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발굴 현장에서 지도를 그려라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정보가 담긴 도면을 그릴 수 있거든요. 이런 여러 사람의 고민과 노력을 담은 지도는 이후 유용한 연구 자료가 됩니다. 조명래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조사부 과장은 “실제 발굴 현장을 보지못한 사람이라도 발굴 내용을 모두 이해할 수 있는 지도를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고 밝혔습니다 ... ...
- [아이돌 수학] 경배하라, 새로운 '수학돌'이 탄생했다! '투모로우바이투게더'수학동아 l2020년 02호
- 2/3 만 예외적으로 단위분수가 아닌데도 사용했는데, 그 정확한 이유는 전해지지 않는다.이후 분수의 활용도는 점차 넓어졌고, 1580년대에 네덜란드 수학자 시몬 스테빈이 ‘소수에 관하여’라는 책을 쓰며 분수와 같지만 또 다른 형태의 수인 소수가 탄생했다. 같은 수인데 왜 소수를 발명할 필요가 ... ...
- [오쌤의 수학공부법] 수학공부의 골든타임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이런 성찰의 시간이 당장 수학 실력을 키우지는 못하지만, 본격적인 수학 공부는 사춘기 이후에 시작된다는 걸 잊지마세요. 사춘기의 불편한 감정을 무시해 버리지 말고, 이 힘을 자기주도력으로 바꾼다면 앞으로 수학 공부를 하는 게 훨씬 즐거워질 겁니다. 필자소개오선영 교사는 20년 차 수학 ... ...
- [이달의 책] 지동설은 맞고, 천동설은 틀리다? 외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수성, 금성, 태양 등 태양계가 회전하고, 바깥으로는 항성(별)이 채워져 있다는 것이었다. 이후 무려 1400여 년간 우주를 설명하는 정설로 군림한 천동설의 시작이었다. 하지만 곧 천동설은 위기를 맞았다. 화성 같은 행성의 불규칙한 움직임이 포착된 것이다. 천체가 지구를 중심으로 운동한다고 ... ...
- [Go!Go!고고학자] 바이킹은 왜 그린란드를 떠났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자리를 잡았어요. 정착 초기 그린란드의 바이킹 인구는 4000~5000명 정도였지만, 14세기 이후 숫자가 점점 줄어들기 시작해 15세기 중반에 이르면 완전히 그린란드를 떠나게 돼요. 버림받은 양 떼와 교회만 남겨두고 말이죠. 바이킹, 식량이 부족해 그린란드를 떠났다?바이킹들이 그린란드를 떠난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오가노이드, 미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포르투갈어로 ‘mirra’라고 불리는 몰약(myrrh)은 미라를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었어요. 이후 널리 퍼져나가면서 영어로는 ‘mummy’, 우리나라에서는 ‘미라’라는 명칭으로 불리게 되었답니다.미라는 과학자들이 관심을 갖는 연구대상이에요. 과거 선조들의 의료 기술이나 질병, 생활양식까지 ... ...
- [한페이지 뉴스] 알루미늄보다 가볍게! 금 물성 내 맘대로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라텍스, 아밀로이드 등을 균일하게 섞은 혼합액에 염을 분사해 겔 형태로 만들었다. 이후 물을 에탄올로 대체한 뒤 압력 챔버에서 이산화탄소와 반응시켜 에어로겔처럼 다공성 구조를 가진 금 18캐럿(3.6g)을 만들었다. 새롭게 만든 금은 열전도성 등 금의 물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밀도는 0.7~1.7g ... ...
- 마블링이 전부가 아닌, 소고기 맛의 비밀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밝히며 인간이 느끼는 6번째 맛으로 지방맛을 제안했다. doi: 10.1194/jlr.M021873 하지만 이후 여러 관능검사(제품의 품질을 인간의 오감으로 판단하는 과정)에서 검사 참가자의 대부분이 지방맛을 느끼지 못했다. 전문가들은 마블링이 고기의 풍미*, 조직감*, 다즙성*에 고루 영향을 미쳐 결과적으로 ... ...
- 토크콘서트 세상을 바꾸는 여성엔지니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기술이 돼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여러분의 롤모델을 찾으세요”저자들의 강연 이후에는 ‘차세대 여성 엔지니어를 어떻게 육성할 것인가’를 주제로 패널토론과 질의응답이 진행됐다. 객석에선 “수학과 물리를 잘해 기계공학을 공부하고 있지만, 흔히 여성의 강점으로 여겨지는 특성인 ... ...
- [비하인드로켓] 마치산 중턱에 발사대를 세우다과학동아 l2020년 02호
- 988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전신인 천문우주과학연구소에서 과학로켓 개발을 시작해 이후 30년 넘게 발사체 개발에 몸담았다. 1993년 1단형 과학로켓 KSR-Ⅰ 개발에 주도적으로 참여했고, 1990년대 후반 KSR-III 사업부터 2002~2013년 나로호 사업까지 총책임자를 맡았다. 2014~2017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을 ... ...
이전1561571581591601611621631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