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
세포인
d라이브러리
"
핵인
"(으)로 총 2,548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형 SF영화 용가리 1998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심형래 감독의 '용가리'가 드디어 모습을 드러냈다. 한국영화 사상 최대규모인 1백억원이 넘는 제작비 투입, 칸 영화제에서 2백72만달러의 사전판매계약, 일본과 1백50만달러의 판권배급계약 등 개봉 전부터 숱한 화제를 낳았던 '용가리 1998'이 7월 17일 전국 1백여개 극장에서 동시 개봉됐다. 한국 SF영 ... ...
① 신종 괴질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아프리카에서 금세기 최악의 괴질이 발생했다. 감염된지 48시간 내에 사망에 이르게 하는 독종 바이러스가 출현한 탓이다. 말레이시아에서는 신종 뇌염으로 수십명이 사망하고 있다. 한국 역시 바이러스의 공포로부터 안전지대가 아니다.사건 15월 6일 세계보건기구(WHO)는 아프리카 지역 콩고민주공 ... ...
우주시대 연 스푸트니크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1957년 10월 4일 금요일 밤, 워싱턴 러시아(옛소련)대사관에서는 세계 각국의 과학자들이 모여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서 파티를 즐기고 있었다. 월요일부터 시작된 ‘국제지구물리의 해’(IGY)를 기념한 ‘로켓과 인공위성’에 관한 학술세미나가 끝나는 것이 못내 아쉬운 듯 과학자들은 자리를 뜰 ... ...
② 변신의 명수 바이러스 퇴치 최전선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바이러스는 변신의 명수다. 치료제를 개발했다 싶으면 재빠르게 새로운 형태로 스스로를 변환시킨다. 에이즈를 퇴치하지 못하는 큰 이유도 여기에 있다. 현단계 바이러스 치료책은 어디까지 개발됐을까. 최근 ‘바이러스’ 하면 먼저 떠오르는 것은 CIH(일명 체르노빌 바이러스)나 트로이 목마와 ... ...
생명의 비밀 밝힌 로제타 스톤, DNA 이중나선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생명체가 지닌 오묘함은 자신의 모습을 후세에 전한다는 데 있다. 이러한 생명복제(증식)는 무생물과 달리 생물만이 가지고 있는 중요한 특징이다. 그러나 생명복제의 신비는 1953년 제임스 왓슨(1928-)과 프란시스 크릭(1916-)이 DNA(디옥시리보핵산)의 이중나선구조를 밝히기 전까지 풀리지 않았다.옛 ... ...
3. 미래의 달여행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아폴로계획 이후 30년이 가까워지도록 다시 달여행을 계획하는 곳은 없다. 아직도 엄청난 비용에다 위험이 도사리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언제까지나 기다릴 수는 없는 일. 미래의 달여행을 다시 꿈꿔보자.우주역에서 누굴 만난다면 그는 분명 돈깨나 가진 사람일거다. 더구나 여름휴가가 시작 ... ...
과학자들이 펼친 죽음의 안무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1939년 여름 아인슈타인(1879-1955)은 미국 뉴욕주 롱아일랜드에서 한가롭게 휴가를 즐기고 있었다. 그때 나치스에 쫓겨 뉴욕에 머물고 있던 레오 질라드(1898-1964)가 그를 찾아왔다. 질라드는 한때 아인슈타인과 더불어 가정용 냉장고(독일 제너럴 일렉트릭에서 제작했으나 소음이 너무 커 시판되지 않 ... ...
시공간을 구겨넣은 우주의 검은구멍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18세기 후반에 처음으로 제안됐던 '빛이 탈출할 수 없는 천체'는 2백여년이 지난 후인 1969년 물리학자 존 휠러(John Wheeler)에 의해 '블랙홀'이라는 공식명칭을 얻게 됐다. 이름만큼이나 신비에 쌓여 있던 블랙홀은 천문학자들의 끊임없는 탐구와 관측기술의 발달로 서서히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블 ... ...
동강의 땅 밑이 심상치 않다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강원도 일대가 지진 다발지역이라는 보고가 잇따르고 있다. 특히 동강댐 건설 예정지역에서 불과 20km 떨어진 곳에 활성단층이 존재할 가능성이 크다. 동강댐은 지진으로부터 과연 안전할까.동강댐 건설 예정지역에 지진이 발생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지난 4월 초 기상청은 최근 ... ...
원자력 발전의 부싯돌 중성자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우리나라 최초의 원자력발전소는 1978년 4월 29일 가동된 고리 1호기다. 부산시 기장군에 세워진 이 원자력발전소는 58만7천kW의 전력을 생산하면서 원자력에너지시대를 개막했다. 그후 20여년 동안 우리나라에는 모두 14기의 원자력발전소가 들어섰으며, 전체 발전량의 약 41.7%( 9만GWh)를 담당하고 있다 ... ...
이전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