위성 ‘비둘기(Dove)’가 3U에 3~5m를 촬영할 수 있는 것과 비교해 ... ...
플라스틱 재활용 지원하는 설탕 성분 촉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0
드는 기존 공정을 대체할 것으로 기대된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박치영 에너지
공학
과 교수 연구팀이 설탕에서 얻은 성분을 막자사발(시료를 분쇄하거나 혼합할 때 쓰는 도구)로 가공해 촉매 활성면을 극대화하는 촉매 기술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연구팀은 설탕에서 추출한 고리형 ... ...
공기로 전기 만드는 배터리 수명 늘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0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곽원진 에너지화학
공학
과 교수팀이 서성은 아주대 화학과 교수팀, 슈밍첸 미국 오벌린대 교수팀과 공동으로 리튬공기배터리용 ‘산화환원 매개체’를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산화환원 매개체는 전지 전해액 무게의 단 5%만 ... ...
얇은 디스플레이 제작 위한 최적의 '진공 조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5.02.10
등의 디스플레이를 만드는 데 참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포스텍은 정성준 신소재
공학
과 교수, 김성주 박사 연구팀이 강동진 삼성디스플레이 박사와 공동 연구를 통해 진공에서 고분자 액적(방울) 증발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고 10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 ...
수면 무호흡증 실시간 진단 센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0
등 다양한 질병의 조기 진단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AIST는 유승협 전기및전자
공학
부 교수 연구팀이 실시간으로 호흡을 모니터링하는 저전력 고속 웨어러블 이산화탄소 센서를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이산화탄소 농도 모니터링은 호흡·순환기계 질병을 조기 발견하는 데 중요하다. 개인 ... ...
박테리아, 우주탐사 걸림돌에서 동반자로
동아사이언스
l
2025.02.10
우주비행사들에게 필요한 산소를 만들 수 있을 것이란 아이디어다. 생명
공학
자들은 시아노박테리아의 일종인 ‘스피룰리나’를 이용해 우주에서 진통제인 ‘파라세타몰’을 만들어내기도 했다. 우주비행사들은 비행 중 흔히 경험하는 두통을 완화할 수 있는 약물을 박테리아를 이용해 자체 ... ...
[동물do감] '핵펀치' 사마귀새우, 주먹질 시 자기 주먹은 안 아픈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5.02.07
자신의 몸을 지키는 원리가 밝혀졌다. 호라시오 에스피노사 미국 노스웨스턴대 기계
공학
과 교수와 아비 가넴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원(CNRS) 뤼미에르 마티에르 연구소 연구원 공동 연구팀은 사마귀새우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진 갯가재의 주먹에 특정 진동을 차단하는 패턴이 있어 충격을 흡수하는 ... ...
[과기원NOW] DGIST, 노벨상 수상자 '빅터 앰브로스' 강연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2.07
교수 연구팀이 세계 최대 광학·광전자학회인 국제광전자
공학
회(SPIE)의 '포토닉스 웨스트 2025' 행사에서 최우수논문상을 받았다고 7일 밝혔다. 김 교수 연구팀은 김희만 세브란스병원 교수팀과 공동으로 '광음향 및 초음파 융합 내시경' 기술 개발 연구로 수상했다 ... ...
3D 위암 모델, 약물 반응 높은 정확도로 예측
동아사이언스
l
2025.02.07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포스텍은 장진아 기계
공학
과·생명과학과·IT융합
공학
과·융합대학원 교수 연구팀이 찰스 리 미국 잭슨랩유전체의학연구소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암 환자의 약물 반응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3D 위암 모델 개발에 성공했다고 7일 밝혔다. 암 치료의 가장 ... ...
머리카락처럼 가는 바늘로 잇몸병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07
전달 효율을 높여 새로운 치료 대안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세대는 정형일 생명
공학
과 교수 연구팀, 정의원 치대 치주과 교수 연구팀이 마이크로니들 기업 주빅과 공동 연구를 통해 치주염 치료를 위한 국소 항생제 전달 패치를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치주염을 치료하는 기존 주사형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