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자"(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정상성’에 대한 의문, 토마스 쿤에서 찾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될 것이다.“ 1000년 전 알하이삼이 되는 법”1000년 전 활동했던 페르시아 태생의 과학자 이븐 알하이삼은 빛과 시각의 관계에 대해 몰두했다. 그의 200권이 넘는 저서 가운데 유일하게 전해오는 ‘광학 개론’에는 그가 발명한 어둠상자가 기술돼 있다. 어둠상자는 바로 오늘날의 사진기와 망원경의 ... ...
- [지식] 수학과 물리, 두 마리 토끼 잡기에 나서다!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되는 데 큰 도움이 돼요. 아마 남들보다 빨리 박사 학위를 받을 거예요. 하지만 수학자는 아무도 못 푼 문제를 풀어야 하는데 그건 이해력과는 다른 문제거든요. 따라서 실제로 해보지 않으면 아무도 모르는 거예요. 수학을 좋아한다면 포기하지 말고 꼭 도전하세요 ... ...
- [Interview] “차세대 가속기 과학자 키울 겁니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잡도록 돕는 것은 그에게 새로운 도전이다. 국내 가속기 시장만 놓고 봤을 때, 가속기 과학자에 대한 수요가 아주 많다고 볼 수는 없다. 중이온가속기와 포항방사광가속기, 경주의 양성자가속기, 기장의 중입자가속기, 환자 치료용 가속기 등을 개발하는 업체와 해당 연구소 정도다. 하지만 전 ... ...
- [Knowledge] 쓴 풀이 곧 약이 되리니…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조상의 삶에 깊숙이 뿌리내리고 있었을 것이다. 실제로 스페인 바르셀로나대의 인류학자 카렌 하디 박사팀이 스페인 북부에서 발견된 네안데르탈인의 치아를 2012년에 분석한 결과, 영양분이 거의 없는 쓴 식물을 섭취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아마 다른 고인류들도 비슷하게 약용 식물을 활용했을 ... ...
- [Tech & Fun] 공포는 사람을 편협하게 한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것을 깡그리 무시한 채 외부인에게 모든 잘못을 돌릴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 뉴욕대 심리학자 존 조스트 교수는 공포를 느끼면, 똑같이 나쁜 일이라고 하더라도 잘 모르는 나쁜 대상보다 익숙한 나쁜 대상을 더 옹호하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했다(doi: 10.1111/j.0963-7214.2005.00377.x). 기왕 해코지를 ... ...
- [Tech & Fun] ‘CSI: 과학수사대’와 ‘알몸 절도 사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대략적인 몽타주 작업을 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과학수사의 초석을 다진 프랑스 범죄학자 에드몽 로카르는 이런 말을 했습니다. “모든 접촉은 흔적을 남긴다.” 그의 말처럼 아무리 알몸이라 할지라도 세상에 완벽한 범죄란 없습니다. 마지막으로 과거 예능프로그램에서 유행했던 말을 인용하고 ... ...
- [Career] “잘 늙고 잘 사는 법, 식물에게 배우죠”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리더가 연구 방향을 정하기보다는 자신만의 연구를 할 수 있게 돕겠습니다.”후배 과학자에게 해줄 말이 있느냐는 질문에 그가 꺼낸 단어는 모험이었다. “더 많은 모험을 했으면 합니다. 과학은 자연을 탐험하는 모험입니다. 모험심이 없이는 탐험을 성공할 수 없고, 과학에서도 세계적인 경쟁력을 ... ...
- [새 책] “너 내가 그럴 줄 알았다!” “REALLY?”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우리 사회에 던지는 메시지가 묵직한 건 그래서다. 세계적인 자연주의자이자 사회생물학자인 에드워드 윌슨은 수 년 동안 아프리카 모잠비크의 고롱고사 국립공원을 드나들며 생태를 기록했다. 윌슨과 함께 고롱고사 국립공을 누빈 아프리카 코끼리의 대가 조이스 풀은, “나이 든 개체들은 물론, ... ...
- [지식] 공대생 너무만화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남학생 가입은 불가능하다.두 번째 문제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는 1637년에 프랑스 수학자 피에르 드 페르마가 처음 제시한 것으로 ‘a,b,c가 양의 정수일 때, an+bn=cn을 만족하는 3 이상의 정수 n은 없다’라는 정리다. 페르마는 본인이 증명했지만, ‘책의 여백이 충분하지 않아 증명 내용을 적을 수 ... ...
- [재미] 앵무조개의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8호
- 결과를 낼 수 없을 정도로 큰 수의 계산이 수두룩했다. 그래서 큰 수의 계산은 천문학자들의 골칫거리였다. 네이피어는 이런 큰 수도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냈고, 그 결과 로그를 발명하게 됐다. 로그를 이용하면 곱셈과 나눗셈을 각각 덧셈과 뺄셈으로 바꿔 계산할 수 있다는 ... ...
이전1601611621631641651661671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