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결"(으)로 총 5,84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키메라 백신’으로 인플루엔자 예방한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지지하는 연결고리를 달아주는 방법이다. 줄기 부분에 인위적으로 염기서열을 넣어 연결고리 역할을 하는 단백질을 만드는 것이다. 그리고 스스로 공처럼 뭉치는 성질을 가진 생체 단백질 ‘페리틴’에 붙이면, 커다란 공에 돌기가 여러 개 달린 듯한 나노 입자가 된다. 크기가 크고 줄기 부분이 ... ...
- Part 2. 수학이 새로운 언어마저 만들었다?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연결하는 중간언어가 저절로 생긴 것 같다고 말했다. 그 중간언어가 한국어와 일본어도 연결했다는 것이다. 중간언어를 거쳐 번역하면 되기 때문에 직접 배우지 않아도 번역이 가능하다. 구글은 이 중간언어에 ‘인터링구아’라는 이름을 붙였다.수학이 만든 언어 ‘인터링구아’이처럼 중간언어를 ... ...
- Part 1. 1월 1일, 1초가 늘어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수 있어요. 먼저 시간이 정확하지 않으면 친구에게 전화를 걸어도 엉뚱한 사람과 통화가 연결될 수 있어요. 휴대전화의 전파는 기지국을 통해 전달되는데, 기지국의 시계가 정확하지 않으면 신호가 서로 섞이게 되거든요. 그래서 기지국의 시계는 10만분의 1초 이상 정확한 시계를 이용하고 있어요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스스로 움직이는 인형 ‘오토마타’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방안자를 놓으면 8등분선을 그릴 수 있답니다.8등분선과 원이 만나는 8개의 점을 연결해 정팔각형까지 그릴 수도 있고, 각 점에 돌기를 붙여 기어로 만들 수도 있어요. 또 이를 응용해 하트와 별 등 다양한 모양을 그릴 수 있답니다. 내가 만드는 메이커 스쿨 내 손으로 꼭 완성할 거예요 ... ...
- [수학뉴스] 시에르핀스키 문제 이제 다섯 걸음 남았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어마어마하게 큰 소수를 컴퓨터로 찾는 단체로, 회원들은 컴퓨터를 인터넷에 연결해 함께 거대한 계산 문제를 해결합니다. 현재 114개국에서 7500여 명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폴란드의 수학자 바츠와프 시에르핀스키는 1960년 이런 시에르핀스키 수가 무한히 많다는 사실을 증명했습니다. 1962년에는 ... ...
- Part 3. 여전히 수학자가 필요해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이용해 개개인의 전력 사용 패턴과 규칙성도 찾아 분석합니다. 사용량과 생활패턴을 연결해 합리적으로 전기를 사용하는 방법과 절전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시스템입니다.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우리 스스로 분석하고 예측할 수도 있습니다. 전기산업에 뛰어든 수학자가 사용량이나 ... ...
- [Future] 구글·네이버 번역기가 갑자기 ‘열일’하게 된 이유는?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작용을 모사한다. PBMT의 경우 문장이 길어지면 서로 멀리 떨어진 단어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지 못하는 반면, NMT는 문장 전체를 입력 값으로 받기 때문에 이런 문제가 없다.투로프스키 총괄은 “신경망 기계번역 기술로 위키피디아, 뉴스매체 등의 샘플문장의 번역 오류가 55~85% 가량 감소했다”고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자전축을 이루는 한자는 ‘스스로 자(自)’, ‘구를 전(轉)’, ‘굴대 축(軸)’이에요. ‘천체가 스스로 회전할 때 기준이 되는 고정된 ... 뜻을 가져오고, ‘즉’이라는 음이 오랜 시간이 지나며 ‘절’로 바뀌었지요. 뼈와 뼈가 연결되는 부위인 ‘관절(關節)’이라는 단어에도 쓰인답니다 ... ...
- [Future]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무엇?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것이다. 특히 2020년 이후 등장할 5세대(5G) 이동통신 기술은 더 많은 기기를 인터넷에 연결시키고, 데이터 전송 시간을 수 ms(밀리초, 1ms는 1000분의 1초) 수준으로 줄일 것이다. 여기에 VR 기술까지 접목하면, 아주 먼 곳의 일도 마치 눈 앞에서 일어나는 일처럼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 2011년 일본 ... ...
- [도전! 코드마스터] SW를 지켜라 백신 프로그램!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악성코드가 네트워크를 통해 급격하게 퍼지기 시작했어요. 랜선을 꽂고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기만 해도 멀웨어의 공격에 노출된 거예요.이후 백신 프로그램들도 바이러스에 대응하기 위해 실시간으로 컴퓨터를 검사하는 기능을 갖추게 되었어요. 또 스파이웨어, 랜섬웨어 등의 여러 멀웨어를 고루 ... ...
이전1571581591601611621631641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