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타락
쇠퇴
퇴보
저하
퇴폐
저락
악화
뉴스
"
퇴화
"(으)로 총 151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물do감] 박쥐가 떼지어 날아도 충돌하지 않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5.04.04
떼가 석양을 배경으로 날아가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눈이 거의
퇴화
한 박쥐는 초음파를 활용해 주변 환경을 분석하며 날아다닌다. 박쥐가 떼를 지어 날아다닐 때 서로의 초음파가 간섭 현상을 일으키지만 박쥐끼리 거의 충돌하지 않는 이유가 밝혀졌다. 자신의 바로 앞에 있는 박쥐의 정보만 ... ...
기증 태아서 '망막 줄기세포' 발견…실명 치료길 열리나
동아사이언스
l
2025.03.28
손실을 유발하는 ‘색소성 망막염’과 같은 질환이 있어도 망막은
퇴화
한다. 망막이
퇴화
되면 실명에 이를 수 있지만 아직 뚜렷한 치료 방법이 없다. 과학자들은 망막의 손상된 조직을 복구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로 줄기세포의 잠재력을 연구하고 있다. 인간의 배아 줄기세포나 성체 줄기세포뿐 ... ...
사람도 토끼처럼 귀를 쫑긋거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3.08
옛날엔 귓바퀴와 귓볼을 움직일 수 있었습니다. 2500만년 전부터 귀를 움직이는 근육이
퇴화
해 지금은 불가능해졌어요. 1월 31일 독일 자를란트대 연구팀은 사람의 귀 근육이 여전히 소리를 들을 때 움직이려 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20여 명의 사람들에게 오디오북을 들려주고 ... ...
딥시크 쓰면 정보 유출?…"AI, 우리 기억도 앗아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07
이처럼 인터넷, 인공지능(AI)으로 대표되는 디지털기기로 인해 인간의 기억력이
퇴화
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연구결과와 전문가의 의견을 집중 소개했다. 인터넷이 보편화된 2011년 미국 컬럼비아대에서 실시한 실험에서 어려운 질문을 받은 참가자들 대부분이 본능적으로 인터넷과 컴퓨터에 대해 ... ...
[SW가 여는 의료의 미래]⑤ 도파민 세포 추적해 파킨슨병 진단
동아사이언스
l
2025.02.06
생성하는 세포들이 밀집했다. 나이그로좀 영역의 도파민 세포는 파킨슨병에서 가장 먼저
퇴화
하는 요소다. 파킨슨병 환자가 신호 전달이나 운동 능력 조절에 손상을 입는 것도 나이그로좀에 있는 도파민 생성 세포가 손상을 입기 때문이다. 박 부사장은 "나이그로좀 도파민 신경세포를 추적하는 ... ...
'귀 쫑긋' 능력 사라진 줄 알았더니…소리에 반응하는 귀 근육
동아사이언스
l
2025.01.31
일부 사람들은 여전히 귀를 부분적으로 움직일 수 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귀 근육의
퇴화
로 더 이상 귀를 움직이지 못한다. 그런데 연구팀은 소리를 감지할 때 귀 근육이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실험참여자 20명을 대상으로 청취 능력을 평가하는 과제들을 제시했다. 귀 ... ...
[SW가 여는 의료의 미래]④ 게임도 '치료제'…놀이하며 ADHD 치료
동아사이언스
l
2025.01.30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모티브는 이에 맞춘 선제적 준비를 하고 있다. 인지능력이
퇴화
되지 않게 유지시키거나 좀 더 강화할 수 있는 웰니스 제품도 지난달 30일 안드로이드마켓을 통해 출시했다. 일본, 태국 시장을 타깃으로 한 해외 진출도 타진해보고 있다. 이모티브 제품을 자동차에 넣는 ... ...
어머니 X염색체만 활성화된 암컷 쥐, 뇌 노화 빨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그 결과 어머니의 X염색체만 활성화된 생쥐는 노화 진행에 따라 기억력과 학습 능력의
퇴화
가 더 빠르게 진행됐다. 또 생쥐의 해마(학습과 기억에 중요한 뇌 영역)에선 생물학적 노화가 가속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듀발 교수는 "어머니의 X염색체만 발현된 생쥐는 유전적으로 거의 동일한 자매 ... ...
[동물do감] "사람에게 먹이 받아먹은 다람쥐 턱뼈 약해져"
동아사이언스
l
2025.01.16
부드러운 껍질의 견과류를 주로 먹으면서 딱딱한 껍질의 견과류를 먹을 수 있는 능력이
퇴화
된 것"이라면서 "사람이 주는 먹이가 야생동물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라고 말했다. -DOI: 10.1098/rsos.24055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질소 고정 세포소기관' 발견…생물학 교과서 다시 쓸 성과
2024.12.25
하는 시아노박테리아(앞의 둘과 또 다른 계열)가 들어와 세포내공생체로 있다가 진화해(
퇴화
해) 막 세포소기관으로 넘어온 상태로 드러났다. 이 과정에서 게놈 크기가 약 500만 염기에서(분류상 가까운 종의 크기와 비슷하다고 했을 때) 144만 염기로 줄어들었고 그 결과 광합성과 세포호흡 관련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