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
단자
마지막
터미널
뉴스
"
전극
"(으)로 총 1,018건 검색되었습니다.
구부리거나 돌돌 말아도 문제없는 태양전지·광센서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1.27
해당 소재는 투명
전극
과 태양전지, 디스플레이 등의 활성층 사이에 계면층으로 사용돼
전극
과 활성층 간 결합 특성을 개선하고 기계적 및 화학적 내구성을 동시에 높였다. 연구를 이끈 임 책임연구원은 “이번 기술은 필름형 유연 기판을 사용하는 롤투롤 생산 공정에서의 생산 수율을 크게 ... ...
BCI 어벤져스 모인 '뉴로X 연구소'에 가다
과학동아
l
2024.11.23
임플란트로 전달되도록 했다. 임상시험 참가자가 이식받은 뇌 임플란트에는 64개의
전극
이 달린 장치 2개가 있다. 이를 통해 움직임을 명령하는 뇌 신호를 받고 척수로 전달해 걸을 수 있게 해준다. CEA Grenoble 제공 "신호를 받자마자 마법처럼 걷게 되는 건 아니에요." 쿠르틴 교수가 설명을 ... ...
하폐수 발생한 곳에서 바로 방류하는 처리 장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1.21
경우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번에 개발된 소규모 전기화학적 장치는 고효율
전극
소재 외에도 폐수를 장치 내에서 순환시키면서 다량의 과산화수소를 발생시키고 잘 섞이게 하는 '유동식 반응기' 방식을 도입했다. 현장에서 난분해성 유기물을 산화·분해해 빠르게 무기물화한다. ... ...
친환경 청록수소 상용화 앞당길 신개념 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1.21
에너지연에서 개발한 촉매는 반응 후 촉매 표면에 탄소나노튜브가 생성됐다. 이차전지
전극
소재나 건축 소재 등에 널리 활용되는 고부가가치 탄소 물질이 수소 생산과 동시에 만들어진 것이다. 김 책임연구원은 "수소 생산과 동시에 탄소나노튜브 생산도 가능해 생산성, 경제성 모두를 잡은 획기적 ... ...
그린수소·배터리 신소재, 빠르게 찾아내는 AI
동아사이언스
l
2024.11.21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했다"며 "특히 그린수소와 배터리 분야에 활용될 촉매,
전극
개발을 가속해 고성능 친환경 에너지 기술의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전했다. - doi.org/10.1002/aenm.20240234 ... ...
효율 좋은 항공우주산업용 배터리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1.19
하는 탄소섬유 부피 비율이 기존 탄소섬유 활용 배터리 대비 160% 이상 향상됐다.
전극
과 전해질 접촉면이 획기적으로 증가해 전기화학적 성능이 개선된 고밀도 구조 배터리를 제작한 것이다. 경화 공정 중 구조 배터리 내부에 발생할 수 있는 기포를 제어해 구조 배터리의 기계적 물성도 ... ...
뇌 연구에 자유를…무선 뇌신경 신호 기록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1.19
접목시켰다. 특히 뇌 심부 영역의 신경 신호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3차원 다공성
전극
과 유연한 신경 탐침과 생분해성 삽입 셔틀을 통해 안전하게 뇌에 이식할 수 있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다. 이 기술은 미국의 뉴럴링크와 스위스 로잔연방공대 등에 이어 한국에서 독자적으로 개발된 ... ...
심장을 다시 뛰게 하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1.16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9월 9일 조슈아 루프톤 미국 오리건보건과학대 교수팀은 AED의
전극
패드를 가슴과 등에 붙였을 때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이 더 높다고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2019년부터 2023년까지 미국의 한 지역 소방 응급 의료 서비스 기관에서 심장질환으로 치료받은 환자 255명의 ... ...
[과기원NOW] GIST, 학생연구원에 대한 갑질 뿌리 뽑는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1.14
번의 충·방전 후에도 90% 이상 성능을 유지하며 높은 안정성을 보였다. 박 교수는 "차세대
전극
소재 개발에 있어 새로운 접근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 KAIST는 문홍철 생명화학공학과 교수팀이 박태호 포스텍 화학공학과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기존 N형 열전갈바닉 소자 성능 한계를 ... ...
신개념 이차전지 설계로 에너지밀도 20%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12
더욱 개선된 이차전지를 구현할 계획이다. 고에너지밀도와 고출력이 동시에 가능한
전극
설계 등 연구를 지속 수행할 예정이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트리얼’에 지난달 22일 온라인 게재됐다. - doi.org/10.1002/aenm.20240365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