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뉴스
"
조절
"(으)로 총 4,136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인 뼈 건강 회복 골든타임은 6개월
동아사이언스
l
2024.12.23
보내 관찰한 결과다. 우주비행사를 대상으로 분자 수준의 변화를 살펴 DNA 손상과 면역
조절
인자인 사이토카인 수치 상승 등이 유발된다는 점도 확인됐다. 연구팀은 "유인 우주 탐사를 대비해 우주인들의 안전과 건강 확보를 위한 연구가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 ...
'소크라테스 기능이란?' 선생님이 알려주는 과학동아 AiR 실전활용법
2024.12.21
밝혔습니다. "답변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고 질문 또한 정석적으로 훌륭하다. 시간을
조절
해 답변할 수 있다면 면접에 있어 중요한 질문들에 대해 순발력 있고 재치 있게 답변해 보는 경험을 할 수 있을 것 같다." 예비 교사 B는 과학동아AiR의 소크라테스 기능을 더 잘 활용할 방법과 개선점을 ... ...
장애물 치우고 수륙 수송 작전 수행…개미처럼 협력하는 마이크로 군집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4.12.20
들어 있다. 회전하는 자석으로 만든 외부 자기장은 로봇 내부 자석이 자성을 띠는 각도를
조절
해 군집 로봇이 모이는 밀도나 모양을 제어한다. 연구팀은 로봇들이 길게 정렬하도록 해 막대 모양을 만들거나 45도 방향으로 연결된 지그재그 모양으로 조립하는 데 성공했다. 군집 로봇이 혈관을 ... ...
비타민D 보충, 노년기 근감소증 예방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19
운동을 하면 근육에서 근육호르몬인 ‘마이오카인’이 분비돼 근육 기능을
조절
한다. 연구팀은 나이가 들면 마이오카인 중 77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뤄진 펩타이드인 '아펠린'과 그 수용체의 양이 급격히 감소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또 비타민D 2만 IU(국제단위)/kg을 보충하면 아펠린의 혈중 ... ...
덜 먹으면 덜 늙는 이유 뭘까…분자에서 단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12.19
푸짐한 식사를 자리와 술자리가 잦아지는 연말이지만 이번 시즌이 지나면 다시 식사량을
조절
하는 것이 좋겠다. 칼로리 제한이 수명 연장과 연관이 있다는 분자 단위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셩차이 린 중국 샤먼대 생명과학대학 교수 연구팀은 장내 박테리아가 만든 특정 분자가 수명 연장에 ... ...
알츠하이머병 원인 '타우단백질' 제거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18
증가하는 반면, VCP 발현이 증가할 땐 타우단백질의 응집이 감소했다. VCP 발현을
조절
해 타우단백질을 제거하는 기전을 규명한 것이다. VCP는 단백질 항상성 유지에 필수적인 단백질이다. 신경계와 근골격계에서 비정상적인 단백질 응집과 세포 사멸을 일으키는 희귀질환인 다기관 단백질 질환 ... ...
원형 형태 RNA로 표적 유전자 치료
동아사이언스
l
2024.12.18
점을 밝혔다. 김 교수는 “인위적으로 제작된 원형 RNA를 이용해 세포 내 특정 mRNA의 양을
조절
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며 “원형 RNA로 표적 유전자 발현을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밝혀낸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번 연구 결과는 다양한 질병 치료제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 ...
테이블·의자·카트로 변신하는 로봇 가구…"초소형 주거 혁신"
동아사이언스
l
2024.12.18
상황에서 신속하게 기능할 수 있다. 성장기 어린이 신체 발달에 맞춰 높이나 크기도
조절
할 수 있다. 곽 선임연구원은 "오봇은 초소형 주거 문제를 해결할 혁신적 해법으로 청년과 1인 가구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용자층에게 새로운 공간 활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며 "자원의 효율적 사용과 지속 ... ...
결정면 따라 다른 차세대 양자점 성질 최초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12.17
{111}면에서는 검출 한계 수준인 약 3%에 그쳤다. 노출면에 따라 소재의 물리화학적 성능을
조절
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한 것이다. 연구결과는 나노입자 표면을 정밀하게 제어해 InP 결정 표면의 화학반응을 분자 수준에서 규명한 최초의 사례다. 정 교수는 "InP 양자점 표면 리간드 결합 강도와 광산화 ... ...
5G 드론플랫폼·반도체 초순수 국산화…국가R&D 우수성과 100선
동아사이언스
l
2024.12.17
유전자 교정을 만들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성과다. 'RNA 간섭을 통한 암 유발 유전자
조절
에 필수적인 인간 다이서 효소 구조 규명' 연구결과도 희귀 암 치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돼 최우수성과로 선정됐다. 에너지·환경 분야에서는 반도체용 '초순수' 생산기술을 국산화해 산업 경쟁력을 높인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