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본
교재
교정
법률
법학통론
textbook
스페셜
"
교과서
"(으)로 총 166건 검색되었습니다.
안전하게 우주 비행하기
KISTI
l
2014.07.02
본받고 배워야할 자세다. 글 : 심우 과학칼럼니스트 1. 처음 읽는 미래과학
교과서
- 우주공학 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카리스쿨 3. ZDNet Korea 2014년 5월 3일자, “NASA, 우주구명보트 ... ...
[채널A]
교과서
에 없는 여성 과학자…성역할 고정관념 심어
채널A
l
2014.03.27
부산대 물리교육학과 교수]여성과학자들의 활약상, 사례를 의도적으로 매체나 학교,
교과서
에서 보여주는 것이 좋지 않을까. 그래야 좀 더 평등하고 균형잡힌 과학자에 대한 인식을 갖게 될 으로 생각하고요. 전문가들은 남성과 여성이 동등하게 등장하는 삽화를 의무화하는 실천방안이 시급하다고 ... ...
커피는 정말 피부의 적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4.01.13
떨어뜨려보면 누구나 반증할 수 있는 명백한 오류가 60여 년 동안이나 살아남아 과학
교과서
에까지 버젓이 실렸다는 건 지금 생각해봐도 미스터리한 일이다. ●커피 탈수 실험 논문 딱 두 편 그런데 최근 학술지 ‘플로스 원’에 혀지도까지는 아니지만 그래도 우리가 과학상식 내지는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3)
동아사이언스
l
2013.12.30
코돈임을 밝혔다. 또 게놈에서 운반RNA(tRNA)의 유전자를 찾아내기도 했다. 다들 생명과학
교과서
에 나오는 근본적인 발견이다. 셔먼은 연구자로서 뿐 아니라 교육자로서도 탁월했고 대인관계도 좋았다. 일리노이대 수전 리브만과 브랜다이스대 제임스 하버는 ‘사이언스’에 실은 부고에서 “다른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
동아사이언스
l
2013.12.23
내놓아(항원 제시) B세포가 항체를 만들게 유도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다들 면역학
교과서
에서 볼 수 있는 근본적인 발견이다. 1976년 면역학 분과 책임자가 된 아스코나스는 동료들을 이끌며 세포독성T세포가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죽인다는 사실 등 중요한 결과를 잇달아 내놓았다. ... ...
동화의 재구성, ‘빨간 모자’와 ‘해님달님’
동아사이언스
l
2013.12.09
실렸다. ●58가지 이야기 비교 영국 더럼대 인류학과 얌시드 테라니 교수는 생물학
교과서
에 나오는 계통분류학 방법을 이용해 동화 ‘빨간 머리’ 계열 이야기들의 계통수를 만들었다. 테라니 교수는 세계 33개 지역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빨간 머리’와 구성이 비슷한, 영역된 동화 58편에 ... ...
프르제발스키 말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7.15
난데없이 생물학
교과서
진화론 폐기 논란에 휩싸였다. 한 종교 계열 단체에서 제출한
교과서
개정 청원(아마 당사자들도 별로 기대하지 않고 낸 걸 텐데)이 덜컥 받아들여지면서 우리나라는 국제적인 망신까지 당했다. 진화론 창조론 논쟁은 미국 같은 나라에서나 있는 줄 알았던 필자는 내키지 ... ...
과학계의 미래는 과학계 스스로 만든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7.08
통해 창의성을 배양하고 자신감을 불어넣기 위함이다. 아울러 스토리텔링 방식의 수학
교과서
를 개발해 올해 초등 1~2학년과 중등 1학년을 대상으로 수업에 적용하고 있다. 내년에는 초등부터 고등 2학년까지 전 학년 수업에 도입된다. 단순한 암기식 훈련에서 벗어나 자발적인 사고력을 기르겠다는 ... ...
닐스 보어는 어떻게 양자역학의 전설이 되었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7.02
당시까지 알려진 실험데이터와 이론을 놀라운 통찰력으로 짜 맞춰 오늘날 우리가 물리학
교과서
에서도 볼 수 있는 ‘보어의 원자 모형’을 제안했다. 이 가운데 수소원자 모형을 제시한 1부가 기념비적인 논문이다. 학술지 ‘네이처’는 6월 6일자에 논문출간 100주년을 맞아 ‘양자 원자’라는 ... ...
인류 뇌팽창은 전두엽이 주도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6.17
운동을 조직하는 핵심 조절센터라는 건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쓴 바 있다. 우리가
교과서
에서 배우는 내용은 이때의 결론인 셈이다. 그런데 20여 년 전부터 소뇌의 새로운 기능이 속속 밝혀지면서 이제는 소뇌를 재평가해야 할 시점이라는 것. 즉 운동 조절 기능은 소뇌가 하는 일의 일부일 뿐 ... ...
이전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