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커플
스페셜
"
쌍
"(으)로 총 179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사 블랙홀로 호킹복사 관찰했다!
2016.08.29
광자
쌍
가운데 호킹복사만 관측할 수 있지만(물론 가능성으로서) 음향 블랙홀에서는 포논
쌍
모두를 관찰할 수 있다. 필자는 슈타인하우어 교수의 실험을 이해하는데 실패했지만 많은 물리학자들이 중요한 진전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아직 호킹 교수의 반응이 나오지는 않은 것 같은데 어떻게 ... ...
사람을 사냥꾼으로 부리는 꿀잡이새를 아시나요?
2016.07.25
사람들을 많이 만나게 된다. 서로 인사를 나누지는 않지만 자주 보다보니 사람과 개
쌍
이 대충 눈에 익는다. 이 가운데 연세가 지긋한 어르신과 역시 나이든 개를 보면(푸들인데 털에 윤기가 없고 한쪽 눈에 백내장 기운이 있다) 마음이 짠하다. 천천히 걸어도 숨이 찬지 노인은 산책길 중간에 앉아 ... ...
그레고르 멘델을 변호하다
2016.07.04
선택 필자는 대학원 때 식물유전학 연구를 했는데 애기장대란 잡초를 키웠다. 물론
쌍
떡잎식물을 대표하는 모델식물이다. 외떡잎식물로는 벼나 옥수수를 주로 연구한다. 그 밖에 담배, 페튜니아 같은 식물도 종종 등장한다. 그런데 어찌된 영문인지 완두를 대상으로 한 논문을 본 기억은 없다. 당시 ... ...
동성 커플의 자녀, 가정에서 행복감 느낄까
2016.05.10
등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2014년 호주에서 390
쌍
의 동성 커플 가정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한 연구에 의하면, 동성 커플 가정의 아이들과 이성 커플 가정의 아이들을 비교했을 때 평소의 행동양상, 활동성, 정신건강 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 ...
남성이 여성보다 성적인 생각을 더 많이 할까?
2016.04.12
여성들의 신체적 흥분 지표들을 통해 분석한 결과 남성과 다르게 남남/여여/남녀 모든
쌍
에 대해 성적 흥분을 느끼는 게 가능했다고 한다. 따라서 여성의 본능 자체가 일부일처제에 더 적합하다는 통념은 옳지 않다는 주장도 있다고 한다. 5. 여성들을 위한 포르노? Psypost의 한 기사에 따르면 왜 ... ...
현생인류 Y염색체에 네안데르탈인의 흔적 없다
2016.04.11
사이에 태어난 아이는 핵 게놈 유전자의 절반만이 네안데르탈인의 것이다(물론 유전자
쌍
가운데 하나로 굳이 표현하자면 3/2S1/2Nn). 2세대 혼혈 여성과 현생인류 남성 사이에 태어난 아이는 핵 게놈 유전자의 4분의 1만이 네안데르탈인 것이다(7/4S1/4Nn). 이런 식으로 세대가 진행돼 핵 게놈이 ... ...
새로운 심혈관계 질환 치료물질 개발을 위해 뛴다
IBS
l
2016.03.02
화학관 건물의 한 실험실. 이은성 연구위원(포스텍 화학과 교수)이 검은 고무장갑 한
쌍
이 팽팽하게 나온 글러브박스(밀폐공간이 필요한 실험을 위해 실험 상자에 고무장갑을 달아, 실험자가 외부에서 고무장갑에 손을 넣어 밀폐된 상자 속 실험을 조작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실험장비) 속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60]아인슈타인도 두 번 놀랐을 중력파 검출 성공!
2016.02.13
칼텍의 손 교수는 당시 유력한 후보로 여겨지던 초신성보다는 중성자별
쌍
이나 블랙홀
쌍
이 서로 접근해 충돌하며 합쳐질 때 나오는 중력파가 관측 가능성이 더 높다고 주장했다. 결국 이들의 이론을 바탕으로 라이고 프로젝트는 미국 북서부의 핸퍼드와 남동부의 리빙스턴에 관측소를(두 곳이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7)공룡발굴에 헌신한 조피아 카일란-자우오로우스카
2015.12.28
몽골 고생물탐사대가 고비사막 알탄울라에서 보존 상태가 거의 완벽한 어깨뼈와 팔뼈 한
쌍
을 발굴했는데, 팔 길이가 무려 2.4미터였다. 그러나 다른 부위의 화석이 없어 이 공룡의 실체를 두고 반세기 가까이 논란이 계속됐고 이 박사팀의 발굴로 상황이 종료됐다. 1965년 몽골 탐사를 이끈 ... ...
발열공포, 해열제로 해소되나?!
KISTI
l
2015.10.19
소아과 의사 바턴 슈미트가 1980년 발표한 논문에서 유래됐다. 그는 논문에서 “81
쌍
의 부모를 조사한 결과, 부모의 52%가 ‘아이가 40℃ 미만의 열로도 심각한 신경학적 부작용을 겪을 것’이라고 응답했다”며 “무려 85%의 부모가 아이의 체온이 38.9℃가 되기도 전에 해열제를 먹인다”고 밝혔다.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