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약
계약
조약
맹약
합의
규약
동의
스페셜
"
협정
"(으)로 총 151건 검색되었습니다.
호혜적 동반자 관계를 향한 큰 걸음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6.23
마련한 것이다. 개정된
협정
은 많은 부분에서 이전보다 개선된 내용을 담았지만 아직
협정
발효까지는 양국의 국내 절차가 남아 있다. 조속한 시일 내에 남은 절차를 거치고 한미 양국이 원자력 분야의 전략적 동반자로서 한 걸음 나아가길 기대해본다. * 본 기사는 한국원자력문화재단의 ... ...
네안데르탈인은 언제 사라졌을까
2014.09.22
이러니 피해 당사자들은 오죽할까. 세계지리 8번 문제로 유럽연합(EU)과 북미자유무역
협정
(NAFTA)에 대한 설명 가운데 옳은 것을 찾는 것인데, 세 번째 항목인 ‘EU는 나프타보다 총생산액의 규모가 크다’가 말썽이 됐다. 2014년 수능 세계지리 8번 문제. - 동아일보 DB 제공 답은 ‘옳음’이었지만 ... ...
[UST] 공군과 첨단우주전력 강화 위해 손잡아
동아사이언스
l
2013.07.10
화) 공군본부에서 ‘항공우주 분야 협력 발전에 관한
협정
체결식’을 갖고 이와 관련한
협정
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양측은 △ 항공우주 분야 발전을 위한 정책개발 및 기술협력 △ 전문인력 양성 및 전문화 교육 △ 인적물적 자원의 상호활용 △ 항공우주 개발과 관련한 학술연구 자료 공유 등에 ... ...
IAEA 안전조치 담당 사무차장 원자력硏 방문
동아사이언스
l
2013.06.19
위한 연구를 추진할 예정이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IAEA와의 전면안전조치
협정
과 추가의정서 명시 사항을 준수하기 위해 안전조치 체제를 강화해왔으며, 분기별 자체점검활동을 통해 시설별 계량관리체제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핵안보와 관련해 핵탐지 및 감식 분야에 대한 정보 공유 협력을 ... ...
ETRI, 칭화대와 연구협력 위해 손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31
협력
협정
을 체결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고 ETRI는 설명했다. 한편, 이날 연구협력
협정
에는 최문기 미래창조과학부장관도 참석, 중국 최고의 대학인 칭화대의 기술사업화 성공 모델과 창업보육시스템, 중국의 SW인력 육성정책의 성공모델로 꼽히고 있는 칭화대의 소프트웨어 스쿨을 소개받기도 ... ...
우리나라의 원자력 발전
KAIST
l
2013.05.10
사용에 관한 대한민국 정부와 미합중국 정부 간의 협력을 위한
협정
(한미 원자력
협정
)’을 체결하고 1958년부터 연구용 원자로 도입계획을 추진하였다. 1959년 3월 원자력 연구개발을 위한 전문 연구기관으로 원자력연구소를 발족하여 원자력 산업에 가속화를 붙였고 이후 1962년 3월 100kW급 최초의 ... ...
KIST, ‘기초·원천 분야 특허 경쟁력 강화’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13.05.10
하월곡동 KIST 본원에서 연구개발 업무 협력 협약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력
협정
체결을 통해 양 기관은 기초·원천 기술 분야 관련 미래 유망 연구개발 전략 및 특허 포트폴리오 설계를 위해 협력하고 전자연구노트 활용 촉진 등을 위한 협력을 지속적으로 이행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문길주 ... ...
“바이오도 양보다 질로 K-POP처럼 세계 흔들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12.05
수 있는 협의체 신설을 제안하기도 했다. ● 세계는 지금 바이오 전쟁 중 한미 자유무역
협정
(FTA) 비준 같은 국내 바이오산업에 지각변동을 가져올 사안들에 대해 구체적이고 혁신적인 대응 방안이 있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윤엽 목암생명과학연구소 소장은 “지금 바이오 업계는 어느 기업이 ... ...
“한국 바이오에는 ‘디벨롭먼트(Development)’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7.17
물론 M&A는 정부 주도가 아니라 시장에 맡겨야 한다는 원칙은 지켜야 한다. 한미 자유무역
협정
(FTA) 등 여러 외부 영향 때문에 자연스럽게 M&A가 이뤄질 것으로 봤지만 아직은 그런 모습이 보이지 않고 있다. 시간이 좀 더 걸릴 것 같다. 가장 자연스럽게 가는 방향은 기술혁신을 통한 재편이다. 기업 R ... ...
“R&D 정책, 이제는 전문가 집단이 맡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4.12
인사 구조상 전문성을 쌓기 힘든 조직이라고 지적했다. “한·미 원자력
협정
이나 미사일
협정
에 나오는 미국 공무원들은 10년 가까이 변함이 없어요. 전문지식을 갖춘 공무원이 승진을 거듭하면서 꾸준히 협상 자리를 지킵니다. 반면 우리는 담당공무원이 너무 자주 바뀌죠. 협상 능력에서 차이가 날 ... ...
이전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