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류
구별
분할
분리
부분
갈라내기
선별
d라이브러리
"
구분
"(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두근두근 새학기 시작! 그리운 옛 친구, 반가운 새 친구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취미에 대해서도 배울 수 있으니 금상첨화!이렇게 친구들을 특성에 맞게 여러 집합으로
구분
해 놓으니까 어떠니? 친구들의 취미나 성격이 한눈에 들어오지? 누가 나와 잘 지낼 수 있을지도 감이 오고 말이야.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입맛에 딱 맞는 친구하고만 놀 생각을 하면 안 돼. 자기랑 다른 면이 ... ...
측정과 어림, 통계의 시작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않은 부분이나 측정해 얻은 숫자입니다.유효숫자는 반올림을 했는지 안 했는지에 따라
구분
할 수 있습니다. 측정해서 얻은 근삿값에서 측정도구의 최소눈금단위 자리까지의 숫자와 반올림해서 얻은 근삿값에서 반올림한 자리 바로 윗자리까지의 숫자를 유효숫자라 합니다. 측정값이 460cm이고 ... ...
정자에 관한 색다른 보고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볼 수 있었다. 놀랍게도 한 배에서 태어난 흰발생쥐 형제 간에도 서로 무리를 확연하게
구분
짓는 것으로 나타났다.흰발생쥐의 정자에겐 아무리 같은 배에서 태어난 친척뻘 정자들도 그저 남남일 뿐이었다. 피셔 박사는 “서로 다른 종의 정자만큼이나 한 배에서 태어난 쥐의 정자들이 서로를 잘 ... ...
2mm 속에서 질병·가짜 찾아낸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깊이에 따라 OCT로
구분
해서 위조지폐를 찾아냈다”고 설명했다.OCT는 진주의 품질을
구분
하는 데도 사용된다. 조개에 진주의 핵을 심어서 바닷물에서 키운 해수진주는 모양이 완벽한 구에 가까운 반면, 핵이 없이 저수지나 호수에서 키운 담수진주는 못생긴 짱구모양이 많다. 그런데 일부 ... ...
현재의 과학적 상상력은 왜 과거만 못할까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막연히 원초적인 단계에 머물렀다면 지금은 현실화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을 명확하게
구분
하는 구체화 단계로 접어들었다는 것이 최 교수의 주장이다.대표적인 것이 유전자 분석에 대한 비전이다. 그는 “DNA의 구조를 밝혀낸 지 불과 반세기 만에 우리는 유전자를 분석해 과거가 아닌 미래의 삶의 ... ...
현미경으로 살아 있는 나노세계를 보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세포 내부의 이온이나 산성도를 알아낼 수 있다.기존의 형광현미경은 형광의 세기만
구분
했다. 그래서 단순히 형광물질이 밀도가 높게 염색됐을 뿐인데도 형광 세기가 높으면 이온 농도가 높거나 산성도가 높다고 분석되는 경우가 있었다.연구단은 형광수명에 주목했다. 형광수명이란 들뜬 상태의 ... ...
마지막 날 현실과 통하는 문, 클라인 병 건물로!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쪽 면을 뚫고 들어가기로 결심을 한 거지. 결국 원기둥의 양쪽 테두리가 붙어 안과 밖의
구분
이 없는, 면이 하나인 도형이 된 거야. 평생 옆구리가 뚫린 채로 살아야 했지만 클라인 병은 행복했단다.”“자, 클라인 병 스스로 뚫은 면이 바로 비밀의 공간이야. 그곳을 넘어가기만 하면 다시 일상으로 ... ...
줄기세포 원정치료 논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치료를 받기 위해 외국을 나가는 경우와 문제가 많은 ‘줄기세포 투어(stem cell tourism)’를
구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기서 혁신적인 치료란 동물을 대상으로 한 전임상에서 충분한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보한 뒤 다른 치료로는 가망이 없는 중증 인 환자들에게 치료를 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효과가 ... ...
블랙홀 ‘식성’, 생각보다 까다롭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블랙홀 경계면에 가까운 ‘안쪽 영역’과 별과 먼지가 떠다니는 ‘바깥쪽 영역’을
구분
했다.관찰 결과 온도가 높은 안쪽 영역에서 입자들 사이에 충돌이 일어나 여기서 발생한 에너지가 전도를 통해 온도가 비교적 낮은 바깥쪽 영역으로 전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슈체르바코프 박사는 “충돌 ... ...
아이폰 vs 옴니아2 당신의 선택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만도 하다는 거 인정합니다. 그런데 소비자들은 화소 수나 해상도 차이를 실질적으로
구분
할 수 있을까요? 그렇게까지 민감해할까요?오히려 옴니아는 해상도가 높다 보니 화면이 느려요. 지도 애플리케이션을 확대할 때 화면이 늦게 뜨지요. 화려한 스펙보다 중요한 것은 실제 느끼는 경험이 아닐까 ... ...
이전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