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문어
술어
시한
기한
총칭
말
말씨
스페셜
"
용어
"(으)로 총 318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의대 편입 확대는 이공계 죽이기…화해·공존의 길 찾아야
2025.03.26
총장·학장들이 들먹이는 '집단휴학'도 법령이나 학칙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임의적
용어
일 뿐이다. 정부의 엉터리 정책에 무기력하게 끌려다니던 대학이 갑자기 학생들에게 '학칙 준수'를 요구하는 것도 황당하다. 자칫하면 총장·학장이 교육부 장관의 대리인이나 아바타로 변해버렸다는 비난을 ... ...
[동물do감] 생쥐도 '부익부 빈익빈'…어린 시절 행운이 평생 차이로
동아사이언스
l
2025.01.03
있다. 미국 사회학자 로버트 머튼은 이 성경 구절을 인용한 '마태효과(Matthew effect)'라는
용어
를 제기했다. 이름이 알려진 연구자일수록 지원금을 많이 받고 그렇지 못한 연구자는 혜택을 받지 못하면서 격차가 점점 심해지는 현상을 말한다. 마태효과 같은 사회적 불평등 현상에는 우연한 사건, 즉 '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로마테라피가 과학일까
2024.10.30
오일은 진정 효과가, 오렌지 오일은 각성 효과가 있다. 다만 이 효과가 요법이라는
용어
를 쓸 정도인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사람에 따라 효과에 차이가 크다는 것도 문제다. 예를 들어 자생 식물이라 라벤더 향이 친숙한 유럽인들에 비해 평생 모르고 살다가 중년이나 노년에 처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명의 기원 찾는 과학자들
2024.09.19
발견되고 4년이 지난 1986년 미국 하버드대의 분자생물학자 월터 길버트는 'RNA 세계'라는
용어
를 만들었다. 생명의 기원에서 'DNA(정보)가 먼저냐 단백질(촉매)이 먼저냐?'라는 풀리지 않을 것 같던 '닭과 달걀' 문제가 리보자임의 발견으로 해결될 실마리를 얻은 것이다. RNA가 정보와 촉매 두 역할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윤석열 세대' 의대 2025학번의 암울한 미래
2024.09.11
바로 잡아야 한다. 파업은 현직을 유지하면서 진료 업무를 거부할 때 사용하는 법률
용어
다. 현재 전국에서 그런 식의 파업을 하는 의사는 어디에도 없다. 사표를 제출하고 병원을 떠나버린 전공의가 '파업'하고 있다는 주장은 명백한 억지다. 응급·특수·지역 의료의 붕괴가 '의사 부족' 때문이라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쥐에도 통하는 플라시보 효과
2024.09.04
뉴런에서 오피오이드 수용체 유전자가 발현됐다. 오피오이드는 아편류 약물을 뜻하는
용어
다. 우리 몸이 만드는(내인성) 오피오이드인 엔도르핀이나 마약성 진통제 성분인 모르핀이 수용체에 달라붙으면 진통 효과가 난다. 흥미롭게도 오피오이드 수용체는 플라시보 통증 효과와 관련돼 있다는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생활습관이 병을 만든다
2024.06.30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 생활습관의학의 발전과 미래 1989년에 생활습관의학이라는
용어
가 처음 사용된 후 지금은 흔히 들을 수 있을 정도로 발전했다. 의학에서 생활 방식의 중요성은 이제 당연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미국과 호주에서 먼저 발전하기 시작한 생활습관의학은 우리나라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옥시토신은 어쩌다 사랑의 호르몬 됐나
2024.05.16
제공 바소프레신과 옥시토신은 진화생물학
용어
로 굴절적응(exaptation)의 예다. 굴절적응은 이미 존재하는 물질이나 회로를 다른 목적으로 이용하는 현상을 가리킨다. - 래리 영 & 브라이언 알렉산더, '끌림의 과학'에서 계절의 여왕이라고 불리는 5월에 어울리는 꽃은? 이런 질문을 받으면 많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물이 잘 자라려면 오후에 강한 빛 있어야
2024.03.20
식물학 교재 개정판이 나온다면 이번 발견에 대한 설명과 함께 '광합성 주기'라는
용어
가 들어가지 않을까.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고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광우병' 단백질 '프리온', 바이러스로 오인된 이유
2024.02.17
지금도 그 이름을 사용하고 일부는 프리온이라는 사실이 밝혀져 있다. 프리온이라는
용어
는 1982년에 프루시너가 자신의 논문에서 처음 사용했다. 프리온은 단백질의 한 종류지만 정상적인 단백질을 자신과 같은 형태로 변형시킨다. 신경세포에 이러한 단백질이 축적되면 신경세포가 기능 이상에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