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역
범위
방면
지역
영토
장사
기량
d라이브러리
"
분야
"(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Culture] 새 책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과학의 세계의 교집합 쯤 된다고나 할까. 저자인 진정일 고려대 명예교수는 고분자화학
분야
에서 세계적인 석학으로 꼽힌다. 2012년 ‘시에게 과학을 묻다’라는 책을 통해 시 속 과학용어들을 찾아낸 데 이어, 이번에는 단편소설로 시선을 돌렸다. 한국 문학사에서 중요한 단편소설 50편을 선별해, ... ...
Part 5. 지금도 자라는 사춘기 뇌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한 논문은 현재까지 무려 1371회나 인용되면서 사춘기 뇌
분야
의 ‘바이블’로 꼽힌다. 이 연구에 따르면 사춘기의 뇌는 말 그대로 ‘제2의 탄생기’를 거치고 있다. 가지 뻗기와 가지치기를 반복하는 특성을 두고 사춘기의 뇌가 ‘변화가능성(plasticity·가소성)’이 ... ...
[인터뷰] “파격적인 입학전형이 DGIST의 경쟁력”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분야
와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융복합 인재만이 차세대 리더가 될 수 있다”며 “한
분야
의 전문가이면서 동시에 다른 전공과 소통이 가능한 융합인재가 되고 싶은 학생들이 DGIST에 많이 지원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 ...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최대&최강 교수진의 힘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선택”이라고 만류 했다고. 하지만 이 학부장은 좋아하는
분야
를 선택해 결국 광학
분야
의 석학으로 꿈을 이뤘다. 이 학부장은 “부모님의 바람이나 남들이 말하는 직업의 안정성보다는 자신의 적성을 잘 살피면서 장기적으로 보고 진로를 선택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 ...
[필즈상 미리보기] 게오르디 윌리엄슨, 치프리안 마놀레스쿠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습니다. 카즈단-루스즈티그 다항식은 성질이 좋아 여러
분야
에서 등장하거든요. 인생 문제 만나 수학자된 문학도 윌리엄슨 교수에게 카즈단-루스즈티그 양수 추측은 아주 특별한 의미가 있습니다. 이 문제 덕분에 문학도에서 수학자로 진로를 바꿨기 때문입니다. 사실 ... ...
Part 1. 과학을 완성한 수학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만들다! 물리와 수학의 관계는 어떻게 될까요? ‘사교위상수학’이라는 낯선 수학
분야
와 거울대칭 이론을 융합해 연구하는 오용근 기초과학연구원 기하학 수리물리 연구단장님께 물었습니다. Q. 물리학과 수학이 어떤 관계라고 생각하시나요?양자역학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이론적 근거가 되는 ... ...
오일러를 앞선 최석정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때문입니다. 직교라틴방진의 원리는 오늘날 이동통신 시스템이나 반도체칩 설계 같은
분야
의 실험을 디자인하는 데 활용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20세기 초 영국의 통계학자이자 유전학자인 로널드 피셔는 4차 직교라틴방진을 이용해 토질이 다른 밭에서 가장 잘 자라는 씨앗과 최적의 비료를 가장 ... ...
[Culture] ‘과학 초콜릿’ 그뤠잇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먹자’는 트렌드가 생겼다”며 “프로바이오틱스는 식품과 접목하기 가장 좋은
분야
로, 초콜릿의 형태로 유산균을 섭취하면 위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유산균이 보호되는 만큼 체내 도달 비율도 높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초콜릿에서 살아남을 유산균부터 찾았다. 초콜릿 제조 과정에서 열이 ... ...
[DGIST] 생체신호만 포착 세계 최고의 전자칩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자신을 이렇게 소개했다. ‘회로장이’는 전자회로 전문가를 빗댄 표현이다. 그는 이
분야
의 올림픽으로 불리는 ‘국제고체회로학술대회(ISSCC)’에서 3년 연속 논문을 발표한 ‘금메달리스트’ 출신이다. 2월에는 연구실의 이세환 박사과정 연구원이 이 교수와 공동으로 연구한 성과를 ISSCC에서 ... ...
Part 2. 고층대기부터 유전체 발굴까지 극지 연구의 현재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작물 개량을 위한 유전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이런 연구는 농업
분야
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가뭄 피해, 이른 서리로 인한 냉해, 간척지에서 흔히 일어나는 고염분 피해 등 환경 조건이 적합하지 않아 생기는 농작물의 피해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
이전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