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가
필자
지은이
저술자
저술가
저작자
편찬자
뉴스
"
저자
"(으)로 총 2,146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방을 ‘좋은 지방’으로 바꿔 살 빼 주는 약물 효능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7.01.18
처방받은 쥐는 평소 더 많은 칼로리를 소비하기 때문에 살이 덜 쪘다. 논문의 제1
저자
인 바오밍 니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UCSF) 박사후연구원은 “기존의 체중조절 약물은 입맛을 떨어뜨리는 게 대부분이었고, 벡사로틴처럼 신진대사 속도를 높여 더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도록 해서 ... ...
[2017지구사랑탐사대 5기 모집] 우리 가족은 시민과학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1.13
수원청개구리의 서식처를 새로이 밝힌 논문을 발표했다. 이 논문에는 탐사대원이 직접
저자
로 참여하기도 했다. 올해 진행되는 5기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약 2000명 규모로 운영될 예정이며 수원청개구리, 제비, 꿀벌과 밀원식물, 귀화식물, 매미, 노래곤충 등 총 6종의 동식물을 대상으로 한다. ... ...
서열 낮으면 면역력도 낮아진다
과학동아
l
2017.01.08
세포에서 염증을 유발하는 유전자가 과도하게 발현하는 것을 확인했다. 논문의 공동
저자
인 캐나다 몬트리올대 면역유전체학과 루이스 바레이로 교수는 “이 연구 결과는 사회적 위치가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빈곤층과 노동자 계층의 사람들이 심장병이나 당뇨병 같은 ... ...
어디 사니? 날개 보면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7.01.07
사이를 빠르게 통과할 수 있도록 날개가 점점 짧고 둥근 모양으로 변했다. 논문의 제1
저자
인 조나단 케네디 박사후연구원은 “날개가 특별히 진화하지 않는 한 새들은 장거리 여행을 하지 않는다”며 “이번에 제작한 지도를 통해 인류는 새의 날개 모양과 지구상 분포 사이의 관계를 알게 됐다”고 ... ...
뇌는 성장하지 않는다?…일부 뇌 조직 증식 첫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17.01.06
변화가 없었다. 연구진은 사체 해부를 통해서도 동일한 사실을 재차 확인했다. 논문의 제1
저자
인 제시 고메즈 스탠퍼드대 박사과정 연구원은 “적어도 안면 인식을 담당하는 뇌 부위에 한해서는 뉴런의 수와 조직의 양이 증가한 사실이 확인된 셈”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이 같은 뇌 조직의 ... ...
인류가 만든 ‘문명’, 30조t에 달해
과학동아
l
2017.01.05
이는 테크노스피어가 지표면 1m2당 50kg의 질량을 차지하고 있다는 뜻이다. 논문의 공동
저자
인 영국 레스터대 지질학과 마크 윌리엄스 교수는 “테크노스피어가 지구의 새롭고 중요한 현상임을 보여준다”며 “인간이 지구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연구할 수 있는 척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KAIST 연구팀, 버벅대지 않고 전력 효율 높은 반도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1.04
다가섰다. 10년 안에 실리콘 기반 반도체를 대체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다. 연구의 1
저자
인 이동일 KAIST연구원은 “차세대 탄소나노튜브 반도체의 성능 개선과 더불어 실효성 또한 높아질 것”이라며 “이미 충분히 검증된 기존 반도체 제작 공정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추가적인 공정 비용도 ... ...
당신이 뚱뚱해지면 자녀의 발달이 늦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1.02
비만이 정자의 유전자 발현에 변화를 일으킨다는 사실을 밝힌 바 있다. 논문의 제1
저자
인 에드위나 융 NICHD 연구원은 “아이의 발달 문제를 진단할 때는 부모의 비만 여부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 ...
루비와 사파이어 바람이 부는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16.12.30
때문이다. 실제로 관측된 아름다운 행성의 모습도 이를 뒷받침해준다. 논문의 제1
저자
인 암스트롱 연구원은 “태양계 바깥의 거대한 가스 행성에서 날씨를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외계 행성의 대기 변화를 연구하면 지구형 행성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4) 생명과학에 보는 재미를 더해 준 로저 첸
2016.12.29
더 인기가 많은 것이다. 분석법을 다룬 논문은 많이 인용되는데 그치는 게 아니라
저자
가 종종 노벨상을 타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가 DNA염기서열분석법을 소개한 1977년 논문으로 인용횟수 4위(6만5335회 인용)를 자랑한다. 이 연구를 이끈 영국의 생화학자 프레더릭 생어 박사는 1980년 노벨화학상을 ... ...
이전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