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체"(으)로 총 6,98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받기도 힘들고 받아도 힘들었어요"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과 1조4988억 원(53.9%)이었다. 이는 노벨상 수상 업적의 다수가 상향식 과제에서 나왔고, NIH 전체 예산의 74%가 풀뿌리 연구에 투자된 것과 대조적이다.기획과제에 참여할 수 있는 연구자가 아주 제한적이라는 것도 큰 문제다. 대부분의 기획과제는 연구 주제와 방법이 아주 구체적으로 짜여져 있어 몇몇 ... ...
- PART 3. 건강한 네트워크에서 노벨상 씨앗 자란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국가과학자와 노벨상 수상자 일부의 본인 중심네트워크를 비교했기 때문에 해당 분야 전체를 대변하지는 않는다. 또 이들의 논문 정보가 일부 누락됐을 수 있다는 점을 밝혀둔다(교수 또는 연구책임자가 되기 이전 논문을 게시하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 노벨상 수상자보다 사회적 자본 많은 ... ...
- [Tech & Fun]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도착했다면 지구 인류는 다시 번성했을지도 몰라요. 우리는 행성에 거주하는 종족 전체를 학살한 죄를 갚으려고 최대한 노력했어요. 3.75초 만에 정지했던 지구 문명이 바로 그 순간부터 이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유전자를 조립했고….”주전자와 찻잔이 남아 있는 방 안에서 신호음이 요란하게 ... ...
- [핫이슈] 지진 대비! 집을 지키는 수학!수학동아 l2016년 10호
- 튼튼한 철골을 바닥과 약 30°~50°의 각도를 이루게 세우고, 이 철골로 만든 삼각형이 건물 전체를 둘러싸게 만든 거예요. 그러면 삼각형의 세 변이 중력은 물론, 지진으로 건물이 받는 여러 가지 압력을 견뎌냅니다. 덕분에 건물이 쉽게 무너지지 않고, 사람들이 밖으로 대피할 시간을 벌 수 있어요. ... ...
- [포커스 뉴스] 갤럭시노트7 폭발 사고, 정말 배터리 때문?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이번이 처음이다.삼성전자는 9월 2일 공식 기자회견을 통해 발화의 원인이 ‘배터리 셀(전체 배터리를 이루는 개별 배터리)’의 문제라고 밝혔다. 고동진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사장은 “배터리 셀 제조 공정상 미세한 문제가 있었다”며 “배터리 셀 내부의 극판이 눌리거나 절연 테이프가 건조되는 ... ...
- [News & Issue] 뇌 주름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전체 몸무게의 2% 정도다. 그런데 뇌로 가는 혈류량은 온몸을 순환하는 양의 20%다. 몸 전체가 사용하는 산소의 20%를 쓴다는 뜻이다. 또 뇌는 에너지를 가장 효율적으로 내는 탄수화물(포도당)만 사용하는데, 뇌 주름에 혈관이 오밀조밀 뻗어 있는 덕분에 효율적으로 포도당을 공급받을 수 있다.뇌 ... ...
- [News & Issue] 전 우주에 고한다 외계문명 응답하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개의 외계문명 중 단 하나도 아직 만나지 못한 걸까. 반대로 우리은하에, 더 나아가 우주 전체에 인류 이외의 다른 외계문명이 없다면, 인류는 왜 이토록 특별하게 진화해 온 걸까. 궁금증은 늘어만 간다 ... ...
- [Knowledge] 치아와 쇄골은 ‘뼈의 신분증’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데에는 이유가 있다. 치아는 일단 만들어지고 나면 씹는 면이 닳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체적인 형태가 평생 달라지지 않는다. 때문에 치과에서 몇 년 전에 찍은 엑스선 사진을 오늘 찍은 사진과 비교해봐도 별 차이가 없다. 게다가 치아의 크기와 모양은 사람마다 다르다. 우리는 총 32개의 영구치를 ... ...
- PART 1. 의식과 무의식이 빚은 1만 개의 언어, 표정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점치는 관상학은 과학이 아니다. 하지만 표정으로 성격을 짐작해 볼 수는 있다. 얼굴의 전체 127적인 생김새는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DNA로 결정되지만, 사람의 표정과 인상은 어려서부터 각자 어떤마음가짐과 태도로 살아왔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즉, 인생을 살아가면서 어떤 표정을 자주 지었느냐에 ... ...
- [Tech & Fun] 다른 이의 마음을 어떻게 읽을까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를 함께 느낄 때도 있다. 그래서 상황에 대한 맥락을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세심하게 관찰할 때에만 당시의 감정을 이해할 수 있다.최근에는 의식적으로 열심히 생각하는 사람들이 공감을 잘 하는 경향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Apr 2016 . ...
이전1591601611621631641651661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