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점과 선의 그림, 그래프의 발견수학동아 l2010년 07호
- 우리는 인터넷을 할 때 간편한 마우스 클릭만으로 다른 웹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겉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아마 이 연결고리를 그림으로 그리면 웹 페이지가 복잡한 그 ... 눈부신 활약을 기대해 본다. *사색문제 : 어떤 지도라도 4가지 색으로 이웃한 두 나라를 구분할 수 있다는 문제다 ... ...
- 2010 개인게놈 시대 개막 선언과학동아 l2010년 06호
- 그는 “흡연이 폐암을 유발할 확률이 높다는 게 분명하지만 흡연자를 비흡연자와 구분해 보험료를 더 받지는 않는다”며 “개인게놈은 흡연보다 미묘한 방식으로 개인의 삶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공개한다고 해서 보험 등에서 손해를 볼 수 있다는 건 과장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 ...
- 어느 6 · 25 참전군인의 60년 만의 귀향과학동아 l2010년 06호
- 떨어지면 상대 것을 빼앗아 사용하다 보니 유골과 함께 출토되는 유품만 가지고는 구분할 수 없어요. 여러 가지 정황을 살펴보고 분석해야 비로소 아군과 적군을 구별할 수 있습니다.”실제로 국군이 사용하던 탄약을 공산군이 사용하거나, 공산군에게서 노획한 군화를 국군이 신고 다닌 경우는 ... ...
- 붉은 악마 사진만 봐도 함성이 들리는 이유과학동아 l2010년 06호
- 나타났다. 이는 뇌가 듣지 않고도 동물의 울음소리와 음악처럼 서로 다른 종류의 소리를 구분하고 있다는 뜻이다.다마지오 교수는 “청각피질은 오직 소리에만 반응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며 “이번 연구로 개인적인 경험이나 기억에도 반응한다는 증거를 찾았다”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 ... ...
- 날갯짓 하는 로봇새과학동아 l2010년 06호
- 촬영한 영상은 흔들림이 거의 없는 반면, 로봇새가 촬영한 영상은 흔들림이 심해 사물을 구분하기 어려웠다.이는 하강할 때 드는 날갯짓의 힘과 상승할 때 드는 날갯짓의 힘 간에 발생하는 차이 때문이다. 이런 문제점을 고민하던 한 교수는 한 논문에서 고속카메라로 찍은 앵무새 영상을 접했다. ... ...
- 멸종위기종 산양의 복원 현장 설악산에 가다과학동아 l2010년 06호
- 종을 확인하고 암수를 구분하는 DNA 검사는 비교적 간단하다. 하지만 산양 A와 산양 B를 구분하거나 산양 A와 산양 B가 가족관계인지를 찾는 검사에는 특별한 표식자가 필요하다. 지문처럼 개체마다 다른 모양을 갖는 특별한 DNA 말이다. 유전학에서는 이런 표식자를 마커(maker)라고 부른다. 서울대 ... ...
- 끼고 자기만 해도 눈이 좋아진다?과학동아 l2010년 06호
- 각막굴절교정술 렌즈는 네 부분으로 나뉜다. 각각의 부분은 렌즈의 절단면을 보면 좀 더 구분하기 쉽다. 각막굴절교정술 렌즈는 렌즈의 한가운데가 평평해서 얼핏 모자처럼 생겼다. 렌즈의 한가운데, 즉 모자라면 머리가 들어가는 부분이 ‘기본(base) 커브’다. 기본 커브는 각막을 눌러 각막의 ... ...
- PARTⅠ 수학을 알아야 축구를 잘 한다 : 축구는 수학이다수학동아 l2010년 06호
- 사실을 모른다면 월드컵을 제대로 즐길 수 없다.분석은 팀 단위와 개인 단위로 구분할 수 있다. 팀 단위로는 공 점유율, 공침투 방향, 슈팅 방향, 공격이 시작되는 위치, 코너킥과 프리킥 등의 세트 플레이 전술 등을 기록한다. 개인 단위로는 공을 가지고 있던 횟수와 공을 가지고 있던 시간, 달리는 ... ...
- 플랫랜드 이야기수학동아 l2010년 06호
- 넓이를 구할 때 여러 개의 작은 도형으로 나눈 뒤 각각의 넓이를 더해서 구하는 방법을 구분구적법이라고 합니다. 정육각형과 바깥쪽 원의 넓이에는 좀 차이가 있지만 변의 개수를 늘린다면 어떻게 될까요? 다각형의 변이 늘어날수록 원과 비슷해지면서 넓이 차이가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
- 각진 친구들의 모임 다각형수학동아 l2010년 06호
- 각각 같은 사각형은 평행사변형이다”라는 명제를 기호로 나타내 보고 가정과 결론을 구분해 보세요.기호 사용이 어렵더라도 익숙해질 때까지 연습을 많이 해야 합니다. 수학에서 기호 사용은 증명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직접 증명을 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되기 때문입니다.역사, 그리고 실생활 속의 ... ...
이전1531541551561571581591601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