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거리"(으)로 총 5,700건 검색되었습니다.
- 자세히 보면 더 예쁘다! 아주 작은 동물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카메라 렌즈로, 접사렌즈라고도 불러요. 촬영 대상을 최대한 가까운 거리에서 찍을 수 있기 때문에 주로 아주 작은 생물이나 물체를 크고 자세하게 찍을 때 사용하지요. 나다브 바김이 매크로렌즈로 찍은 사진 덕분에 애벌레와 진딧물의 귀여운 얼굴을 사진으로 볼 수 있게 ... ...
- 점프~! 장애물을 넘어가는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운동장에서는 성공률이 90%나 돼요. 하지만 러닝 머신 위에 장애물을 두면 장애물까지의 거리가 짧아서 점프 성공률이 70%밖에 안 된답니다.김 교수는 “앞으로 잔디밭처럼 딱딱하지 않은 땅에서도 장애물을 넘을 수 있는 치타 로봇을 만들 것”이라고 밝혔답니다 ... ...
- 모기를 수컷으로 만드는 유전자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어과동 최고의 악당, 닥터 그랜마~! 요즘 ‘앵앵~!’거리는 모기 때문에 사람들이 슬슬 짜증을 내기 시작했더군. 그렇다면 늘 사람들의 원성을 사는 지구인들의 적, 모기를 내편으로 만들어야겠어. 사람들이 모기를 싫어하는 만큼 모기도 분명 이 지구를 싫어할 테니까! 음하하하! 모기야~, 어디에 ... ...
- 리드하는 팀의 승리는 따 놓은 당상?수학동아 l2015년 12호
- 말합니다.연구팀은 미국 농구 경기 데이터를 랜덤워크에 적용했습니다. 일정한 거리를 이동한 선수의 움직임을 변수로 해서 확률 분포로 나타낸 겁니다.농구 경기에서 선수들의 이동 방향은 각각 독립적이고 무작위로 이뤄집니다. 선수들이 일정한 시간 동안 정해진 범위를 점유한 걸음의 수를 확률 ... ...
- 바이러스수학동아 l2015년 12호
- 있다. 생물학자들만의 영역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물리학자는 물론 생물학과 거리가 멀어 보이는 수학자도 함께 말이다. 비록 지금까지 밝혀진 바이러스 구조는 거대한 바이러스 빙산의 아주 일부분이지만, 앞으로 더 많은 바이러스 구조가 밝혀질 것이다. 그때 수학은 가장 간결하고 명쾌한 ... ...
- 수학자 열전 한국 근대 수학의 뿌리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5년 12호
- 당시에는 정말 극소수만이 수학 교육을 받을 수 있었어요. 그래서 무작정 종로네거리로 나갔어요. 매일 같은 시간에 같은 장소에서 아라비아 숫자와 덧셈, 뺄셈을 가르쳤어요. 처음에는 제가 무엇을 하는지 궁금해서 모였던 사람들이 나중에는 수학의 재미에 푹 빠져 하루도 빼놓지 않고 수업을 ... ...
- 불심에 담긴 수학을 찾아 황금의 땅 미얀마로수학동아 l2015년 12호
- 5월 중순에서 10월 중순까지인 미얀마의 우기가 아직 끝나지 않았나 봐요. 흙물이 튀는 거리를 걸으며 미얀마 사람들을 만나는 것은 참 새로운 경험이었어요. 얼굴에 타나카★를 바르고 신기한 듯 우리를 바라보는 사람들. 외부와 단절된 삶을 살던 미얀마 사람들에게 저 같은 외국인은 무척 낯선 ... ...
- 킁킁~, 비 냄새의 정체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타고 이동하며 우리 코에 닿아요. 그 순간 비 냄새를 맡게 되는 거랍니다. 에어로졸은 먼 거리를 빠르게 이동하기 때문에 비가 내리기 시작하면 순식간에 비 냄새가 퍼지게 되지요. 당연히 흙에 있는 유기물의 종류나 주변 환경에 따라 사람들이 맡는 냄새는 조금씩 달라져요.실험 결과, 비가 갓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SW in Science ➒ 선수 추적프로그램] 축구 경기장 뒤의 12번째 선수과학동아 l2015년 11호
- 20개 팀 중 19개 팀이 프로존을 사용할 정도다. 프로존은 선수들의 위치와 움직인 거리, 순간 속도, 움직이는 방향 같은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해 수치화시킨 다음 감독에게 전달한다. 감독은 이를 바탕으로 선수를 교체하고 가장 효율적인 전략을 지시할 수 있다. 유럽의 주요 축구리그에서는 대부분 ... ...
- [파충류의 속사정 7] 가을은 독사의 계절?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한편 방울뱀 종류는 꼬리 끝에 발달한 특수한 비늘 마디들을 이용해 ‘지글지글’거리는 경고음을 낸다. 독이 먼저일까 독니가 먼저일까독을 주입할 때 사용하는 독니는 뱀에 따라 입 속에 다르게 위치한다. 살모사와 방울뱀의 긴 독니는 입의 앞쪽에 위치하며 앞뒤로 움직일 수가 있다. 반면 ... ...
이전1571581591601611621631641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