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커플
스페셜
"
쌍
"(으)로 총 179건 검색되었습니다.
닐스 보어는 어떻게 양자역학의 전설이 되었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7.02
크릭은 프랭클린의 데이터에서 DNA가 이중나선일 거라는 확신을 얻자 샤가프 논문에서 두
쌍
의 1:1이 뜻하는 바를 순간 깨달으면서 아데닌과 티민, 구아닌과 시토신이 짝을 이루는 DNA이중나선 구조가 생물학적으로 필연임을 확신했다. 지금 생각하면 샤가프가 다 잡은 고치를 놓친 것처럼 보이지만, ... ...
필라델피아 염색체를 아십니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6.27
환자의 세포에 있는 9번 염색체와 22번 염색체
쌍
으로, 하나는 정상이지만(각
쌍
에서 위) 다른 하나는 전좌가 일어나 9번 염색체는 약간 더 길어졌고(위에서 두 번째) 22번 염색체는 짧아졌다(맨 아래). 짧아진 22번 염색체가 필라델피아 염색체다. - Amazon.com 제공 이 과정에서 오리건보건과학대로 ... ...
반도체의 탄생과 새로운 지평
KOITA
l
2013.06.17
위해 제법 많은 공간이 필요했다. 이 때문에 본격적으로 복잡한 회로가 나타나면서
쌍
극접합 트랜지스터는 금속-산화물-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metal-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이하 MOSFET)로 대체됐다. MOSFET은 1926년, 줄리어스 릴리언필드(Julius Edgar Lilienfeld)가 특허출원한 기술로 ... ...
골드바흐의 추측, ‘약하게’ 증명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28
이런 무명의 중년 수학자가 혜성처럼 나타나 저명한 수학자들도 손을 못 대고 있던
쌍
둥이 소수 추측을 증명하는데 출발점이 되는 결과를 내놓은 것이다. 기사에서 그랜빌 교수는 “이 증명은 정수론 역사에서 가장 위대한 결과 가운데 하나”라며 “탁월하다고 밖에 말할 수 없다. 내 생전에 ... ...
‘정크 DNA’는 정말 쓰레기통에 버려야 할 개념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5.22
게놈의 진화 과정을 도식화 했다. 2배체인 조상에서 유전자 10개가 있는 부분(a. 염색체는
쌍
으로 있으므로 하나만 표시)에서 전체게놈복제(WGD)가 일어나 4배체가 됐고(b. 유전자 20개) 뒤이어 중복된 유전자 일부가 소실됐다(c). 두 번째 WGD가 일어나 8배체가 됐고(d. 유전자 32개) 뒤이어 중복된 유전자 ... ...
불확실성 1.
KOITA
l
2013.05.09
먼저 이해해야 할 기본개념을 정리해 보자. 기본개념은 크게 다음 네 가지 용어와 의미의
쌍
(Pair)으로 설명할 수 있다. Forecasting vs. Exploration 예측(Forecasting)의 앞 단계에는 탐색(Exploration)이 있다. 흔히 미래에 대한 탐색을 바탕으로 예측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탐색과 예측을 어떤 관계로 볼 것인가에 ... ...
암흑물질, 아기 우주 나이 알려주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입자(WIMP)’로 이뤄져 있는데, 두 입자가 부딪쳐 소멸하면서 고에너지의 전자-양전자
쌍
을 내놓을 수 있다는 것. 여기서 나온 양전자 가운데 우주여행에서 살아남은 것이 AMS에서 검출됐다는 말이다. 물론 이에 대해서는 지금으로서는 확인할 수 없지만 프로젝트를 주도한 1976년 노벨물리학상 ... ...
곡물 게놈 해독이 동물 것보다 복잡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먼저 벼 게놈과 밀 게놈의 엄청난 크기 차이는 밀과 보리(게놈 크기가 50억 염기
쌍
)의 공통조상에서 게놈 크기가 뻥튀기 된 데서 비롯된 것임을 알았다. 벼과 식물 가운데 밀과 보리는 밀족(Triticeae)에 속한다. 참고로 분류학에서는 ‘계문강목과속종’의 단계만으로는 부족하기 때문에 중간에 세부 ... ...
프르제발스키 말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4.01
전반적으로 구조가 유지돼 있다. 따라서 생식세포를 만드는 감수분열에서 염색체
쌍
이 배열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거의 생기지 않는다. 1974년 학술지 ‘세포유전학’에 발표된 한 논문을 보면 감수분열 과정에서 모계(또는 부계)에서 받은 5번 염색체와 부계(또는 모계)에서 받은 23번, 24번 염색체가 ... ...
이전
14
15
16
17
18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