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뉴스
"
조절
"(으)로 총 4,296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환경 모사해 차세대 전력반도체 성능 평가
동아사이언스
l
2025.02.17
'방사선 물리학 및 화학'에 공개됐다. 전력반도체는 전자기기에서 전류 방향을
조절
하고 전력 변환을 제어하는 등 사람 몸의 근육 같은 역할을 한다. 현재 전력반도체 소재로는 실리콘(Si)이 가장 많이 활용되지만 차세대 소재로 SiC, 다이아몬드 등 성능과 내구성이 뛰어난 전력반도체가 주목받고 ... ...
저렴한 '코발트-철' 촉매로 친환경 수소 생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6
산화물의 독특한 산화-환원 특성(Ce³⁺/Ce4⁺ 전환)을 이용하면 촉매의 전자 특성을
조절
하는 것이 가능하다. 촉매 표면에서 암모니아가 질소와 수소로 분해되는 과정 중 가장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계(속도결정단계)인 질소의 재결합-탈착 반응이 원활히 이뤄지는 것이다. 이번에 개발된 촉매는 ... ...
레카네맙·도나네맙…알츠하이머 정복, 코 앞일까
과학동아
l
2025.02.15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장을
조절
해 알츠하이머 병을 치료하겠다는 전략, 생체리듬 자체를
조절
해 보겠다는 전략 등 새로운 접근도 있다. 허향숙 한국뇌연구원 퇴행성 뇌질환 연구그룹 책임연구원은 현재 전자약과 디지털 치료기기를 이용해 알츠하이머 병을 치료하려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
[헬스토크] 심각한 수족냉증, 사실 ‘이 질환’ 일 수 있다는데
동아사이언스
l
2025.02.15
수 있는 담배를 끊고, 의사와 상의해 혈관을 수축시킬 수 있는 베타 차단제 등의 약물도
조절
해야 한다. 안중경 교수는 “치료를 위해 혈관 확장제를 처방하기도 하며, 약물로 낫지 않는 경우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교감신경 차단술도 시행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안중경 강북삼성병원 ... ...
노벨화학상 베이커 교수팀, AI로 '100% 인공' 효소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4
분해하는 효소를 설계할 수도 있다. 이번 연구에 대해 노엘리아 페루즈 스페인 유전체
조절
센터 연구원은 "AI 도구가 언젠가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완전히 새로운 화학반응을 일으킬 효소 설계에 사용될 수 있다"며 "무엇이든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한계는 오직 상상력"이라고 밝혔다. - ... ...
코로나19 백신 부작용과 유사한 새 '혈전증'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5.02.14
것이다. 연구팀은 진단을 위해 새로운 바이오마커를 개발하고 있다. 치료법으로는 면역
조절
치료를 고려하고 있다. 연구팀은 고용량 정맥 면역 글로불린(IVIG)과 다발성골수종 치료제 등이 효과를 보일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를 이끈 고든 교수는 "기존 혈전증과는 다른 메커니즘을 ... ...
"디저트배 따로 있어" 과학적 근거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4
포만감은 뇌 신경세포 중 하나인 시상하부의 신경세포 'POMC'가 담당한다. POMC는 포만감을
조절
하는 주요 뉴런으로 흥분성 멜라노코르틴 신경펩티드를 통해 배가 부를 때 음식 섭취를 줄이도록 한다. 연구팀이 생쥐의 뇌를 분석한 결과 POMC은 생쥐가 포만감을 느낄 때 설탕을 먹으면 포만감 자극 ... ...
"우울증 대표 증상은 '무기력'…계획 범죄로 이어지기 어려워"
동아사이언스
l
2025.02.13
사건 피의자는 다른 정신질환을 앓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도 보았다. 채 교수는 "충동
조절
장애와 같은 질환을 함께 앓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며 "단순한 우울증 환자의 살인 충동은 일반인보다도 떨어진다"고 강조했다. 지난 10일 이 사건의 피의자 교사는 재직 중인 학교에서 8살 김하늘 양을 ... ...
머릿속 '별세포' 칼슘 신호
조절
해 뇌졸중 치료
동아사이언스
l
2025.02.13
기술의 성공적인 적용은 우리 연구팀이 개발한 광유전학 기술을 통한 정밀 뇌기능
조절
의 가능성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향후 뇌 전체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버전의 옵토스팀원 개발과 함께 알츠하이머병을 비롯한 다양한 신경퇴행성 질환의 치료 가능성을 넓혀 나갈 ... ...
0.01나노미터 정밀
조절
로 핵융합 원료 중수소 골라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2
설명했다. 연구를 이끈 오현철 교수는 “다공성 물질의 나노 기공 크기를 정밀하게
조절
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며 “동위원소 분리뿐만 아니라 다양한 가스 분리 분야에도 응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앙게반테케미’에 지난달 12일 게재됐다.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