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부
가불가
진위
시비
뉴스
"
여부
"(으)로 총 4,103건 검색되었습니다.
피부에 이식한 태양전지로 빛 만들어 뇌 기능 조절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3
빛을 발생시켜 뇌 기능 조절을 가능케 했다. 연구팀은 이렇게 만든 장치의 작동
여부
를 실제 생쥐 실험을 통해 확인했다. 생쥐의 수염을 앞뒤로 움직이게 하는 뇌 부위에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장치를 삽입하고 태양전지로 생산된 전력을 원격 스위치로 작동시켰다. 그러자 수염이 앞뒤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2의 미토콘드리아 찾았나
2021.03.23
영양분을 분해(산화)시켜 에너지 분자인 ATP를 얻는 과정인 발효와 호흡의 차이는 산소
여부
가 아니라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에너지 전자(e-)(전자 두 개가 NADH 분자의 형태로 존재한다)를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있다. 즉 발효에서는 보통 영양분 산화의 중간산물이 전자를 받아 환원됨으로써 ... ...
차세대중형위성 1호 발사 성공...목표궤도에 안착
동아사이언스
l
2021.03.22
남극에 위치한 KSAT의 지상국과 교신을 통해 위성의 태양전지판이 성공적으로 전개됐는지
여부
를 최종 확인한다. 대전 소재 항우연 지상국과 첫 교신은 발사 약 8시간 17분 이후 이뤄진다. 22일 차세대중형위성 1호가 실린 JSC 글라브코스모스사의 소유즈 2.1a 발사체.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 ...
코로나 백신 맞고 간혹 나타난다는 CVST와 DIC는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1.03.22
시민이 코로나19 백신을 접종받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예방접종전문위원회가 22일 혈전 유발 논란을 겪고 있는 영국 옥스퍼드대와 아스트라제네카가 개발한 백신과 관련해 안전성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내놨다. 이에 따라 정부는 23일부터 아스트라 ... ...
한달내 자연에서 분해되는 KF94 마스크용 필터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2
소개했다. 다만 나노섬유 필터는 체내에 나노섬유가 들어왔을 때 일으킬 수 있는 독성
여부
를 평가해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 나노섬유 필터 마스크 중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부여하는 KF94 등급을 받은 마스크는 아직 없다. 황 단장은 “최근 쓰레기 문제가 불거지며 기업들과 정부에서 최근 ... ...
기저질환 고령자도 백신 맞아야 하나?…"중증악화 막기위해 권장"
연합뉴스
l
2021.03.22
필요하다는 의견에 대해서는 "혈액 검사나 흉부 엑스레이 검사를 통해 예방접종 가능성
여부
를 판단하는 기준은 없다"고 답했다. 그동안 만 65세 이상 고령자는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임상자료 부족으로 백신접종이 보류됐었다. 하지만 영국·스코틀랜드 등 해외 국가에서 ... ...
임상 유효성 논란 코로나 치료제 렘데시비르 "중증 환자에 효과" 대한의학회지
동아사이언스
l
2021.03.22
87.5%가 비투약군에서 78.9%가 회복했다. 렘데시비르 투약군에서 기계(인공)호흡의 적용
여부
가 비투약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인공호흡의 적용기간도 투약군에서 유의하게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투약군에서 1.97일, 비투약군에서 5.37일로 조사됐다. 상기도 검체를 통해 바이러스 배출도 ... ...
"변이 코로나바이러스, 개와 고양이도 감염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1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20일(현지시간) 변이바이러스가 사람과 동물 간 더 잘 감염되는지
여부
는 불확실하지만 변이바이러스에 감염된 반려동물 사례가 처음으로 나왔으며 코로나19 확산세에 영향을 줄 수 있을지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도했다. 영국에서 처음 확인된 변이바이러스는 B117로 ... ...
네이처 "코로나19 집단면역 형성 어려워지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0
만든 코로나19 백신은 접종자의 감염을 막지만 다른 사람에게 전파하는 것을 막는지
여부
는 확인되지 않았다. 쉬웨타 밴잘 미국 조지타운대 생물학과 교수는 "전염을 차단하는 백신이 없다면 모든 사람이 백신을 맞는 것이 집단면역을 형성하는 유일한 방법이다"며 "현재 접종 중인 백신의 ... ...
[프리미엄 리포트] 반복되는 조류인플루엔자, 대량 살처분만이 정답일까
과학동아
l
2021.03.20
예방적 살처분). 병에 걸렸을 확률이 있다는 이유 때문이다. 이들의 실제 감염
여부
는 중요하지 않다. 같이 혹은 근처에 살았단 이유만으로, 예방 목적으로 한순간에 어두운 땅속에 파묻혀야 하는 것이다. 사상 최악의 AI가 발생했던 2016년 겨울에는 3000만 마리 이상이 땅에 묻혔다. 이번 겨울에도 150 ... ...
이전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