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점"(으)로 총 2,069건 검색되었습니다.
- 1. 가상공간에 신인류·신문화 위한 새 지구 건설과학동아 l1996년 03호
- 진출을 겨냥해 태평양을 가로지르는 고속망을 구축하려하자 일본 KDD는 태평양 중간지점에서 MCI라인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나섰다.일본은 이와 함께 우리나라와 연결되는 고속망을 대한해협까지 깔아놓을 테니 이를 받아줄 것을 우리에게 요청했다. 마치 19세기말 식민지 쟁탈전에 나선 ... ...
- 시속 2백km를 나는 셔틀콕의 비밀과학동아 l1996년 02호
- 못하고 낙하 시점까지 포물선을 그리는 반면, 수조구는 포물선을 그리며 비행하다가 낙하지점에서는 수직으로 떨어진다.육조구에서 수조구로의 변화는 선수들의 체력훈련에도 영향을 미쳤다. 육조구 사용 당시에는 강한 스트로크를 위해 어깨 힘 기르기에 치중했으나, 수조구가 보편화되면서 손목 ... ...
- 태양 파수꾼, 소호위성과학동아 l1996년 02호
- 지구로부터 1백50만km 떨어진 곳으로 지구와 태양의 인력이 정확히 같다. 이곳을 라그랑지점(Lagrange point)이라고 부른다.소호에는 12가지 관측장비가 탑재돼 있다. 이들은 태양 중심으로부터 태양풍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현상을 모니터한다. 이 가운데 GOLF, VIRGO, SOI/MDI 등 3가지의 검출기는 태양 깊숙한 ... ...
- 3. 통합과학문제 이렇게 출제됐다과학동아 l1996년 02호
- 보자. (통합과학문제1) 과학 시사게 대한 관심을 묻는다여름철 우리나라 남동부 해역의 A지점을 항해하던 어떤 배가 좌초되어 기름이 유출되었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해수면에 기름띠가 퍼져 나가는 모양을 예측한 것 중 가장 타당한 것은? (단, 화살표는 주 이동 방향을 나타내며 바람과 조류에 ... ...
- PART Ⅰ. 훈련은 필수, 나이는 무관 당신도 초능력자가 될수있다과학동아 l1996년 01호
- 초능력을 얻기 쉽다는 것이 일반적인 생각이다. 그러나 이재석씨(한국주택은행 흑석동 지점장, 56세)는 50대 초반에 훈련을 시작, 현재 ‘웬만한’ 초능력 시범을 보임으로써 ‘초능력 수련에는 나이가 없다’ 는 말을 실현시킨 장본인.“숟가락이 구부러진다고 의식을 집중하고 두 손가락과 눈으로 ... ...
- '고대문명의 수수께끼' 그 감추어진 이야기들과학동아 l1996년 01호
- 서 있는 것이 아니라 안쪽을 향해 약간 기울어져 있다. 놀랍게도 이 기둥들은 하늘 위 17km 지점에서 한 정점으로 수렴되는 피라미드 구조를 이룬다. 또 각 기둥의 사이도 일정하지 않아 조금씩 차이가 나며, 그 중심부분이 약 30cm 정도 불룩하게 솟아 있다. 한마디로 이 건축물에는 직선이 없는 것이다 ... ...
- 5. 고전적인 지하자원 탐색기법 다우징과학동아 l1996년 01호
- 탐사하려는 지역에 굳이 가지 않고 그 지역의 지도상에서도 동자추는 정확하게 한 지점을 가리킨다. 실제로 그 지역에 가서 확인하면 지하에 수맥이 존재한다.지도를 사용하는 방법을 이용해, 많은 다우징능력자들이 수맥 광맥 뿐만 아니라 행방불명된 사람, 범죄자, 또는 특정 정보를 맞추고 있다. ... ...
- 우주 수수께끼 아기별의 탄생과학동아 l1996년 01호
- 우주의 가스구름 사이에서 알이 하나하나 생기고, 그 알들이 자라 별이 된다. 이러한 별의 탄생 순간을 허블우주망원경이 놓치지 않고 ... 속도로 느리게 움직였다. 오른쪽 이미지는 10월 4일 시간 간격을 두고 촬영한 진입예정 지점으로 빠르게 움직이는 구름들을 볼 수 있다.(사진/Rate Beebe) ... ...
- 1. 통신방송위성 무궁화과학동아 l1995년 12호
- 우주공간으로 폐기하는 일도 이곳에서 하는 일의 일부다.무궁화위성은 정지궤도의 한 지점에 고정돼 있는 것이 아니다. 위치한 정지궤도는 달과 태양의 인력 방향과 지구 중력의 불균형으로 인해 그 위치가 변한다. 그래서 위성이 정지궤도를 잘 유지할 수 있도록 14일마다 동서 방향으로, 28일마다 ... ...
- 4. 우주개발의 원천 로켓과학동아 l1995년 12호
- 후 약 25초 동안 관성항법장치와 카나드(조종 날개의 일종)에 의한 비행자세 제어로 발사 지점으로부터 약 60㎞ 떨어진 해상에 정확히 낙하하게 된다. 위성발사체 개발의 걸림돌/한미 미사일 양해각서로켓 기술은 위성 발사체를 만들기 위한 핵심 기술이다. 그런데 우리의 기술이 상당한 수준에 ... ...
이전1591601611621631641651661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