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뉴스
"
미국
"(으)로 총 24,535건 검색되었습니다.
2017년
미국
서 829km 뻗은 번개가 세계 최장 기록
동아사이언스
l
2025.08.01
31일(현지시간) 영국 일간지 가디언에 따르면 세계기상기구(WMO)가 2017년 10월 22일
미국
그레이트플레인스 지역에서 발생한 829km길이의 초장거리 번개를 세계 최장 길이 거리 기록으로 인정했다. 829km 길이의 번개는 텍사스 동부에서 출발해 미주리주 캔자스시티 인근까지 이어졌다. 프랑스 ... ...
"상위 1% 연구자도 받기 힘든 국내 지원…기초연구 확대 절실"
동아사이언스
l
2025.08.01
연구할 수 있는 일자리가 부족하다는 것"이라며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연구원들이
미국
이나 유럽으로 갈 수 밖에 없다"고 했다. 강 교수는 박사후연구원을 거쳐 지난해 한국에 돌아온 뒤 최근 정부출연연구기관 채용이 확정됐다. 구 차관은 이들의 의견에 공감하며 "결국은 공공·민간 ... ...
트럼프, 글로벌 제약사들에 "약값 낮춰라"…"한국은 일단 최혜국 대우"
동아사이언스
l
2025.08.01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 의약품에 200% 고율 관세를 매기겠다고 밝힌 바 있다. 31일
미국
과 한국 간 상호관세가 25%에서 15%로 인하 합의를 이루면서 의약품에도 높은 관세가 적용되지는 않을 것이란 전망이 제기된다. 대통령실은 의약품도 ‘최혜국 대우’를 받을 것이라고 전했다 ... ...
AI로 '쓰레기 DNA' 분석해 질병 단서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8.01
관여하는 마이크로단백질 탐지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게 됐다. 앨런 사가텔리안
미국
솔크생물학연구소 교수 연구팀은 마이크로단백질이 숨어있는 DNA 영역을 탐색하는 AI 도구 ‘쇼트스탑(ShortStop)’을 개발하고 연구결과를 31일 국제학술지 'BMC 메소드'에 발표했다. 단백질은 생명 ... ...
1994년 얼린 배아 입양해 태어난 '30대 신생아'
동아사이언스
l
2025.08.01
정자의 보관 가능 기간을 최장 55년까지 늘려 체외수정 기회를 확대하기도 했다. 최근
미국
스타트업 '오키드헬스'는 1200여 종 체외수정 배아 유전체를 분석해 자녀의 질병 위험을 예측하고 부모가 배아를 선택하도록 하는 서비스를 내놔 생명윤리 논란에 휩싸였다. 사실상 원하는 유전자로 ... ...
황선우 KAIST 학생, 머크 이노베이션컵 2025 준우승 쾌거
동아사이언스
l
2025.08.01
얻었다. 황 과정생 팀은 상금으로 5000유로(약 800만원)를 받았다. 웰렘 쿨스 머크
미국
캐나다 법인 기술리더는 "이번 제안은 매우 인상적"이라며 "앞으로도 KAIST 학생들의 활발한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황 과정생은 "세계 각국의 우수한 연구자들과 협력하며 실제 산업 문제를 논의하는 시간은 ... ...
체외서 나노로봇 조종해 체내 암세포만 제거…노벨상 산실 獨-英 연구기관과 협력
동아사이언스
l
2025.08.01
막스플랑크 연구회는 연구를 수행하는 독일 내 막스플랑크 연구소(MPI)뿐 아니라
미국
, 이탈리아,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등 해외 4개국에 해외 연구소를 운영하고 11개국 18개의 인터네셔널 막스플랑크 센터를 선정하고 지원한다. 연세 IBS 센터가 인터내셔널 막스플랑크 센터로 일본에 이어 아시아에 ... ...
AI 과학자 회의로 며칠만에 코로나19 치료제 후보 92개 도출
동아사이언스
l
2025.08.01
동시에 여러 개 진행하며 복잡한 연구전략을 알아서 세우고 진행했다. 제임스 조
미국
스탠퍼드대 생의학데이터과학과 교수와 존 박 챈 저커버그 바이오허브 연구원 공동연구팀은 AI 에이전트들로 구성된 가상 연구실을 운영해 새로운 코로나19 치료제 아이디어를 빠르게 도출하는 데 성공하고 ... ...
[과기원NOW] KAIST, 콩벌레 공생 곰팡이 유래 항신경염증물질 합성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7.31
합성하는데 성공해 차세대 신경퇴행성 질환 약물 개발 가능성을 제시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
화학회지에 16일 실렸다. ■ KAIST는 31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인공지능 대전환(AX)의 미래: 피지컬 AI’를 주제로 ‘제1회 국가미래전략기술포럼’을 열었다. 제1회 포럼 주제는 ‘피지컬 AI’였다. ... ...
코로나19·독감, 폐 속 '잠자는 암세포' 깨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31
암 사망률이 증가했던 이유를 파악하는 데 참조가 될 전망이다. 제임스 데그레고리
미국
콜로라도대 의대 생화학·분자유전학과 교수 연구팀은 쥐실험을 통해 호흡기질환 감염이 암세포를 각성시킬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고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30일 발표했다. 앞서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