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거리"(으)로 총 5,70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빛이 있으라! 결정적 순간 5과학동아 l2015년 07호
- 통해 순도가 높은 이산화규소 유리로 섬유를 만들면 빛 손실이 적어서 100km가 넘는 장거리까지 빛을 전달할 수 있다는 것도 알아냈다. 그의 연구는 이후 광섬유의 개발을 가속화시켰다. 카오의 노벨상 강연 제목 ‘수 세기 전 과거로부터 온 모래, 미래의 목소리를 빠르게 전송한다(Sand from Centuries ... ...
- 확산 모형으로 메르스 길목 막는다수학동아 l2015년 07호
- 기침, 대화로 입, 코, 눈의 결막에 달라붙어 전염된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유독 먼 거리에서도 감염된 사례가 나와 감염 경로에 대한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메르스 바이러스는 감기 바이러스처럼 변이가 심해 백신이 없고, 메르스 감염자 가운데 사망하는 사람도 있어 모두가 긴장하고 있다 ... ...
- Part 2. 의료인류학으로 본 MERS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위생적인 공간으로 상상하지만, 사실은 각종 치료저항성 병원체와 감염원이 득실거리는 위험한 장소가 병원이다. 영국에서만 매년 2만 명이 병원 내 감염으로 사망한다. 전세계적으로는 매년 1500만명이 병원에서 새로 감염되고 그 중 10%가 사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003년, 중국발 사스 사태 ...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네 개의 바퀴로 굴러서 이동할 수 있다. 손으로 작업해야 할 때는 서서 두 발로 걷고, 먼 거리는 바퀴로 안정적으로 이동 할 수 있는 것이다.실제로 휴보의 만능성은 대회 도중 적잖은 강점으로 작용했다. 다른 팀이 걷기나 바퀴, 무한궤도 중 한 가지만 선택한 것과 달리 휴보는 어떤 환경에도 적응할 ... ...
- 우주를 향해 크게, 더 크게! 거대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E-ELT나 TMT와 마찬가지로 육각형 거울을 조합한 형태로, 이 덕분에 허블보다 13배나 먼 거리까지 관측할 수 있답니다.제임스 웹은 적외선을 주로 관측해요. 적외선은 열을 내는 물체라면 어디서든 나오는 파장이에요. 관측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태양빛의 방해가 적고, 온도가 낮은 150만km 상공의 ... ...
- 한옥에 살어리랏다수학동아 l2015년 06호
- 나무토막으로 탑을 쌓아 보면 금세 이유를 알 수 있다. 한 층 한 층 위로 올릴 때마다 휘청거리기 때문이다. 전통한옥을 지탱하는 기본 힘은 나무 기둥과 그 기둥을 꾹 눌러 주는 무거운 지붕에서 나온다. 바람처럼 약한 힘에는 충분히 버텼다. 그러나 기둥이 조금만 한쪽으로 기울면 지붕의 무게 ... ...
- [지식] 할머니와 엄마의 수학시간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선생님은 새 나라의 어린이는 미터법을 쓸 줄 알아야 한다고 했다. 외국에선 미터로 거리를 잰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선 오랫동안 1자를 길이의 단위로 써왔다. 1m는 1자의 3배 정도다. 미터를 이용해 넓이를 재는 법도 배웠다. 우리가 쓰는 평은 정사각형 모양으로 돼 있어, 나란히꼴 같은 모양의 ... ...
- [생활] 대구 대명중 김동우 선생님 친구와 함께 걷는 수학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적은 문제를 학생들이 풀면 선생님이 올바른 풀이과정을 알려주는 익숙한 풍경과는 거리가 멀었다.같은 조라도 문제를 푸는 모습은 저마다 달랐다. 능숙하게 거듭제곱을 이용해 면발의 개수를 구하는 학생도 있었지만, 면발을 하나하나 그리는 학생도 있었다. 선생님은 면발을 그리는 학생에게 ... ...
- “세계 과학기자의 통찰력을 확인하는 자리"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날 것인 상태에서 취재원을 확보하고 정보를 캐내야 합니다. 우리 모두 다 알다시피, 기사거리를 찾고 기사를 보도하기 위해 동분서주하는 것은 기자라는 직종의 본질입니다.오는 6월, 한국의 수도 서울에서 열리는 제9회 세계과학기자대회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이 행사에 참가해서 새로운 것을 ... ...
- [Knowledge] 전쟁의 포성 속에서 우주의 비밀에 접근하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때문에 미분도 네 가지가 있고 이것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 풀이로 구해야 하는 함수는 거리함수 텐서라 부르는 10개의 함수다. 이렇게 구해야 하는 함수가 많아지면 방정식의 개수도 늘어나기 때문에 연립방정식이 된다.하지만 일반상대성이론의 난해함의 핵심은 바로 비선형이란 점에 있다. ... ...
이전164165166167168169170171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