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뉴스
"
조절
"(으)로 총 4,208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자 에너지 자유자재로 제어…양자컴 큐비트 성능 '업'
동아사이언스
l
2025.02.27
요리에 쓰는 ‘채’와 유사한 ‘필터’를 이용해 단일전자의 에너지를 원하는 방식으로
조절
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전자는 원자를 구성하는 기본 입자로 전자의 이동 경로를 쪼개면 두 가지 경로(0과 1)를 동시에 지나는 양자 중첩 현상을 보인다. 이러한 특성을 정보처리에 ... ...
'발암성 단백질' 특성 밝혔다…암 성장 제어 신약에 기여
동아사이언스
l
2025.02.27
활성을 억제하는 저해제가 제대로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연구팀은 KRAS의 발현을
조절
하는 새로운 네트워크를 발견했다. 또 이 네트워크가 고형암 생성과 발달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도 최초로 규명했다. 연구팀은 암 세포주와 암에 걸린 쥐 모델을 활용해 KRAS와 USP9X/NDRG3 ... ...
인공 환각 줄인다…의심하고 검증하는 AI 제안
동아사이언스
l
2025.02.27
사건을, 간접경로 가시뉴런은 예상치 못한 사건을 마주한 경험을 부호화해 행동 전략을
조절
했다. 직접경로와 간접경로는 기저핵의 두 가지 주요 회로를 의미한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뇌의 맥락 추론 방식은 대규모 AI 모델과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점을 확인했다. 챗GPT나 딥시크 등 AI ... ...
혈액암 '다발골수종', 이중항체 치료제로 생존기간 3배
동아사이언스
l
2025.02.26
의미한다. 이중항체 치료제의 부작용은 기존 치료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대부분
조절
가능한 범위 내에서 발생해 안전성 또한 확인됐다. 다만 감염 발생 가능성을 주의해야 하며 치료 과정에서 지속적인 감염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민창기 교수는 “인구 고령화로 국내 다발골수종 ... ...
[사이언스영상] 척수 손상 환자를 위한 로봇
SEIZE
l
2025.02.26
로봇 손가락이 물체를 잡아주는 식이다. 손목을 더 젖히면 물건을 강하게 잡는 등 세기
조절
도 가능하다. 이전까지 악력을 도와주는 로봇은 근전도 센서 등을 이용했다. 이런 로봇은 근전도 센서를 손등에 부착해야 해 불편함이 있었는데 로봇 장갑은 손목만 움직이면 돼 사용이 간편하다. 연구팀은 ... ...
방사성폐기물 속 우라늄 흡착·회수 고성능 신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5.02.24
후처리 공정이 없어 폐기물도 줄일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또 기공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
할 수 있어 흡착제뿐 아니라 기공에 물질을 담아 운반하는 방식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임상호 원자력연 방사화학기술개발부장은 "우라늄 자원 회수, 방사성 물질로 오염된 폐수 관리뿐 아니라 촉매제, 약물 ... ...
'제로 슈거'가 설탕보다 건강?…혈관 염증 유발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24
마음껏 먹으라는 의미는 아니다”라며 “장기적 안전성을 고려해 설탕 섭취량을
조절
하듯 인공 감미료 또한 과도하게 먹지 않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 ...
韓 과학자 독창성, 2차원 반도체 소재 장벽 돌파
동아사이언스
l
2025.02.21
수 있어 고온 공정 제약이 큰 실제 반도체 공정에 적용하기 용이하다. 두께도 정밀하게
조절
할 수 있어 적층형 반도체 기술 구현에도 이점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하이포택시는 2차원 반도체 외의 물질에도 널리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문 연구원은 "다른 TMD 단결정도 하이포택시로 구현하는 데 ... ...
뇌에서 합성되는 여성 호르몬, 식욕 억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20
막지 않는 한 식탐을 내지 않는 특징을 보인다는 점도 확인됐다. 연구팀은 “식욕
조절
에 기여하는 에스트로겐은 뇌에서 유래한 에스트로겐일 가능성이 높다”며 “체중을 줄이기 위한 방법을 찾는 데 여성 호르몬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doi.org/10.1111/febs.1 ... ...
체지방 감소 이어 '근육량 증가' 신약 등장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5.02.18
항체 '아피테그로맙'에 대한 신약 승인을 신청했다. 미오스타틴은 근육량
조절
에 중요한 단백질이다. 발현을 차단하면 근육 성장이 촉진된다. 미오스타틴 단백질 발현에 관여하는 유전자는 약 30년 전에 발견됐지만 아직까지 이를 활용한 치료제가 상용화되진 않았다. 아피테그로맙은 미오스타틴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