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스위스 폴쉐르 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고리 모양 구조물 안에서(포항 가속기는 둘레가 280m) 전자가 빛에 가까운 속도로 돌면서 방향을 바꿀 때 적외선부터 X선까지 다양한 빛(방사광)이 만들어집니다. 각각의 방사광들은 모두 다른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단백질 결정구조를 분석하거나 물질 표면의 자기 특성을 분석할 때, 초전도 ... ...
- [Career] “이산화탄소로 플라스틱을 만드는 날이 올 겁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졸업하는 학생의 절반 정도는 대학원으로 진학해 석박사 과정을 거칩니다. 취업으로 방향을 결정한다면 철강회사, 화학회사, 정유회사, 자동차회사, 반도체회사 등에 취업할 수 있습니다.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은 주로 박사과정을 거치고 가는 경우가 많은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
- PART 1. 캐릭터 만드는 4가지 비법수학동아 l2016년 07호
- 고려해야 합니다. 그래서 얼굴의 경우, 피부의 반사율을 뜻하는 함수를 빛의 세기와 방향을 나타내는 벡터 함수에 곱하지요. 반사율 함수의 값이 클수록 피부가 밝겠지요?만약 피부가 유리처럼 투명한 캐릭터라면 조명에서 날아온 빛의 일부가 몸통의 표면 안쪽으로 들어가 몸통 안에서도 여러 번 ... ...
- [인터뷰] 서검교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7호
- 내 나름대로 무언가를 만들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겼습니다.” 속도가 아니라 방향서 교수는 무슨 일이든 빠르게 하려고 하기보다는 올바르고 깊이 있게 하려고 노력한다. 이런 모습은 요즘 하고 있는 연구에도 나타난다.“올해 2월 즈음 30년 전에 나온 미분기하학의 미해결 문제를 동료 ... ...
- [수학동아클리닉] 거울 속 수학세상이 보이는 마술피리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최적의 경로를 찾아 가장 짧은 길로 이동한다고 주장했다. 자연은 늘 빠르고 효율적인 방향으로 움직이려 하기 때문에 빛도 가장 짧은 길을 따라 이동한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헤론은 빛이 거울에 반사될 때 최적의 경로는 입사각의 크기와 반사각의 크기가 같을 때라고 주장하며 반사의 법칙을 ... ...
- [과학뉴스] 뜨는 소재 흑린, 그래핀도 뛰어 넘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열전현상을 추가로 관찰하는 과정에서 흑린의 전하가 불순물의 영향을 받으며 평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했다. 배 책임연구원은 “기판의 불순물을 조절하면 원하는 대로 흑린의 열전현상을 제어해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흑린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흑린과 기판의 ... ...
- Part 1.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우주를 밝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폭이 넓은 방출선이 관측된다(타입1). 반대로, 회전축이 관측자와 비스듬하거나 수직 방향으로 놓여 있다면 뜨거운 기체구름은 블랙홀을 감싼 도넛 모양의 먼지구름에 가려진다. 제트와 함께 기체 구름이 뿜어져 나오는데, 여기에서 나오는 폭이 좁은 방출선만 관측된다. 이석영 연세대 천문우주학과 ... ...
- [News & Issue] 우주로 쏘아 올린 ‘피사의 사탑’ ‘등가원리’를 검증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측정하는 건 똑같기 때문이다. 위성은 지표면에 계속 떨어지고 있지만, 지표면의 수평방향으로 그만큼 빠르게 이동하기 때문에 땅에 닿지 않을 뿐이다. 갈릴레이의 실험에서 ‘두 물체가 땅에 동시에 닿느냐’는 질문은 위성실험에서 ‘두 물체 사이에 위치 차이가 얼마나 생기느냐’로 바뀐다. ... ...
- INTRO. 진화 이끈 작은거인 미토콘드리아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물질로 바꿔 끊임없이 회로를 돌린다. 암 세포는 TCA 회로를 교묘히 조절해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세포를 조절한다(4파트).3단계 양성자를 퍼내라, 전위차를 만들어라TCA 회로에서 만들어진 NADH와 FADH2는 미토콘드리아 내부막의 전자전달 복합체에서 산화된다. 전자전달 복합체는 세 번에 걸쳐 ... ...
- [Knowledge] ‘죽음의 손가락’ 지닌 기이한 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자칫하면 부러질 수도 있다. 그래서 사냥할 때가 아니면 보통 가운데 손가락을 반대방향으로 편 채로 이동한다.재미있는 점은 자세뿐만 아니라 에너지 사용도 바꾼다는 점이다. 가운데 손가락을 열화상 카메라로 관찰한 결과, 아이아이가 사냥하지 않고 이동만 할 때, 즉 가운데 손가락이 쓸모 없는 ... ...
이전1611621631641651661671681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