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타락
쇠퇴
퇴보
저하
퇴폐
저락
악화
뉴스
"
퇴화
"(으)로 총 156건 검색되었습니다.
안약으로 실명 원인 1위 질환 치료
2014.11.07
색과 윤곽을 뚜렷하게 구별해주는 원추세포가 모여 있다. 황반변성은 황반의 시세포가
퇴화
돼 점차 시력을 잃게 되는 질환이다. 연구진은 ‘계획성세포괴사’라는 현상이 건성황반변성에서 시세포를 죽게 만든다는 사실을 밝히고 이 현상을 일으키는 핵심 물질인 ‘RIPK1’ 단백질을 억제하는 ... ...
남성의 상징, Y 염색체가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4.10.31
주장했다. 실제로 두더지들쥐나 일부 고슴도치는 포유류이면서도 Y 염색체가 완전히
퇴화
돼 Y 염색체가 없는 종도 있다. 하지만 데이비드 페이지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화이트헤드연구소 박사는 “2500만~1000만 년 전 Y 염색체에서 사라진 유전자는 단 1개뿐”이라며 “Y 염색체는 앞으로도 ... ...
고장난 신경세포 복구 단백질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6.25
ATM은 지금까지 이중나선 절단의 복구에만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신경세포의
퇴화
를 막는 기능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은 이번 성과를 신경질환 치료 물질 등을 개발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영수 교수는 “이번 연구는 신경계 ... ...
물고기 복지에 대한 고찰
2014.06.23
없다. 후각이 예민한 걸로 유명한 상어의 경우 민감도가 사람의 1만 배다. 반면 미각은
퇴화
돼 신맛과 쓴맛 정도를 느낀다고 한다. 청각은 꽤 발달해 있는데, 참고로 물속에서는 음파가 공기에 비해 4.5배나 빠르게 전파된다. 귀의 구조, 특히 내이의 구조는 모든 척추동물에서 잘 보존돼 있는 것으로 ... ...
존재의 이유, Y염색체의 경우
2014.05.20
쌍(위 맨 왼쪽)에서 웅성을 결정하는 유전자(SRY)가 한 쪽에 생기면서 Y염색체가 되고 이게
퇴화
하면서 현재 인간의 Y염색체(위 맨 오른쪽)가 나왔다. 아래는 조류와 포유류에서 일어난 진화 과정을 함께 보여주고 있다. - 네이처 ... ...
젖가슴에 대한 과학적 고찰
2014.05.13
하는데, 이때 젖꼭지가 축 처진 젖가슴에 달려 있어야 아기가 빨기 쉽다는 것. 또 턱이
퇴화
하면서 얼굴이 편평해짐에 따라 젖가슴의 지방조직이 완충제 역할을 한다는 것. (갈비뼈를 덮은 살에 붙어있는 젖꼭지를 빨려다 코가 깨질 수 있다!) 결국 이런 목적으로 어느 정도의 지방조직이 있으면 되기 ... ...
경주 토종개 '동경이' 꼬리뼈 어디 갔니~?
과학동아
l
2014.04.08
확인됐다. 연구팀은 이 두 개의 유전자가 특이 단백질을 만들어내 동경이의 꼬리뼈
퇴화
를 유도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김태헌 과장은 “이번 성과를 천연기념물인 경주개 동경이의 혈통 보존과 유전자원 관리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예정”이라며 “개의 형태학적 특성과 동물의 진화과정 ... ...
"나는야 6000살 먹은 물고기라네"
과학동아
l
2014.03.13
차단된 동굴 생활로 멜라닌 색소를 공급받지 못해 피부가 옅은 분홍색에 투명하며, 눈도
퇴화
돼 매우 작은 상태다. 또 머리가 유난히 크고 전체 몸길이는 3.44cm 정도다. 연구팀은 이 어류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현재 제주도 연안에 서식하고 있는 유사종인 주홍미끈망둑과 8.9%의 ... ...
근육예찬
동아사이언스
l
2014.02.18
ageing)’이라는 제목에 혹해 읽어봤다. 연구자들은 결국 노화란 신체적 기능과 운동성의
퇴화
가 핵심이라고 지적하면서 근골격계에 주목한다. 뼈에 대한 얘기는 건너뛰고 근육 얘기만 하면 결국 노화란 근육의 양과 힘, 기능이 소실되는 ‘근감소증(sarcopenia)’의 진행정도라는 말이다. 즉 나이가 듦에 ... ...
무열왕의 아들 삼국 통일에 실질적 이바지
동아사이언스
l
2013.10.29
경주 남산동 동ㆍ서 삼층석탑(보물 제124호)을 모방한 것으로 여겨지며 통일신라 후기의
퇴화
되는 과정에서 성립된 석탑으로 추측된다. 이 탑도 효현리 삼층석탑과 마찬가지로 한국이 자랑하는 보물이지만 사람들의 주목을 못 받는 것은 유사하다. 많은 사람들이 서악 정상까지의 등산로로 ... ...
이전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