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교과서"(으)로 총 166건 검색되었습니다.
- 종교는 과학을 도울 수 있을까?2015.08.10
- 전문가들 사이에서 정직한 논쟁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수년 전 교과서 진화론 논란을 취재하며 종교의 맹목성과 독선을 접하고 좀 질린 필자로서는 10억 명이 넘는 신자를 두고 있는 거대 종교의 수장이 ‘이성과 관용, 자비와 절제’를 지닌 사람인 것 같아 무척 다행이라는 생각이 ... ...
- 분단 70년, 과학 용어 비교..."남북 과학 협력하려면 말부터 합쳐야"동아사이언스 l2015.07.28
- , ‘회리치는 물의 에네르기는 코시누스 모양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북한의 과학 교과서에 나올 법한 문장을 가상한 것이다. 보다시피 웬만큼 과학을 안다는 사람에게도 ‘외계어’ 수준이다. 남북이 분단 70년 만에 이렇게 많은 차이를 가지게 된 이유는 뭘까 남북이 원활한 교류와 협력을 ... ...
- 여섯 번째 DNA염기 존재하나?2015.06.29
- 여섯 번째 염기인 히드록시메틸시토신(5hmC)에 이어 일곱 번째인 포르밀시토신(5fC)과 여덟 번째인 카르복실시토신(5caC)의 발견은, 우리가 지금까지 게 ... 사람의 게놈에도 6mA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연 6mA가 여섯 번째 염기로 생명과학 교과서에 등장할 수 있을지 지켜볼 일이다. ... ...
- 병원체에 대한 고찰2015.06.22
- 있다는 사실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 그 가운데 조절T세포를 주목할 만하다. 십여 년 전 교과서를 보면 T세포는 조력T세포와 세포독성T세포 두 가지가 있어 각각 우리가 익숙한 면역작용, 즉 몸 안에 침입한 이물질을 없애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었다. 그런데 조절T세포라는 또 다른 종류가 ... ...
- 고세균 로키, 진핵세포 진화의 잃어버린 고리인가2015.05.11
- 서모플라스마도 고세균으로 분류된다. 그럼에도 분자진화 데이터가 축적되면서 오늘날 교과서 대다수는 우즈의 ‘3역 분류법’을 싣고 있다. 2_1970년대 시작된 분자진화 연구로 ‘3역 분류법’(왼쪽)이 오늘날 널리 쓰이고 있다. 즉 세균/고세균/진핵생물이 각각 역(domain)을 차지한다. 반면 최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늑대복원, 정말 필요할까2015.02.02
- 생태계 최상위 포식자를 들여와 먹이사슬의 균형을 맞추겠다는 명분도 있다. 생태학 교과서에 충실해 보이는 환경부의 해법에 다들 박수를 칠 것 같은데 반론도 만만치 않다. ● 늑대 한 무리가 1년에 소 17마리 죽여 무엇보다도 늑대가 가축과, 심지어 사람도 공격할 수 있다는 게 주된 이유다. ... ...
- 게놈 속의 ‘잠자는 개’를 깨우지 마세요2015.01.12
- 실렸다. 즉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가 항체를 만드는 B세포의 성숙을 돕는다는 내용이다. 교과서를 보면 항원-항체 반응은 적응면역계로 T세포의 안내를 받아 B세포가 성숙해 면역글로불린G 항체를 만든다고 나와 있다. 그런데 실제 면역계를 보면 이와는 별도로 면역글로불린M 항체를 만드는 B세포가 ... ...
- [생활 속의 기술] 아름다운 과학KOITA l2014.12.29
- 인포그래픽의 선구자들은 그런 사실을 잘 알고 있었다. 나이팅게일의 진심 인포그래픽 교과서에도 등장하는 유명한 그래프로, 19세기 중반 크림전쟁에서 활약한 간호사 나이팅게일의 파이 차트가 있다. 일명 ‘장미 다이어그램’이라고 불린다. 당시 군대에서는 전쟁에서 전사하는 군인의 수보다 ... ...
- 나눔연수 [제10회]동아사이언스 l2014.11.11
- 30명의 초·중·고등 교사가 참가했다. 이번 나눔연수에는 이성열 서울창동초 교사가 ‘교과서 기초과학 실험준비’라는 주제로 강사로 나섰다. 교사들은 복잡한 거울의 상을 다양한 거울을 사용해서 이해하는 법을 배우고, 간이 카메라, 입체경 등을 만들었다. 두 번째 시간에는 김정훈 ... ...
- 네안데르탈인은 언제 사라졌을까2014.09.22
- 년 수능에 ‘태양계 행성은 9개다’라는 항목이 나왔는데 이를 ‘옳음’으로 처리했다면(교과서에 그렇게 나와 있다는 논리로) 난리가 났을 것이다(2006년 8월 명왕성이 행성에서 퇴출되면서 태양계 행성은 8개가 됐다). 지난 주말 신문 북섹션에 ‘지식의 반감기’라는 책이 소개됐다. 반감기란 ... ...
이전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