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 미스터리 3. 사막에 나타난 유령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공기가 주변 공기보다 20℃ 이상 높을 때 생겨요. 빛은 통과하는 물질이 달라지면 진행 방향이 꺾여서 나아가요. 또한 같은 물질이라고 해도 온도에 따라 빛이 꺾여 진행하기도 하지요. 즉, 나무에 반사된 빛이 지표면 근처의 뜨거운 공기에 의해 휘면서 사람 눈에 들어오는 거예요. 그럼 이 모습을 본 ... ...
-
- PART 2. 올림픽 속 수학 찾기!수학동아 l2016년 08호
- 강하게 받는다.원심력★원운동을 하고 있는 물체에 나타나는 관성력이다. 바깥쪽 방향으로 작용한다. 꼭꼭 숨어라! 리듬체조 속 수학우리나라 손연재 선수가 참가하는 두르는 것만으로 리본을 나선, 원, 사인 곡선(물결) 같은 아름다운 기하학적 문양으로 만들어내는 것이다.공 연기에서도 ... ...
-
- [과학뉴스] 심근세포로 움직이는 가오리로봇 탄생과학동아 l2016년 08호
- 1초당 3.2mm 였다.과거에도 동물세포로 로봇을 움직이려는 시도는 있었지만, 속도와 방향까지 자유자재로 조종할 수는 없었다. 가오리로봇은 이점을 극복했다. 물론 갈 길이 멀다. 가오리로봇은 영양분이 풍부한 용액 속에서만 작동하며, 용액의 온도는 쥐의 체온 수준을 항상 유지해야 한다. ... ...
-
- [News & Issue] 올 여름, 진화한 공포가 몰려온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영상을 보여주지 않는 방법이다. 예컨대, 사용자가 정면을 응시하고 있는 경우 뒤통수 방향의 화면은 보여줄 필요가 없는 영상이기 때문에 아예 까만 화면으로 처리하는 식이다. 페이스북도 올해 1월, 스마트폰에서 고화질의 VR 영상을 즐길 수 있도록 다이나믹 스트리밍 기술을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 ...
-
- [Interview] “차세대 가속기 과학자 키울 겁니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보냈다. 일본에서는 전자와 양전자를 충돌시키는 가속기에서 빔의 위치를 측정하고 운동 방향을 분석하고 제어하는 장치 등을 설계했다. 이후 미국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LBNL)로 자리를 옮겨 뮤온가속기와 중성미자가속기를 개발하고 빔 성능을 향상시키는 연구에 참여했다. 국내로 돌아온 ... ...
-
- [Tech & Fun] 박흥보 특급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움직임과 떨어지는 새끼를 구분하기 위해 센서는 그곳을 지나는 물체의 속도, 방향, 무게를 추정할 수 있게 되어 있었다. 한편으로 감시카메라들이 24시간 촬영한 수만 개의 영상을 인공지능 영상판독 프로그램으로 매일 분석해서, 그 중에 혹시 다친 제비새끼의 모양이 인식되는 것이 있는지 찾아 ... ...
-
- [가상인터뷰] 강아지 눈에 나침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것도 이 때문이랍니다.이제 길을 알았으니 얼른 여행을 떠나자!새가 자기장을 이용해 방향을 감지하는 기술은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포유류가 크립토크롬 단백질을 어떻게 사용하는지는 자세히 연구 되지 않았어요. 레오 페이츨 교수는 앞으로 포유류의 지구 자기장 활용을 연구할 ... ...
-
- [게임카페] 리듬 맞춰 폴짝폴짝 달려라, 웃기는 박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것처럼 보여요. 그런데 현실 세계의 중력과 달리 게 임 세계에서는 끌어당기는 힘의 방향과 세기가 다를 수 있답니다.‘앵그리버드 스페이스’처럼 땅이 울퉁불퉁한, 그러니까 장애물이 땅의 일부인 게임에서는 장애물에서도 끌어당기는 힘이 작용해요. 게임을 만들 때 중력을 고려하도록 설정했기 ... ...
-
- [수학동아클리닉] 거울 속 수학세상이 보이는 마술피리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최적의 경로를 찾아 가장 짧은 길로 이동한다고 주장했다. 자연은 늘 빠르고 효율적인 방향으로 움직이려 하기 때문에 빛도 가장 짧은 길을 따라 이동한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헤론은 빛이 거울에 반사될 때 최적의 경로는 입사각의 크기와 반사각의 크기가 같을 때라고 주장하며 반사의 법칙을 ... ...
-
- [News & Issue] 우주로 쏘아 올린 ‘피사의 사탑’ ‘등가원리’를 검증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측정하는 건 똑같기 때문이다. 위성은 지표면에 계속 떨어지고 있지만, 지표면의 수평방향으로 그만큼 빠르게 이동하기 때문에 땅에 닿지 않을 뿐이다. 갈릴레이의 실험에서 ‘두 물체가 땅에 동시에 닿느냐’는 질문은 위성실험에서 ‘두 물체 사이에 위치 차이가 얼마나 생기느냐’로 바뀐다. ... ...
이전1601611621631641651661671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