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관
모범
무늬
본보기
bone
bonn
bonne
스페셜
"
본
"(으)로 총 1,624건 검색되었습니다.
ETRI, 스마트TVㆍ방송장비 보고서 2종 발간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강화될 수 있도록 바텀업(Bottom-up) 방식의 활성화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본
보고서는 ETRI 홈페이지(http://www.etri.re.kr)에서도 다운받아 이용할 수 있다. ... ...
현장의 목소리로 들어
본
한국 생명공학의 미래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동아사이언스가 발행하는 인터넷 과학신문 ‘더사이언스’는 17일부터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바이오선진화!’ 공동 기획을 한달에 2회씩 연재합니다. 이번 기획은 국내 생명과학자와 과학계 오피니언 리더의 목소리를 통해 한국 생명공학의 미래를 내다보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 ... ...
E=mc² 아인슈타인만의 것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못하고 있다는 게 좀 이상하군요”라고 항의했다. 스타르크는 플랑크의 논문을 다시 읽어
본
뒤 이 논문이 아인슈타인의 논문을 인용하고 있다는 걸 발견하고 아인슈타인에게 사과하기도 했다. 그만큼 아인슈타인의 1905년 논문은 주목받지 못했던 것이다. 한편 1908년 물리학자 야콥 램은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②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그가 물리적 방법으로 해석한 게놈의 구조는 훗날 게놈해독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기
본
골격이 됐다. 앞에서 소개한 2002년 논문도 게놈 구조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비교의 위험성을 지적한 것이다. 즉 유전자의 염기서열만 고려해서는 안 된다는 것. 최근 인간 게놈 전체의 기능을 ... ...
미래창조과학 국제컨퍼런스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13.04.24
활발한 논의를 진행할 것이다. ※ Higer School of Economics : 러시아 국립연구대학 □
본
컨퍼런스 참가를 희망하는 분들은 5월10일까지 공식 홈페이지(http://www.futureconference.or.kr)를 통하여 사전등록을 신청할 수 있다. 사전등록시 미래창조과학부에 바라는 희망메시지를 작성하여 선정된 분들에 한하여 ... ...
“환자를 우선한 연구가 상업화도 빠르게 만들어”
동아사이언스
l
2012.09.10
절실 박 교수의 연구는 2005년 인간의 면역체계를 가진 ‘인간화 생쥐’를 만나면서
본
궤도에 올랐다. 생쥐의 면역거부반응을 없애는 데 성공하면서 후속 연구의 발걸음도 빨라졌다. “저는 이 과정에서 운이 좋았고 타이밍이 절묘했다고 생각해요. 국내에 원숭이로 실험할 수 있는 시설이 갖춰지고, ... ...
“암 정복보다 중요한 건 ‘행복한 삶’이죠”
동아사이언스
l
2012.08.13
항상 ‘더 알면 좋겠다’ 싶은 주제를 쫓는다. 그는 자신의 연구 인생을 누구도 올라가
본
적 없는 산을 오르는 것에 비유했다. 등산로가 없는 길이기 때문에 늘 새로 도전하고 결정해야 한다는 것. 그는 젊은 연구자들에게 “오늘 우리가 아는 건 언제든지 바뀔 수 있고, 오늘 상식이라고 생각하는 건 ... ...
“순수 과학자 위한 ‘안정된 직장’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12.07.04
리더로 뽑기 때문에 해외 신진과학자가 초기에 정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그는 “미국에서 저명한 논문을 내고 한국에 돌아간 젊은 과학자의 경우 ‘독립된 연구팀을 처음 운영하면서 오는 예산 문제와 시행착오’ 때문에 기대만큼 성과를 내지 못한다”며 “독립연구그룹의 ... ...
“중복투자 왜 문제되나? 경쟁을 통해 더 좋은 성과 나올 것”
동아사이언스
l
2012.05.21
등을 예로 들며 우리나라 육종 기술이 단기간에 빠르게 발전했음을 강조했다. 그는 “일
본
은 딸기를 수입할 때도 자기들이 개발한 품종만 들일 정도로 품질을 엄격하게 따졌지만, 최근에는 우리가 개발한 품종인 설향과 매향이 더 많이 들어간다”며 “우리나라는 세계 6위의 유전자원 확보국이고, ... ...
“해외 식물 10만종 모으는 게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10.07.28
싶다고 했다. 인공 씨감자로 유명세를 타면서 사업단을 맡게 됐지만 잠시 손을 놓았던
본
래의 모습, ‘감자 박사’로 돌아가겠다는 것이다. 정 단장은 “씨감자 연구로 감자농사의 녹색혁명을 일으키는 게 목표”라고 했다. “미국의 농학자 노먼 볼로그는 밀의 생산량을 10% 높여 1970년에 ... ...
이전
158
159
160
161
162
1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