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가
필자
지은이
저술자
저술가
저작자
편찬자
뉴스
"
저자
"(으)로 총 2,178건 검색되었습니다.
루비와 사파이어 바람이 부는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16.12.30
때문이다. 실제로 관측된 아름다운 행성의 모습도 이를 뒷받침해준다. 논문의 제1
저자
인 암스트롱 연구원은 “태양계 바깥의 거대한 가스 행성에서 날씨를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외계 행성의 대기 변화를 연구하면 지구형 행성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4) 생명과학에 보는 재미를 더해 준 로저 첸
2016.12.29
더 인기가 많은 것이다. 분석법을 다룬 논문은 많이 인용되는데 그치는 게 아니라
저자
가 종종 노벨상을 타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가 DNA염기서열분석법을 소개한 1977년 논문으로 인용횟수 4위(6만5335회 인용)를 자랑한다. 이 연구를 이끈 영국의 생화학자 프레더릭 생어 박사는 1980년 노벨화학상을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8) 힉스 메커니즘을 제안한 토머스 키블
2016.12.21
못했다. 1967년 키블은 학술지 ‘물리학 리뷰’에 대칭성 깨짐 메커니즘을 일반화한 단독
저자
논문을 발표했다. 그의 아이디어는 전자기력과 약력을 통합한 전기약력 이론을 만드는데 도움이 됐다고 한다. 1970년대 키블은 관심을 우주로 돌려 고에너지물리학과 응집물리학 이론을 적용해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7) 메타개체군 연구를 심화시킨 ‘일카 한스키’
2016.12.20
기꺼이 도움을 주면서도 ‘상당한 지적 기여’를 했다고 판단하지 않는 한 논문에 공동
저자
로 이름을 올리는 걸 거부했다. 후배 과학자들이 하루 빨리 경력을 쌓아 독립하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뛰어난 학자이자 존경받는 스승으로 학계에서 널리 인정받고 있던 한스키는 그러나 2014년 암 진단을 ... ...
식물 개화시기 결정하는 진짜 메커니즘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19
독립된 형태가 아니라 복합체의 형태로 작용한다는 것을 증명한 셈이다. 연구의 1
저자
인 김윤주 IBS 연구위원은 “PWR과 HDA9 단백질의 독립적인 기능에 대해선 알려져 있었지만, 복합체를 이뤄 실제 식물 성장에 관여한다고 밝힌 것은 처음”이라며 “식물의 발달과 노화를 조절하는 후성유전학적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6)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분자를 발견한 '해리 크로토'
2016.12.19
부고를 썼고 올해 역시 ‘네이처’에 칼텍의 제임스 히스 교수(1985년 풀러렌 논문의 공동
저자
)와 함께 크로토의 부고를 썼다. ‘세상에 온 순서는 있어도 가는 순서는 없다’는 옛말이 실감난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 ...
강도 높은 운동, 암 생존율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11
초기부터 고강도 운동을 시작하면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논문의 제1
저자
인 지현석 연세대 융합체육과학선도연구소 선임연구원은 “고강도 유산소 운동을 시킨 쥐는 활동성이 크고 식사량이 많았으며 몸무게가 점점 증가했다”며 “삶의 질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 ...
공룡진화 비밀 풀릴까… 9900만 년 전 공룡 꼬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11
일반적으로 공룡의 몸이 비늘로 덮여 있다는 기존 이론을 뒤집는 셈이 된다. 논문 공동
저자
인 라이언 맥켈러 캐나다 왕립서스캐처원박물관 박사는 “꼬리의 구조와 깃털의 뼈대 등을 봤을 때 원시 새가 아닌 공룡의 것”이라며 “현대 조류보다는 더 길고 유연한 꼬리를 가졌다”고 설명했다. ... ...
친구를 위해서라면 목숨이 위험해도 빠르게 달려가는 몽구스
2016.12.09
몽구스들이 즉각적인 도움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를 두고 이 연구의 공동
저자
인 앤디 래드포드 교수는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우리의 이번 연구결과가 흥미로운 것은 구성원들 간의 강한 유대감이 천적을 막는 키가 될 수 있다는 점 때문입니다. 그룹 구성원들은 ‘친구들’의 ... ...
한국 과학기술 R&D 투자 비율 세계 1위지만, 실적은 ‘글쎄요’
동아사이언스
l
2016.12.09
지적이 나온다. 네이처가 집계한 2016년 9월 기준 1년간 FC(논문 공
저자
의 소속기관 수 및
저자
의 기여도를 나타낸 지표)를 살펴보면 중국 6486.56점, 일본 2837.40점, 한국 1016.78점 순이다. 인도는 1015.53점으로 한국과 점수 차가 1.25점밖에 나지 않았다. 이 연구위원은 “인도는 수학을 비롯한 기초과학 ... ...
이전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