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용어"(으)로 총 2,1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완벽한 대칭미 갖춘 '최후의 만찬'과학동아 l2000년 01호
- 있다. 비례의 미에 대해 논하면서 고대 그리스인들은 이것을 ‘심메트리아’(symmetry)란 용어를 사용해 설명했는데, 그들이 비례에서 중요하게 생각했던 것은 ‘눈에 보이는 질서’가 아니라 ‘머리로 이해하는 질서’, 즉 감각이 아닌 지성에 호소하는 절대적이고 객관적인 기준으로서의 ... ...
- 21세기 이동통신 IMT-2000과학동아 l1999년 12호
- 2000MHz는 2GHz와 같음)과 도입시기(2000년)에 들어있는 ‘2000’이란 수를 조합해 만든 용어다.IMT-2000의 특징은 크게 3가지. 우선 국제적으로 유선, 무선, 위성 등의 통신을 단일한 표준을 통일하는 것. 그런데 가장 어려운 점이 이것이다. 현재 미국은 동기방식(전송할 때 클럭을 맞춰주는 것)의 CDMA ... ...
- 체감온도와 불쾌지수과학동아 l1999년 12호
- 습도로 구하는 불쾌지수체감 온도가 주로 겨울에 사용된다면 여름철에 자주 등장하는 용어는 불쾌지수(discomfort index)다. 불쾌지수 D 는 건습구 습도계에서 건구 온도(통상적인 온도) d ℉와 습구 온도 w ℉를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구한 화씨 온도로 D = 15 + 0.4(d + w) 식으로 주어진다. 이때 화씨 온도 F 와 ... ...
- 인터넷PC 꼼꼼 분석과학동아 l1999년 11호
- 엮은 호기심비디오, 딴지 퀴즈, 직접 컴퓨터를 이용해 실험할 수 있는 사이버랩, 과학용어사전인 사이언딕 등은 과학마인드를 한층 높여줄 것이라고 한다. 소비자 가격 5만5천원. 문의전화 : 02-598-1173한컴, 마인드맵 활용 교육용 소프트웨어 출시한글과컴퓨터(한컴)가 지난 10월 어린이들의 창의력을 ... ...
- 2000년은 21세기과학동아 l1999년 11호
- 모두 ‘0’의 뒤늦은 출발 때문일까.아멘과 ‘99버그’금년(1999년)에 ‘99버그’라는 용어가 종종 등장했다. 컴퓨터에 ‘99’를 입력하면 프로그램 작동이 정지하거나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를 말한다. 일부 프로그래머들이 숫자 ‘99’를 연도가 아닌 ‘데이터 입력 종료’ 등 특수 작업 수행을 ... ...
- 1. 20년 후 한국인 체형과학동아 l1999년 10호
- 피트는 발의 길이를 의미한다. 이들 모두 30cm 정도의 길이를 의미한다. 신체를 이용한 용어들이기 때문에 다른 단위보다 아무래도 일반인에게 친숙하게 느껴진다.한국인의 경우 전통적으로 높이나 크기를 표현할 때 자신의 신체구조를 기준으로 삼는 경향이 강하다. 예를 들어 눈을 수평기준으로 ... ...
- 음악파일의 혁명 MP3과학동아 l1999년 10호
- MP3 플레이어를 통해 재생할 수 있다.도전, MP3 만들기MPEG 압축이니 레이어니 하는 용어 때문에 어렵게 느껴지지만, MP3 파일은 누구나 쉽게 만들 수 있다. 우선 MP3 인코딩 프로그램이 있어야 한다. 현재 가장 쉽게 사용할 수 있고 편리한 소프트웨어는 싱사와 오디오그래버사가 개발한 ... ...
- 로그과학동아 l1999년 09호
- 에너지 32배우리나라는 물론 세계 각지에서 발생하는 지진의 소식을 접할 때 꼭 따라붙는 용어가 있다. 그것은 바로 ‘리히터 규모’라는 말이다. 물론 리히터 규모 말고도 ‘진도’라는 표현을 쓰기도 한다.‘진도’는 지진에 대한 인간의 반응과 지진에 의한 피해의 정도를 기준으로 지진의 크기를 ... ...
- 외줄 타는 사람은 왜 긴 막대를 가지고 있을까?과학동아 l1999년 09호
- 말한다.관성은 이미 알려져 있듯이 물체가 자신의 운동상태를 유지하려는 특성을 표현한 용어이다. 즉 외부에서 힘이 작용하지 않는 한 정지한 물체는 계속 정지해 있으려 하고, 운동하던 물체는 계속 등속도 운동을 한다는 것이다. 흔히 관성이 크다고 말하는 것은 그만큼 운동 상태를 변화시키기 ... ...
- 감추고 싶은 비밀 똥배과학동아 l1999년 09호
- 해악의 전초전에 불과하다. 이렇게 내장지방 때문에 배가 나오는 것을 의학적인 용어로는 복부비만이라고 부른다.자신의 똥배가 단순한 피하지방인지 병적인 복부비만에 속하는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가장 정확한 방법은 병원에서 컴퓨터 단층 촬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가정에서 할 수 있는 ... ...
이전1561571581591601611621631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