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보] 독도의 날 기념 독도엔 누가 살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그중 430번 정도 독도 바닷속에 들어갔어요. 독도 바닷속에는 사진으로 담을 수 없는 작은 조류를 제외하고 눈에 보이는 것만 약 550여 종 살고 있어요. 앞으로 남은 종을 모두 사진에 담아 내년에 책을 한 권 더 내는 게 목표예요. Q 독도에서 다이빙을 하시는 게 힘들진 않나요? 힘들죠. 독도 주변의 ... ...
- [쇼킹 사이언스] 바닷속 고드름이 살아있다?! 브리니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물만 얼음 결정이 되기 때문에 소금과 이물질은 주변의 바닷물로 빠져나가요. 이런 작은 얼음 결정들이 모이면 바다 표면에는 슬러시 형태의 ‘얼음죽’이 만들어져요. 이후 얼음죽은 더 단단하게 얼어서 바다 얼음(해빙)이 되어 극지해를 뒤덮게 되지요. 이때 주변 바닷물보다 더 짜고 온도가 낮아 ... ...
- [지구사랑탐사대] 숲속 개미 찾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때 비늘개미는 턱을 180°로 벌리고 있어요. 흙속에 사는 작은 절지동물인 톡토기처럼 작은 크기의 먹잇감이 턱을 건드리면 비늘개미가 순간적으로 턱을 닫으면서 먹이를 가두지요. ‘덫개미’도 이런 방식으로 사냥을 한답니다. Q 개미를 연구하면서 힘든 순간들이 있었나요?개미는 대부분 독침을 ... ...
- 탐사 로봇, 트와일라잇 존을 부탁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고화질 특수 카메라도 있어 1mm보다 200배 작은 생물도 담아낼 수 있어요. 덕분에 아주 작은 플랑크톤도 보지요. 이번 탐사 결과 연구팀은 카메라의 빛에 겁을 먹는 생물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해 해결 방법을 고심 중이랍니다.연구팀의 궁극적인 목표는 트와일라잇 존이 지구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을 ... ...
- [통합과학 교과서] 공간 조절 능력 획득!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국토교통부의 자료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우리나라에서 총 4580건의 크고 작은 싱크홀이 발생했어요. 그리고 이 중 78%인 3581건이 서울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지요. 우리나라는 땅이 단단한 화강암과 편마암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 지하수에 잘 녹지 않아요. 그런데 최근 낡은 수도관, 땅 ... ...
- [화보] 숲속의 조그만 친구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잠깐만요! 어휴, 그렇게 큰 몸으로 들어오려고 하면 어떡해요. 여기는 하루살이만큼 작은 생물만 보고 느끼고 만지는 숲이라고요. 기다려요, 오늘만 몸을 작게 만들어 드릴게요. 1cm도 안 되는 꽃잎이 손가락만큼 커질 거예요. 자, 눈을 감고 왼쪽 페이지의 시를 읊으세요. 눈을 뜨면 새로운 ... ...
- [지구사랑탐사대] 윙윙! 달콤살벌 꿀벌 특별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윙윙!” 꿀벌의 날갯짓 소리가 가득한 이곳은 서울 보라매공원에 위치한 양봉장! 지난 8월 14일, 34명의 지구사랑탐사대 대원들이 양봉장에 모였어요. ... 천적 등을 이유로 전 세계적으로 그 수가 점점 줄어들고 있어요. 꿀벌을 살리기 위한 작은 실천, 모두 함께 생각해 보길 바랄게요 ... ...
- [출동! 기자단] 반짝반짝 황금빛 보물을 간직한 엘도라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선생님은 기자단 친구들에게 노란색 모래와 검은색 모래, 그리고 퉁호 모양이 새겨진 작은 흰색 판을 나눠 줬지요.작은 판에 붙어 있던 양면테이프를 떼낸 뒤 색모래를 뿌리자 끈적끈적한 면에 모래가 붙어 퉁호 모양이 드러났어요. 친구들은 저마다 원하는 색의 모래를 채워 넣었어요. 진용훈 ... ...
- [지구사랑탐사대] 뜨거운 도시의 비밀을 밝혀라! 매미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맴맴~, 맴맴!” 무더운 여름이 시작되면, 새벽부터 창밖 너머에서 우리 귀를 간지럽히는 소리가 들려와요. 그 주인공은 바로 매미! 올해도 지구사랑탐사대 ... 표정에는 뿌듯함이 묻어났어요. 지사탐 대원들의 매미 탐사가 지구를 좀 더 시원하게 만드는 작은 한걸음이 되길 응원할게요 ... ...
- [통합과학 교과서] 작은 공들의 세상 속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1mm의 작은 크기를 갖고 있어요. 이는 초미세먼지 알갱이의 만 분의 일에 해당하는 아주 작은 크기지요. 따라서 원자는 눈에 보이지 않으며 이를 관찰하기 위해선 성능이 매우 뛰어난 전자 현미경을 사용해야 한답니다. 그런데 데이비드 내드링거 연구원은 전자 현미경이 아닌 일반 카메라로 원자를 ... ...
이전1611621631641651661671681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