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부
출장소
분관
지사
센터
장소
현장
d라이브러리
"
지점
"(으)로 총 2,069건 검색되었습니다.
첨단화된 북한 감시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판독함으로써 자동으로 인식한다. 일단 적으로 판명되면 아군 전투기에게 최적의 공격
지점
을 찾도록 전파로 진로를 인도한다.기본적인 항법 장치 외에 조기 경보기가 가진 또 다른 기능은 IBM사가 개발한 군사용 지휘통제 컴퓨터. 데이터를 그래픽과 도표로 처리해 비디오 스크린에 뿌림으로써 ... ...
2. 서울 15년 내 규모 6.5 지진 가능성 57%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일어난 큰 지진으로는 영일 지진(1943. 7. 1, 규모 6.0)으로 부산에서 북동쪽으로 약 1백km
지점
에서 발생했다. 규모 5.3의 대관 지진(1980. 1. 8)도 무시할 수 없다.새로운 활동을 기다리는 휴식기 한편 과거 20년간 한반도 연안에서도 몇 개의 큰 지진이 발생했다. 이 지진들은 모두 동해에 진앙(지진이 ... ...
1. 대도시에 지진이 일어난다면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가려져 있어 파손된 상황을 파악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그래서 지진 이후의 보수·보강
지점
을 확인하는 일이 새로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한편 철근콘크리트 건물은 철골건물에 비해 연성 능력이 약간 떨어지지만 내진 상세설계가 제대로 되면 상당한 연성 능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국부적인 ... ...
1. 힘과 운동-그래프 해석 중요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다시 두 힘은 같아진다. 결국 (그림2)에서 경사가 가장 급한 곳은 속력이 가장 빠른
지점
이다.우리는 살아가면서 (그림2)와 같은 경우를 더 많이 접한다. 일기도를 봐도 등압선 간격이 좁은 곳, 즉 기압의 경사가 급한 곳에서 바람이 가장 강하게 분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이렇게 늘 겪는 경험과 ... ...
DOHC 엔진 힘좋다고 마냥 좋은 것은 아니다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말하면 엔진의 흡기-압축-폭발-배기행정이 간섭현상 없이 가장 완벽하게 이루어지는
지점
이다. 불완전 연소의 원인인 간섭현상이 없으므로 연료소모도 이 때 가장 낮다.동일한 배기량을 가진 엔진의 경우 DOHC방식이 SOHC방식보다 높은 출력과 토크를 낸다. 이유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DOHC가 ... ...
방황하는 SF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거대한 기술적 파우스트를 꿈꾼다. 바로 기술편집증이 가고자 하는 제국주의의 최종
지점
인 것이다.실제로 기술편집증 환자들의 제국주의적 욕망은 인간의 삶 구석구석을 자신의 논리에 따라 지배하려는 프로그램으로 구체화된다. 이러한 예는 '데몰리션 맨' 의 과학자 콕도가 주장하는 기계적인 ... ...
20년만의 대장관 햐쿠다케혜성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관측조건이 더할 나위 없을 정도로 좋다는 점이다. 지구 곁을 가장 가까이 지나는 근
지점
의 거리는 0.11AU(1AU는 지구와 태양간의 거리)에 불과하다. 이 거리는 지구와 금성이 가장 근접할 때의 3분의 1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그렇다고 혜성이 지구와 충돌하진 않을 것이다.햐쿠다케혜성은 지구에 매우 ... ...
1. 일상에서 첨단까지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접촉하는 면은 표면)이라고 한다.깁스는 두 상 사이에서 양쪽의 밀도가 중간 점이 되는
지점
을 계면으로 하자고 제안한 바 있다. 계면은 물질 내부와는 달리 높은 에너지 상태에 있는데, 이 에너지를 계면 에너지 혹은 계면 장력이라고 부른다.순수한 물질의 표면장력은 일정한 온도에서 일정한 값을 ... ...
사라진 황새 천수만에서 발견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수초가 많아 이를 먹이로 삼는 고니가 많이 관찰된다. 10여마리의 큰고니 무리가 일정
지점
까지 뛰다 한 마리씩 날아오르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한편 동해에서 관찰되는 혹고니 가족이 발견돼 시선을 끌었다.탐사 마지막 밤 그간의 일정을 총평가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탐사 실적은 '성공적'이었다. ... ...
최초의 농사꾼 잎꾼개미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새살림을 차리는 방은 지름 12-15mm 크기의 굴을 수직으로 약 30cm 정도 파고 들어간
지점
에 수평으로 만들어진 반지름 3cm 정도의 공간이다. 작고 보잘 것 없는 단칸방이지만 훗날 주민 수백만이 모여 사는 엄청난 규모의 대도시로 발전한다.이 대도시에는 버섯을 경작하는 방들은 물론 중앙 냉난방과 ... ...
이전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