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뉴스
"
조절
"(으)로 총 3,910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 아이 뇌는 어떻게 성장할까…두뇌 발달 ‘열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9
대한 가설을 검증했다. 시뮬레이션하는 동안 시상-대뇌피질 연결 규칙을 임의로 교란(
조절
)하니 내‧외부 네트워크 간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이는 횡·종단적 데이터 분석에서도 확인 가능함을 함축적으로 의미한다. 동시에 인과관계를 나타내는 뇌 발달 곡선도 추적 조사했다. 성숙한 ... ...
우울증이라고 다 같진 않다…"6개 유형별로 치료전략 다를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06.17
다른 유형의 환자에 비해 '벤라팍신'이란 우울증 약이 높은 효과를 보였다. 주의력을
조절
하는 뇌 회로가 정상적인 휴식을 취하지 않는 유형의 경우 대화를 통한 치료의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는 그간 천편일률적이었던 우울증 치료 전략을 지금보다 ... ...
부모 4명 중 1명 "아이, 불안감에 못 자"
동아사이언스
l
2024.06.17
아이의 성장 및 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며 “수면 주기를
조절
하기 위해 가끔 사용할 수는 있지만 매일 복용하는 수면 보조제로 써선 안 된다”고 말했다. 사용 전에는 반드시 소아과 의사와 상의하고 낮은 복용량으로 시작해야 한다고도 권장했다. 응답자 4명 중 1명은 ... ...
세포 에너지 공장 '미토콘드리아' 발열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7
발생한 열이 세포핵까지 전달돼 열을 감지하고 열충격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
하는 것으로 알려진 HSF1 단백질을 활성화한다는 사실도 함께 밝혀냈다. 이번 연구는 미토콘드리아가 내는 '열' 자체가 신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최초의 연구다. 연구팀은 "추가 연구를 통해 미토콘드리아로부터 ... ...
실연의 아픔, 약한 뇌 전기자극으로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7
이어 “사랑트라우마증후군과 특정 뇌 영역의 활성화와 관련된 감정
조절
사이의 관계에 주목하면 관련 뇌 영역을 다루는 유망한 치료 방법의 단서를 찾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 ...
'세포 죽음 연구자' 김유선 교수,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4.06.14
치료제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최근에는 염증성 대장암 치료에 NAMPT 유전자 활성
조절
을 이용할 수 있음을 밝혀 대장암 항암면역 치료법 개발 길을 제시한 김 교수는 “세포 죽음에 대한 연구가 인간 질환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작은 퍼즐 조각으로 작용할 것으로 믿는다”며 ... ...
접착제로도 쓰는 만능 '유기물 유리'…물만 있으면 자가치유까지
동아사이언스
l
2024.06.13
곡률과 초점거리를
조절
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펩타이드 유리는 기계적 특성을
조절
할 수 있고 재활용이 가능하다"며 "재료공학, 광학 및 전자광학 제조 분야, 접착제와 렌즈 제조에도 쓰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
사람 보행 돕는 입는 로봇 개발…"역대급 성능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4.06.13
이동 능력을 보장하는 수단으로 주목받는다. 오랜 시간에 걸친 인체 테스트와
조절
과정이 필요해 설계가 복잡하고 비용·시간이 많이 든다는 점이 해결 과제다. 인간이 직접 착용하지 않고 시뮬레이션만으로 이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있었지만 인간과 로봇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지 않아 사람에게 ... ...
뇌 안에 통증, 쾌락 '교차점'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2
국내 연구진이 쾌락과 통증이 같은 뇌의 영역에서 반응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통증과 쾌락 두 가지 경험에 모두 반응하 ... 경험의 다양한 조합에 따른 뇌 반응을 비교해 뇌가 어떻게 통증과 쾌락 경험을 통합하고
조절
하는지를 더 자세히 이해하겠다는 목표다 ... ...
[과기원NOW] DGIST, 뇌 속 세포들 간 소통방법을 집대성한 종설 논문 발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12
제공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엄지원·고재원 뇌과학과 시냅스 다양성 및 특이성
조절
연구단 교수 공동 연구팀이 성상교세포-신경세포 상호작용에 대한 종설논했다고 11일 밝혔다. 성상교세포는 신경세포와 가까이 있어 시냅스 형성을 돕고 새로 생긴 시냅스를 안정시키며 약하거나 부적절한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