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엑소가 알고 보니 이세돌이었다고? 그래프로 보는 가요계 사재기 논란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밖으로 벗어났던 곡이 수직상승 그래프를 그리는 일은 현실적으로 일어나기 어렵다. 이후 새로운 사재기 의혹이 떠오를 때마다 실시간 그래프가 증거로 제시됐고, 사람들은 정상적인 그래프와 비정상적인 그래프의 양상을 비교하며 현상을 분석하고 나름의 추론을 내놓았다. 어느새 가요계 덕질에 ... ...
- 인류가 좀비 바이러스에서 살아남는 법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발생했지만 야생 좀비를 길들이면서 좀비에 의한 사망자 수가 줄어들기 시작해 32일 이후에는 거의 없었습니다. 가끔 실수로 좀비에게 물리거나, 길들인 좀비가 통제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야생 좀비도 크게 증가하지는 않았죠. 연구팀은 우리가 좀비에게서 살아남는 최고의 방법은 ‘좀비를 길들여 ... ...
- [스타쌤의 수학공부 꿀팁] 내가 주인이 되는 재미있는 수학 공부, 율곡중학교 오선영 교사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말을 계속 건네며 관심을 가졌더니 중3이 된 어느 날부터 질문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이후 첫 시험에서 30점을 받았는데 원래 성적과 똑같은데도 너무나 좋아하기에 왜 그러냐고 물으니 “그동안은 전부 찍어서 30점이었는데 이번에는 제가 처음으로 풀어서 받은 30점이에요!”라고 답했다고 합니다. ... ...
- 수리류를 추적하고 지키는 시민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둥지를 위협하는 요인은 없는지 기록하지요. 2013년 애리조나에 큰 불이 나 나무가 사라진 이후 전봇대에 위험천만하게 둥지를 만드는 흰머리수리가 늘자 2017년에는 인공둥지를 마련해 주기도 했답니다. 인공둥지는 12m 높이에 설치됐으며, 지름 2cm의 나뭇가지를 엮어 만들었어요. 강한 햇빛이 ... ...
- 영화처럼, 정말 백두산이 폭발한다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지역은 동쪽에 위치한 태평양판이 일본열도 밑으로 수렴하는 경계와 맞닿아 있다.문제는 이후 백두산 지역에 주기적으로 화산지진이 관찰되기 시작한 것이다. 중국 창바이산화산관측소(Chang-baishan Volcano Observatory) 연구팀이 2012년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2002~2006년 화산지진이 월 평균 72회 나타났다. ... ...
- [일본유학일기] 오타쿠의 성지로 유학 간 성공한 덕후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자습 중 딴짓과 개인적인 취미가 현장에서 딱 걸린 것이다. 솔직히 나는 고등학교 입학 이후 자습실에 게임기를 가져와 게임을 하거나 일본 만화책과 소설책을 읽으며 딴짓을 꽤 많이 했고, 이런 물건들을 수없이 뺏겨봤다. 그래서 이번에도 평소처럼 책을 압수당하고 훈계를 듣겠거니 짐작하며 ... ...
- ‘아재’들의 미래였던 2020년, 실제 발명된 SF 아이템 Top5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흐르는 두 개의 전기침을 발사해 목표 대상의 중추신경계를 무력화시키는 방식이었다. 이후 커버 연구원은 SF소설 ‘톰 스위프트와 그의 전기 소총’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밝혔으며, 그래서 전기 총의 이름을 소설 제목(Tom Swift and his Electric Rifle)의 알파벳 첫 자를 딴 뒤(TSER) 발음하기 쉽게 알파벳 A를 ... ...
- [1920~2020, 로봇 100년] 한국 로봇 개발의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갖춘 휴보를 개발했다. 2~3명의 연구자가 3년이 채 되지 않는 짧은 기간에 이룬 쾌거였다. 이후 연구팀은 휴보를 계속 업그레이드했다. 2005년 다양한 얼굴 표정과 더욱 복잡한 몸동작이 가능한 ‘알버트 휴보’를 개발했고, 2008년 시속 3.6km로 뛸 수 있고 몸을 흔들며 춤도 추는 ‘휴보II’를 개발했다. ... ...
- [융복합 파트너@DGIST] 뇌의 비밀 풀 열쇠, 시냅스 접착 단백질과학동아 l2020년 01호
- “2003년 뉴로리긴 단백질이 자폐증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연구가 발표됐다”며 “이후 시냅스 접착 단백질에 대한 관심이 매우 커졌다”고 말했다. 최근까지 연구에 따르면 자폐증에는 시냅스에 있는 유전자 이외에도 훨씬 많은 유전자가 관련돼 있다. 고 교수는 “시냅스 접착 단백질과 자폐증 ... ...
- 알고 보면 2배로 재밌다! 수학으로 보는 스타워즈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점을 한 번씩만 지나면서 원래의 출발점으로 돌아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밝혔다. 이후 많은 수학자가 오일러의 연구를 발전시켜서 대상들 사이의 관계를 점과 선의 연결 관계로 분석하는 그래프 이론을 발전시켰다. 현재는 순수수학뿐 아니라 반도체 회로 설계와 물류 등 다양한 산업 ... ...
이전1581591601611621631641651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