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 [매스미디어] 포켓몬 트레이너 L씨의 피카츄 사냥수학동아 l2017년 03호
- ‘ConcordeTSP’는 여행하는 외판원 문제를 풀어준다. ‘Map Router’ 메뉴에서 포켓스탑 위치만 찍으면 된다. 다음 여행길엔 이 애플리케이션으로 포켓몬 순례길을 걸어보는 건 어떨까. 그런데 피카츄는 잡았냐고? 물론이지.△쿡 교수가 그린 포켓몬GO 순례길 ... ...
-
- [Origin]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외곽 사가미하라시에 위치한 JAXA 우주과학연구소(ISAS).위성을 운용하는 관제실과, 새로운 위성을 조립하고 극한 환경에 대해 검증하는 테스트 동이 있다. 우주 기술 분야에서 앞서 나가는 나라라고 하면 흔히 미국과 러시아를 떠올리는데요.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에 대해 들으면 생각이 ... ...
-
- [Culture] 유미의 연인과학동아 l2017년 03호
- 틀어박혔다. 아주 짧은 시간 동안 정훈과 유미는 데이터 속에서 충돌하지 않고 하나로 위치를 찾아가기 시작했다. 통합된 데이터로 정훈과 유미는 우주 저편을 향해 빠르게 전송되기 시작했다. 새롭게 태어난 그 인격은 초속 3억m의 속도를 타고 달리면서 중얼거렸다.“아마도…… 유미의 연인 ... ...
-
- [Future] 주목받지 못한 반도체 영웅, 강대원 박사과학동아 l2017년 03호
- 해서 원형 구멍을 만들 수 있었고, 그 유리판을 반도체 위에 씌운 뒤 증착기로 원하는 위치와 모양으로 알루미늄을 씌울 수 있었다. 김충기 교수는 “벨 연구소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을 한 곳에 모아서 연구하는 융합연구를 이미 1940년대부터 시작해 최초로 트랜지스터(BJT)를 개발한 ... ...
-
- 선을 넘은 사랑, 혜성을 만들고 죽이다수학동아 l2017년 03호
- 것이다.우리는 과학시간에 중력이 내 몸의 한 점에 작용하는 것처럼 배운다. 배꼽쯤 되는 위치에 점을 그려넣고 여기에 중력이 한꺼번에 작용한다고 보는 식이다. 우리가 지구에 있을 땐 그 정도 설명으로 충분하지만, 블랙홀처럼 엄청 무거운 천체 근처에 가면 조석력이 매우 커져 내 몸이 산산이 ... ...
-
- bridge. 세상을 보는 창, 방정식수학동아 l2017년 03호
- 확실히 알 수 있는 게 없다. 뉴턴의 운동방정식이 적용되는 범위에서는 물체의 위치를 알면 운동량(질량과 속도의 곱)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미시세계에서는 하나를 알면 나머지 하나는 알 수가 없다. 하나를 정확히 측정할수록 나머지 하나는 불확실해진다. 바로 양자역학을 지배하는 ‘불확정성 ... ...
-
- [과학뉴스] ‘악마문 동굴人’ 유전체서 한국인 뿌리 찾아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찾았다고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스’ 2월 1일자에 발표했다.러시아 극동 지방에 위치한 ‘악마문 동굴’은 1973년 처음 발견됐는데, 약 9000~7000년 전까지 인류가 살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박종화 UNIST 생명과학부 교수팀은 이곳에서 발견된 5명의 고대인 중 약 7700년 전에 살았던 20대와 40대 ... ...
-
- [과학뉴스] 스마트폰 패턴잠금, 슬쩍만 봐도 해킹?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촬영하면 해킹할 수 있다. 컴퓨터 알고리즘이 손가락의 움직임과 스마트폰의 상대적인 위치를 토대로 패턴을 추정해 주기 때문이다.실제로 120개의 패턴으로 실험한 결과, 알고리즘이 제시한 패턴을 입력하면 다섯 번 내에 95%의 스마트폰 패턴을 해제할 수 있었다. 특히 패턴이 복잡할수록 더 ... ...
-
- [Future] 집 나간 국민생선이 돌아왔다! 명태의 귀환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극심한 경쟁 : 한일, 한중 어업협정, 유류비 증가 등으로 어장 면적이 줄어들고, 어장 위치도 근해에서 연안으로 이동했다. 어업을 할 수 있는 면적이 1990년대 초(86만4336km2)에 비해 2012년에는 23%나 줄어들었다(66만9860km2). 이에 따라 어업 간 경쟁이 심해지면서 미성어(다 자란 물고기와 생김새는 같으나 ... ...
-
- [Issue] 과학·공학·의학 발달의 일등공신 ‘히든 피겨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기술공은 약 4%였고, 기능공이 나머지 93%였죠. 그리고 이들 기능공의 가장 낮은 위치에, 일명 ‘시다’라고 불린 여성 기능공(여공)이 있었습니다. 한경희 연세대 공학교육혁신센터 교수와 게리 리 다우니 미국 버지니아공대 과학기술학과 교수가 쓴 ‘근현대사 속 한국 엔지니어들의 변천사’에는 ... ...
이전1591601611621631641651661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