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넓이
크기
너비
폭
건평
용적
지적
d라이브러리
"
면적
"(으)로 총 1,984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사일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그 외의 모든 미사일을 전술 미사일로 구분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와 같이 국토의
면적
이 좁은 경우에는 사정거리가 3백km 이상인 미사일도 전략 미사일로 구분될 수 있다.보통 많이 사용하는 분류 방법으로 미사일 발사 모체와 표적의 종류에 따라 분류하는 방법((그림2) 참조)이 있는데 크게 지대지 ... ...
'93 대전 엑스포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일본은 일찍부터 서둘러 알찬 내용물을 선보이고있다. 국제관 중에 가장 넓은
면적
을 차지하고 있는 일본관을 들어서면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해 온도에 따라 꽃이 피고 지는 동백꽃화원이 선보인다. 꽃봉오리 안의 전등이 꺼지면 에어컨이 작동해 온도가 내려가고 동백꽃은 서서히 진다. 봉오리가 ... ...
첨단조선공학으로 추적한 노아방주의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이 가침경사각까지 경사하면서 선박이 흡수할 수 있는 에너지(복원모멘트 곡선의
면적
)를 구하게 된다. 이를 각 배의 상대적인 복원안전 지수로 산정하여 비교했다. 한편 복원안전성을 현행 미국선급협회(ABS)에서 사용하고 있는 동복원력 기준으로 평가하여 보면 1척(2번 선형)을 제외하고는 12척의 ... ...
물병자리 델타 유성군의 장관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다른 별들과 구분이 될 것이다. 물론 4인치 이상의 망원경과 1백배 이상의 배율이라면 표
면적
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해왕성 충태양계의 8번째 행성이지만 현재 태양계의 가장 바깥에서 공전하고 있는 해왕성의 충이 이달 12일 12시다. 이때의 광도는 7.9등급 정도이고 시직경은 2.5초다. 8등급 ... ...
한국호랑이의 뿌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것은 더운 지방의 것보다 귀 목 다리 꼬리 등이 비교적 짧고 작다. 즉 짧고 작을수록 체표
면적
이 작기 때문에 보온에 유리하고 길고 크면 불리하다. 예컨대 사막여우의 귀는 크고 북극여우의 귀는 아주 작은 것이 대조적인데, 호랑이의 경우는 그리 극단적인 것은 아니지만 이 법칙에서 예외는 아니다 ... ...
생물- 3억개의 폐포 통해 몸 곳곳에 산소공급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파충류에 이르면 그 방의 수는 많아진다. 이렇게 해서 생긴 방이 폐포인데, 사람은 그 표
면적
을 전부 합하면 1백㎡나 된다. 따라서 그 얇은 벽을 통하여 모세혈관과의 사이에서 교환되는 가스의 양은 대단히 많다.1ℓ의 물에 들어 있는 산소의 양은 수온 15℃에서 7㎖, 25℃에서 5.8㎖뿐이다(공기 중에는 ... ...
그랜드캐년을 방불케하는 장엄한 아페닉 산맥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다시 제 모습을 나타내는 천체현상이 바로 월식이다. 지구의 그림자는 달보다
면적
이 약 7배나 크기 때문에 금환월식은 일어나지 않는다. 월식은 보통 약 2시간에 걸쳐서 진행되므로 관측하기 쉽다.월식에는 다음과 같은 재미있는 이야기가 있다. 콜룸부스가 미국 대륙에 상륙했을 때에 인디언들이 ... ...
3천개의 은하로 이루어진 처녀자리 초은하단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정도다. 이는 1분보다 작기 때문에 점으로 밖에 안보이지만, 달은 31분이나 되기 때문에 표
면적
이 있는 것으로 보이는 것이다. 물론 망원경을 이용하면 분해능을 증가시킬 수 있다 ... ...
세균 크기 로봇이 몸속에 들어가 치료하는 마이크로 머신 전성시대 온다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비례하여 작아지지만
면적
은 치수의 2제곱에 비례하여 작아진다. 그런데 마찰력은 접촉
면적
의 함수인데 비해 관성력은 질량의 함수이다. 따라서 치수가 줄어들면 상대적으로 마찰에 의한 에너지 손실이 커지게 된다. 이러한 것이 웬만한 크기의 기계같으면 별 문제가 안되지만 마이크로 머신의 ... ...
위도따라 끊임없이 독특한 기류운동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남중고도(정오때 태양의 고도)에 변화가 있음을 뜻한다. 즉 각 위도별로 지표면의 단위
면적
당 에너지 흡수량이 계절에 따라 다름을 뜻한다.지구에 의해 흡수되는 태양에너지는 저위도대가 고위도대보다 훨씬 크다. 따라서 1년을 통해서 보면 약 40°보다 저위도인 지대에서는 들어오는 열량이 나가는 ... ...
이전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