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문
전기 기술자
본업
specialty
과
학과
d라이브러리
"
전공
"(으)로 총 2,198건 검색되었습니다.
5명만 거치면 지구는 한가족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네트워크’라는 논문을 발표해 세상을 떠들썩하게 했던 인물이다. 원래 수학과 물리학을
전공
한 와트 교수는 졸업 후 산타페연구소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있으면서 사회네트워크에 대한 많은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 지금은 컬럼비아대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와트 교수는 2001년 12월 또한번 ... ...
금융수학 카오스 경제에서 질서를 찾는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공학 등 수학의 첨단기법을 충분히 익힌 뒤, 대학원 과정에서 본격적인 금융수학 과정을
전공
하는 것이다.이와 함께 금융수학은 보이지 않는 미래의 투자환경에 대한 분석이므로 폭넓은 관련 지식을 섭렵하는 것이 중요하다. 경제현상은 숫자 자체의 합산으로만 설명되는 것이 아니므로 역사나 ... ...
한국형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오케스트라 지휘자 - 유향숙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분야가 산업화되는데 씨앗이 되겠다”고 유 박사는 거침없이 얘기한다. 요즘 생물학을
전공
해도 마땅한 일자리가 없는 반면, 최근 새롭게 등장한 생물정보학, 나노바이오 등 첨단 생명공학 분야에는 전문가가 부족한 실정이다. 하지만 언젠가 생명공학기술이 본궤도에 오르면 지금의 ... ...
상식에 어긋나는 흑맥주 기포의 추락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이용한 참신한 아이디어도 나오고 있다. 1995년 미국 버지니아 공과대에서 전자공학을
전공
한 프레드릭 롬버그는 소다가 채워진 잔에서 기포의 움직임을 관찰하다 머리 속에 문득 아이디어가 떠올랐다. ‘만약 기포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면 기포로 글자, 숫자, 그리고 다른 어떤 형태를 표현하는 ... ...
3. 스스로 충돌 피하고 고장 대처한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현재는 사람이 조종하는 무인기. 미래에는 스스로 장애물을 피하고 고장에 대처하는 스마트 무인기가 탄생할 것이다. 무인기를 똑똑하게 만드는 스마트 기술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2015년 겨울 강원도 태백산맥 위로 무인기 한대가 거의 아무런 소음도 내지 않고 비행하고 있다. 이 무인기의 임무 ... ...
물과 햇빛만으로 꿈의 에너지 개발 광촉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대학원에서 광촉매 분야를 선택하는 길을 추천한다. 이재성 교수는“학부 때는 자신의
전공
이 무엇이든 열심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기본 실력이 쌓여야 대학원에서 광촉매를 연구하더라도 좀더 심화된 연구를 할 수 있다”고 말한다. 또한 최원용 교수는 “최근 들어 광촉매 연구는 너무 ... ...
2. 대선 공약 주요 항목으로 떠오른 과학기술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대통령후보가 이 자리에 초청돼 “제 자신은 법조계 출신이나, 인척 중에 과학기술을
전공
하고 교수로 지내는 분 등 이공계 친인척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러니 저도 반쯤은 이공계 사람이죠”라고 말했다.제16대 대통령 선거가 한달여 남짓 남은 현재, 각 후보들은 각종 토론회나 정책발표회장에서 ... ...
2. 복잡한 생명현상 파헤친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갖고 몰리고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원 소장은 현재 기업이나 대학의 생물학, 전산학
전공
자 등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프로그램을 운영중이다.한국정보통신대(ICU) 이관수 교수는 외국기업에서 활동하다가 올해 초 정보통신부가 설립한 ICU에 바이오인포매틱스트랙이 생기면서 합류한 과학자다. ... ...
펭귄과 친구 된 남극월동대장 장순근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보르도대에서 미고생물학(微古生物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당시 그가 미고생물학을
전공
한 것은 정부가 석유 탐사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노력에 부흥하기 위해서였다. 미고생물학은 석유 탐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분야이기 때문이다.하지만 1985년 한국해양연구원에 연구원으로 ... ...
이모티콘 탄생 20주년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3명이 함께 1972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장(場)의 이론과 핵물리학(核物理學)을
전공
한 그는 57년 페르미 입자액체(粒子液體)가 초전도 · 초유동(超流動) 상태가 되는 기구로서 쿠퍼쌍(雙)의 견해를 포함한 BCS 이론을 정리했다 레이더 장비를 갖춘 미국의 비행선 ZPG-3W라는 명칭으로 불린다 ... ...
이전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