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
- [JOB터뷰] 곤충 덕후, 만화가 되다! 갈로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갈로아 작가가 만화를 그리는 작업실인 집을 찾았어요. 작가의 방에는 벽면 가득 작은 박물관이 펼쳐져 있었어요. 먼저 키가 1m를 넘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로켓 ‘새턴V’의 레고 모형이 눈에 들어왔어요. 작가는 새턴V를 두고 “아폴로 11호를 보낸, 세상에서 가장 큰 로켓”이라며 자랑했지요 ... ...
-
- [지구사랑탐사대] 민물고기 특별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버렸고, 우연히 따뜻한 물이 사시사철 흘러 구피가 번식할 수 있게 된 거예요.” 그런데 작은 구피가 큰입배스나 블루길처럼 우리 민물고기를 잡아먹는 것도 아닌데, 무슨 큰 문제일까요? “우리 하천에 새로운 외래종이 침입했으니 생태계에 변화가 생길 거예요. 더 조사를 해봐야겠지만, 아마 이 ... ...
-
- Part 4. 극한 농업, 사막에서 성공하면 기후변화도 거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가뭄과 같은 나쁜 환경에서 잘 견딜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어요. 도티 교수는 중력이 작은 공간에서도 미생물이 식물에서 잘 성장할지 확인할 예정이에요. 지금까지 ISS에서 여러 농업 실험이 이뤄졌지만 미생물을 이용하는 연구는 처음이랍니다. 메마른 땅에 물을! 사막농업 기후 변화로 ... ...
-
- 노벨물리학상, 빛으로 도구를 만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레이저 빔을 쏘았을 때 빔의 초점 근처에 수 마이크로미터(㎛, 100만분의 1m) 크기의 작은 입자들이 모여 든다는 사실을 발견했어요.또 초점의 위치를 바꾸자 레이저 빔 근처에 모였던 입자들도 함께 움직인다는 사실을 알게 됐지요. 그 결과 레이저 빔을 쏜 뒤, 렌즈로 초점을 맞춰 입자를 가두는 데 ... ...
-
- 여성 과학자가 못 갈 곳은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휘게 만들어 별을 원래보다 밝게 만드는 현상이에요. 미시중력렌즈는 별 하나처럼 작은 질량의 천체에 의해 일어나요. 이 원리를 이용해 별의 밝기가 바뀌는 현상을 관측하면, 별과 지구 사이에 존재하는 보이지 않는 외계 행성을 찾을 수 있지요.Q관측을 위해 천문대를 가시지는 않나요?저희는 ... ...
-
- [지구사랑탐사대] 과학자가 되는 방법 大공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연구원이 대원들을 기다리고 있었지요. 배윤혁 연구원은 대원들에게 현미경 속 아주 작은 곤충 한 마리를 보여 줬어요. 대원들은 아리송한 표정으로 말했지요. “새우를 닮았네요. 이게 뭐예요?”대원들의 질문에 배윤혁 연구원은 씩 웃으며 새우를 닮은 곤충의 정체에 대해 설명했어요. “매미의 ... ...
-
- 우리가 몰랐던 여성 과학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중에는 불안정한 것들이 있어요. 이런 원소들의 원자핵에 양성자나 중성자를 쏘면, 더 작은 원자핵으로 갈라지면서 큰 에너지를 방출하죠. 이런 현상을 ‘핵분열’이라고 해요. 1939년,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 리제 마이트너는 핵분열의 원리를 발견했어요. 그는 독일의 화학자 오토 한, 프리츠 ... ...
-
- [출동! 기자단] 카이스트 인터랙티브 미디어 랩 게임을 하면서 연구도 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랩의 한쪽 벽에는 LED 전구가 한 줄로 붙어 있어요. 가로로 길게 빛나는 파란색 불빛 위로 작은 노란색 불빛이 휙휙 지나갔죠. 이 조명은 사람의 예측 능력을 측정하는 실험 장비예요. 노란 불빛이 파란 조명을 지나가는 타이밍에 맞춰 버튼을 누르면 되지요.그런데 막상 기자단 친구들이 실험에 ... ...
-
- [화보] 독도의 날 기념 독도엔 누가 살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그중 430번 정도 독도 바닷속에 들어갔어요. 독도 바닷속에는 사진으로 담을 수 없는 작은 조류를 제외하고 눈에 보이는 것만 약 550여 종 살고 있어요. 앞으로 남은 종을 모두 사진에 담아 내년에 책을 한 권 더 내는 게 목표예요. Q 독도에서 다이빙을 하시는 게 힘들진 않나요? 힘들죠. 독도 주변의 ... ...
-
- [쇼킹 사이언스] 바닷속 고드름이 살아있다?! 브리니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물만 얼음 결정이 되기 때문에 소금과 이물질은 주변의 바닷물로 빠져나가요. 이런 작은 얼음 결정들이 모이면 바다 표면에는 슬러시 형태의 ‘얼음죽’이 만들어져요. 이후 얼음죽은 더 단단하게 얼어서 바다 얼음(해빙)이 되어 극지해를 뒤덮게 되지요. 이때 주변 바닷물보다 더 짜고 온도가 낮아 ... ...
이전1601611621631641651661671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