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부
출장소
분관
지사
센터
장소
현장
d라이브러리
"
지점
"(으)로 총 2,069건 검색되었습니다.
범인 알아내는 생체측정 첨단기술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침투성이 적은 것은 음성검색이다. 음성인식에는 두가지 접근방법이 있다. 하나는 접근
지점
에 전용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것이다. 두번째 방법은 일반 전화선으로 하나의 망을 구축하는 개인용 컴퓨터를 호스트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 접근 방식은 일반적인 접근제어 상황을 처리하며, ... ...
4 다리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장애물을 통과할 때 발에 장착된 거리 센서를 이용해 발이 잘못된
지점
에 착지하지 않도록 보행궤적 수정 알고리즘이 수행된다.히타치사는 전기 유압식 4각 보행기구를 이용한 실험 경험을 바탕으로 전기 모터 구동식 4각 보행기구를 개발했다. 모터 구동식을 채택한 것은 전기 ... ...
백두산 지질탐구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상승하면 지진을 발생시키므로 지진 관측망을 통한 지진파를 분석하면 정확한 분화
지점
을 예측할 수 있다.1959년 12월 하와이 킬라우에아 화산과 같이 현무암을 조용히 분출하는 순상화산의 경우는 화산 폭발 전에 먼저 지진이나 지반 경동(傾動) 등의 징조가 나타나므로 화산으로 인한 피해를 미리 ... ...
스포츠의 절정- 기록단축 비결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그는 연습 후 놀라운 기억력을 보여주었다. 상대선수 자세만 보고도 공이 떨어질
지점
을 안다일류 체스선수, 음악가, 운동선수 등은 연습을 통해 그들을 남보다 뛰어난 존재로 만드는 기량을 갖추게 된다. 오스트레일리아 퀸즈랜드 대학의 연구자 브루스 아버나티(Bruce Abernathy) 박사는 가장 노련한 ... ...
지구과학 - 일기예보 적중률 80%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차에 비례하고 두
지점
간의 거리에 반비례한다. [생각해 보기]서로 10㎞ 떨어진 두
지점
간의 기압 차이가 8mb라고 할 때 기압 경도력의 크기는 얼마인가?한편 지표면 부근에서 등압선이 평행할 때 바람은 마찰력 전향력 기압경도력 등이 평형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분다(그림 6).이때 북반구에서 ... ...
1. 지상에서 우주로 비상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스푸트니크 1호'다. 인류가 처음 만들어낸 이 위성은 지상으로부터 원
지점
9백50㎞, 근
지점
4백80㎞의 타원 궤도를 타고 지구 둘레를 96분 주기로 공전하기 시작했다. 스푸트니크란 '동반자'란 뜻의 러시아말로, 지구의 길동무임을 의미한다.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어진 공모양의 스푸트니크 본체는 ... ...
전설의 섬 이어도 해양과학기지로 되살린다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될 것이다.인간 생활에 가장 밀접한 기상 예보를 위해서는 여러
지점
에서 기상 관측 자료가 실시간으로 제공돼야 한다. 육상에는 많은 관측소가 밀접해 있으나 해상에는 매우 드물다. 기상 예보의 정확성 높여줘편서풍대에 있는 우리나라는 서쪽지역의 기상 관측 자료가 아주 ... ...
우주팽창은 엔트로피 증가현상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이 역시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원리에 근원을 두고 있는 듯하다. 이 원리에 따르면 한
지점
에 위치한 입자라도 차츰 원래의 위치에서 벗어나 좀더 넓은 공간으로, 좀더 무질서하게 퍼져나려는 속성을 보이는 것이다. 이에 대한 자세한 탐구는 아직도 현대물리학의 미지분야로 남아 있다.시간의 ... ...
알기쉬운 미적분이야기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점점 직선과 같아진다. 그리고 이것은 결국 접선이 된다.지구를 두고 말한다면 접선은 그
지점
에서의 수평선이 된다. 분명히 지구는 둥글지만 지평선은 직선으로 보인다.이와 같이 그래프의 접선은 각 점에서 그래프의 '상승률'을 나타낸다. 그래서 미분의 목적에는 앞에서 말한 것(접선을 긋는 것 ... ...
NASA의 거미로봇 '단테Ⅱ' 화산 촬영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이번 시험에서 거미로봇은 직접 분화구 안으로 들어가 며칠 머물면서 분화구안의 1백50m
지점
까지 촬영해, 화산가스의 온도 등을 측정할 예정이다. 앵커리지에서 서쪽으로 약 1백30km 떨어져 있는 스페일 화산은 92년부터 3회에 걸쳐서 폭발한 화산. 당분간 다시 폭발할 가능성은 없으므로 로봇의 ... ...
이전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