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거리"(으)로 총 5,700건 검색되었습니다.
- 야행성 VS 주행성 동물들이 보는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그런데도 사람이 좋은 시력을 가지고 있는 비결은 눈의 크기 덕분이에요. 눈이 크면 초점거리가 늘어나 해상도가 높아지고 감광도도 높아져요. 카메라 렌즈 역시 성능이 좋을수록 렌즈 크기가 커진답니다.◀ 사람 눈의 구조.원추세포는 색깔을 구별하고, 간상세포는 빛을 감지한다.시력을 ... ...
- [생활] 고흐의 진짜 해바라기를 찾아라! 명탐정 코난 화염의 해바라기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응용수학 및 컴퓨터공학과 해니 파리드 교수팀은 그림 속 사물과 사물, 붓칠과 붓칠 간의 거리 등 여러 가지 값을 가지고 수학모형을 만들었어. 연구팀은 네덜란드 화가 피테르 브뢰헬이 그린 그림에 이 수학모형을 적용했어. 그 결과는 정육면체 안의 점으로 나타났어. 그림 한 점에 그려진 사람과 ... ...
- 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과학동아 l2015년 09호
- Tip 98° 자전축을 직접 느껴보세요특이한 자전은 천왕성에서만 볼 수 있는 이색 볼거리다. 자전축이 태양계 평면에 거의 누워있다시피 98° 가량 기울어져 있다. 천왕성의 북극이 가리키는 방향이 다른 행성들에게는 적도 방향이다. 이런 독특한 자전 때문에 한 쪽 극은 지구 시간으로 42년 동안 태양 ... ...
- [과학뉴스] 장거리 주자도 뛰는 건 괴로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상스러운 욕설까지 불평의 종류도 다양했다. 셔면 교수는 “기억에 의존하지 않고 장거리 주자들의 생각을 모은 최초의 연구”라며 “GPS 등을 활용해 달리는 도중에 한 생각과 성적의 상관관계를 밝힐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는 ‘운동과 운동심리학 국제저널’ 7월 25일자에 소개됐다 ... ...
- [Knowledge] 머리 이식…과연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끝까지만 재생하면 되는 손 이식과 달리 팔 이식은 윗팔부터 손가락 끝까지 너무나 긴 거리이기 때문에 재생이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 신경이 죽을 수도 있었다. 그런데 우연히도 면역억제제에서 신경 재생을 촉진시키는, 의도치 않은 작용이 나타났다. 이 남성은 수술 1년만에 팔꿈치를 접었다가 ... ...
- PART2. 탐사선, 위대한 여정의 시작과학동아 l2015년 09호
- 현재는 태양권의 가장 바깥자리에서 천천히 움직이고 있다. 지구로부터 161억3840만km 거리에 있어 보이저 1호 다음으로 멀리 떨어져 있다. 예상 수명(1997년)을 훨씬 넘겼으나 2030년까지는 지구와 통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앞으로 남은 연구, 주스!ESA는 오는 2022년에 주스(JUICE) 탐사선을 발사할 ... ...
- 알쏭달쏭~ 귀화식물이 궁금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이용하기 위해 북아메리카에 도입됐다. 지금은 환경에 적응해 야생에 퍼져 현지에서 골칫거리가 됐다. 우리나라 남부 지방 바닷가 모래밭에서 사는 순비기나무는 호주에 퍼졌다. 순비기나무 뿌리는 파도에 모래가 쓸려나가지 않도록 돕기 때문이다. 어떤 귀화식물을 제거해야 할까?토종식물이 ... ...
- [수학뉴스] 3차원 사진 찍는 ‘깊이 감지 카메라’수학동아 l2015년 09호
- 그런데 카메라가 깊이를 감지한다고요?네, 3차원 센서를 이용해 카메라와 사물 사이의 거리가 얼마나 멀고 가까운지 구분한다는 뜻이에요. 원근감을 이용해 입체 사진을 찍는 원리지요. 대표적인 깊이 감지 카메라는 비디오 게임에 사용되는 마이크로소프트사의 ‘키네틱 콘트롤러’입니다.깊이 ... ...
- [생활] 페이 경쟁 생체인증이 대세수학동아 l2015년 09호
- ③다른 사람들 목소리를 표현하는 특징벡터다. 간단히 예를 들면, 두 벡터 사이의 각도나 거리를 구해 비슷한 정도를 측정한다. ②가 ①에 가까우면 본인으로 인증하고, ③에 가까우면 인증을 거부한다. 한편 일단 만든 목소리 그래프는 완전히 수학적인 표현으로, 다시 원본 목소리로 복원할 수 없다 ... ...
- PART3. 외계행성 탐사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5년 09호
- 1.0AU 거리에 있던, 목성의 3.2배 무게의 행성 V391 Peg b는 폭발 이후 중심별로부터 거리가 1.7AU로 더 멀어졌다. 태양계로 치면 태양이 폭발한 이후에 지구의 위치가 현재보다 더 뒤로 밀려났다는 뜻이다. 김 책임연구원은 “중심별이 폭발한 뒤 질량과 중력이 줄면서 1.0AU만큼 떨어져있던 V391 Peg b 행성이 . ...
이전1611621631641651661671681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