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
세포인
d라이브러리
"
핵인
"(으)로 총 2,548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터넷은 핵폭탄이 안겨준 선물?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현재 급격히 그 규모가 확대되고 있는 인터넷의 기원은 무엇일까. 미국 국방부가 1969년부터 가동한 전산시스템인 아르파넷(ARPANET)에 1970년대부터 여러 다른 네트워크드들이 맞물림으로써 확대돼 나갔고, 여기서 네트워크들 사이(inter)의 맞물림을 뜻하는 '인터넷(internet)'이란 말이 나왔다는 사실은 ... ...
복제소 영롱이와 유전자 조작 슈퍼벼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어미의 세포 하나로 우량 젖소가 복제됐다. 또 농약이나 병충해에 잘 견디는 '강한' 벼와 고추가 유전자 조작으로 탄생됐다. 첨단 생명공학이 만들어낸 각종 음식이 우리의 식탁을 지배할 날이 멀지 않은 느낌이다. 하지만 젖소를 복제하고 유전자 조작으로 작물을 대량생산하기 앞서 이들이 인간과 ... ...
생물계의 공생전략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세상에 필요 없는 생물이란 없다는 말이 맞는가 보다. 눈에도 보이지 않는 작은 세균들이 자신의 생존을 도모하기 위해 펼치는 전략인 공생만 봐도 그렇다. 콩과식물에 비료를 제공하는 뿌리혹박테리아를 비롯해 서로 도우며 살고있는 생물들의 다살이 세계에서 삶의 지혜를 얻어보자.생물계는 보 ... ...
Ⅰ. 생명의 국경선 생체막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물질을 수송하고 신호를 전달하는 세포막, 눈을 보호하면서 고도의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막들, 그리고 온몸을 둘러싼 피부에 이르기까지 우리 몸에 자리잡은 막의 본모습을 살펴본다.수십 조개의 세포로 이뤄졌다는 인간의 몸 속을 들여다 보면 참으로 재미있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각각의 ... ...
열역학의 세계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사람들은 에너지를 끊임없이 생산해내는 영구기관을 만들려고 노력했다. 하지만 그러한 노력은 수포로 돌아갔다. 지금은 누구나 영구기관이 불가능함을 알고 있다. 자연계의 질서를 표현해주는 열역학의 법칙들이 등장했기 때문이다.“힘차게 달리는 이봉주 선수는 초인적인 에너지의 상징이다” ... ...
2천년만에 깨진 원자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그리스 시대의 철학자 데모크리토스(기원전 460-370)는 자연의 모든 물질을 쪼개면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알갱이가 나온다고 말했다. 그리고 그것을 아톰(atom : 그리스어로 더 이상 쪼갤 수 없다는 뜻)이라고 불렀다. 아톰은 우리말로 하면 ‘원자’(原子)다. 아톰이 다른 물질로 이뤄질 수 없다는 것은 ... ...
1965년 노벨화학상 우드워드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우드워드는 자연적인 과정을 통해서만 만들어지던 천연물질을 실험실에서 합성하는데 성공했다. 인간이 자연을 통제할 수 있는 또 하나의 길을 연 것이다. 키니네를 비롯한 천연물 합성과 비타민 ${B}_{12}$의 합성으로 대표되는 유기합서오하학의 새 장을 연 우드워드의 연구를 통해 유기화학의 세 ... ...
① 우주 탄생에서 박테리아 등장까지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무한한 우주에서 유일하게 생명체가 존재하는 지구. 우주가 탄생한 시점이 1백50억년 전이고, 지구에서 박테리아가 생존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진 때는 35억년 전이다. 불과 하나의 박테리아가 탄생하는데 우주라는 어머니는 1백억년이 넘는 산고를 거쳐야 했다.바야흐로 ‘생명공학의 시대’라고 ... ...
1999년 인류 종말은 없다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1999년에는 인류의 종말을 일으킬 만한 천문학적 사건은 일어나지 않는다. 혜성충돌도 없을 것이고, 소행성 충돌도 없을 것이다. 노스트라다무스의 종말론 같은 낭설에 심취하는 어리석음보다는 건강한 태도로 미래를 설계하는 현명함이 요구되는 해이다.21세기는 서기 2000년에 시작되는 것으로 잘 ... ...
달표면의 헬륨3 지도 제작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달에 존재하는 헬륨3 지도가 만들어져 화제다. 태양풍으로 유입된 헬륨3가 달에 어떻게 분포하는지를 밝혀낸 주인공들은 미국 애리조나주에 있는 국립지질연구소의 존슨박사와 애리조나 주립대의 티모시, 그리고 하와이대학의 폴. 헬륨3는 핵융합반응을 일으키는데 효과적이고 핵반응시 발생하는 ... ...
이전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