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자"(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일상의 난제를 해결하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상황을 제시하지 않더라도 ‘F=ma’라는 식만으로 힘을 정의할 수 있는 것처럼요. 물리학자의 마음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이선민 시간이 꽤 오래 걸리는 작업일 것 같습니다.허충길 맞습니다. 하지만 꼭 필요한 작업이고, 아직 아무도 시도하지 않은 연구라 의욕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아마 회사에 ... ...
- [News & Issue] 뇌 주름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어디이고 원인이 무엇인지 연구하고 치료법을 개발할 계획이다.뇌 주름을 모방하는 과학자도 있다. 뇌 주름의 물리학을 응용하면 커다란 물체를 작게 압축하거나, 반대로 납작한 것을 크게 부풀릴 수 있다. 또는 표면적을 넓혀 기존보다 효율적으로 물질이나 전기신호를 주고받을 수도 있다. 예를 ... ...
- [Knowledge] 치아와 쇄골은 ‘뼈의 신분증’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매일 하는 작업이지만 그때마다 얼마나 신중을 기해야 하는지도 새삼 깨닫는다. 법의인류학자가 신원 확인 결정을 할 땐 오류의 가능성이 없어야 하고, 또 실제로도 오류의 가능성은 0에 가깝다.이처럼 신원 확인 과정에서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건 이미 신원이 확실한 데이터가 마련돼 있기에 ... ...
- [Tech & Fun] 초인적인 벼락치기, 성공 비법은…?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풀릴지도 모르는 일이다.반복하기, 평소에 습관 들이기, 마감 당기고 푹 자기. 신경과학자들이 추천하는 벼락치기 성공요령이다. 그런데 듣고 보니 이상하다. 마감에 닥쳐서, 시간이 없을 때 후딱 하는 게 벼락치기 아닌가? 미리 한다면 그게 벼락치기일까. 결국 성공적인 벼락치기는 결코 ... ...
- D 바이오브릭, 내 맘대로 생물체를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단계에서 연구되고 있지만, 더 많은 동물에게 적용했을 때 문제가 생기진 않을까요? 과학자들은 합성생물을 유용하게 활용할 방법을 찾는 것과 동시에 합성생물이 가져올 위험에 대해서도 고민하고 있답니다.어때? 작은 블록 속에도 엄청난 과학들이 숨어 있지?그런데 말이야, 어과동 친구들은 ... ...
- [지식] 북한에서 ‘사귐’의 뜻은?!수학동아 l2016년 09호
- 북한 수학 교육에 대해 발표한 이정행 교수는 이미 통일을 경험한 독일 학자들과 토론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겨서 좋았다고 말했다.“교육과정을 통합하는 것도 어려웠지만, 전반적으로 서독에 비해 낙후된 동독에서 가르치려는 교사가 적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동독으로 이주해 교육에 헌신한 분들도 ... ...
- [News & Issue] 침식? 풍화? “독도는 이상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460만 년 전, 해저지각의 틈새로 뜨거운 마그마가 분출되면서 독도가 탄생했다. 덩치 큰 제주도, 울릉도가 생기기도 전이었다. 이런 독도에게, 풍화와 침식 ... 변화를 최대한 객관적으로, 최대한 많이 쌓아나가야 한다”며 “이런 중요한 시기에 과학자로서 할 일이 있어 기쁘다”고 말했다 ... ...
- Intro. 장내미생물이 제2의 게놈?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말이다(1파트).긴 무명생활을 청산한 건 ‘유산균’ 덕분이었다. 19세기 러시아의 생물학자 메치니코프가 장내미생물의 건강영향을 집중 조명했다. 그러다 2006년, 장내미생물이 비만과 관련이 있다는 논문이 ‘네이처’에 실리면서 일약 스타덤에 올랐다. 이후 면역, 해독, 알레르기, 천식, 당뇨, ... ...
- [Knowledge] 뛰지 못하는 작은 원숭이의 생존법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칼을 간다고 할까.느림보원숭이의 생태가 워낙 미스터리여서 그런지, 일부 영장류 학자들은 더 과감한 주장을 하기도 한다. 느림보원숭이가 (일부러) 코브라를 흉내 낸다는 것이다. 코브라와 느림보원숭이의 형태(왼쪽 위 사진 참조)가 유사한 데다, 느림보원숭이가 위협받을 때 내는 ‘쉬익 ... ...
- [Knowledge] 내 손이… 옛날엔 물고기 지느러미?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고생물학자들이 연구한다), 그 유전자를 제거해가며 발생 과정을 비교해야 한다(생명과학자가 한다). 물론 두 방법을 다 쓸 수도 있다(슈빈 교수).슈빈 교수는 어류의 지느러미 가시와 네발동물의 손 뼈가 같은 유전자에 의해 발생하는지 실험했다. 먼저 실험 생물인 제브라피시의 유전체에서 ... ...
이전158159160161162163164165166 다음